|
제2장 지역과 문화
제1절 문화
Ⅰ. 문화의 개념과 특성
1. 문화의 어원과 개념
가. 문화의 어원
독일어 Kultur와 영어와 프랑스어 culture는 라틴어 colo(경작하다, 가동하다, 완성하다)에서 유래하여 경작(耕作), 재배(栽培), 배양(培養), 교양(敎養) 및 수양(修養)의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나. 문화(文化. culture)
⑴ 국어사전
① 인지(人智)가 깨어 세상이 열리고 생활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일
② [철학] 진리를 구하고 끊임없이 진보 향상하려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 또는 그에 따른 정신적 물질적 성과
③ 문덕(文德)으로 백성을 가르쳐 이끎.
⑵ 문화의 의미
①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고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만들어 낸 모든 생활양식의 총체
② 한 사회의 집단에서 자연환경, 사회적 관계, 역사적 변동 등에 적응해 가면서 축적한 생활양식의 총체
③ 지식, 신념, 예술, 도덕, 법률, 관습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이 습득하는 다른 능력과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학적인 총체("that complex whole which includes knowledge, belief, art, morals, law, custom and any other capabilities and habits acquired by man as a member of society."Primitive Culture by Edward Burnett Tylor. 원시문화).
④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states that culture is "the way of life, especially the general customs and beliefs, of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at a particular time."(문화는 “특정한 시기에 득정한 사람들의 집단의 생활방식 특히 일반적인 관습과 신념”이다라고 Cambridge English Dictionary에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⑤ Terror management theory posits that culture is a series of activities and worldviews that provide humans with the basis for perceiving themselves as "person[s] of worth within the world of meaning"—raising themselves above the merely physical aspects of existence, in order to deny the animal insignificance and death that Homo sapiens became aware of when they acquired a larger brain(공포관리이론은 문화는 Homo sapiens가 보다 큰 뇌를 얻게 되었을 때 알게 된 동물적 무의미와 죽음을 부정하기 위하여 인간들에게 단지 신체적 생존의 국면을 초월하여 발돋움하는 의미의 세계 안에서 스스로를 가치있는 사람들이라고 인식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과 세계관이다라고 단정하고 있다).
⑥ Culture is an umbrella term which encompasses the social behavior, institutions, and norms found in human societies, as well as the knowledge, beliefs, arts, laws, customs, capabilities, and habits of the individuals in these groups(문화는 인간 사회집단들에서 개인들의 지식, 신념, 예술, 법률, 관습, 능력과 습관은 물론 인간사회에서 존재하는 사회행동, 제도와 관습을 포함하는 우산용어(포괄적 개념)이다)
Terror management theory (TMT) is both a social and evolutionary psychology theory originally proposed by Jeff Greenberg, Sheldon Solomon, and Tom Pyszczynski and codified in their book The Worm at the Core: On the Role of Death in Life (2015). It proposes that a basic psychological conflict results from having a self-preservation instinct while realizing that death is inevitable and to some extent unpredictable. This conflict produces terror, which is managed through a combination of escapism and cultural beliefs that act to counter biological reality with more significant and enduring forms of meaning and value.
2. 문화의 속성(屬性. attributes)
가. 공유성(共有性, commonality)
문화는 한 사회의 구성원들에게서 공유되어 공통된 행동양식으로 나`타난다.
나. 학습성(學習性, acquisition by learning)
문화는 타고난 것이 아니라 성장하면서 후천적으로 배워서 습득한다. 문화형성은 구체적으로 사회화와 문화화 과정에 의해 결정된다.
Humans acquire culture through the learning processes of enculturation and socialization, which is shown by the diversity of cultures across societies.
다. 축적성(蓄積性, cumulativeness. accumulation)
문화는 다음 세대로 전해지면서 기존 문화에 새로운 문화가 축적된다
⑷ 변동성(變動性, changeability) : 문화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시간의 흐름에 달라진다. 시간적인 의미에서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점진적 변화(progressive variableness)를 지속하고 있다. 문화 변동을 가져오는 요인은 내부적 요인(발견(discovery)과 발명(invention))과 외부적 요인(문화 전파(cultural diffusion)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⑸ 전체성(全體性. 총체성, wholeness) : 문화는 상호관계(相互關係. corelation. interrelation)로서 유기적인 전제(whole)를 이루고 있다. 문화 요소들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체계를 형성한다.
3. 문화의 특성
가. 보편성(普遍性. universality)
문화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내용과 형식이 유사한 문화가 창조된다.
나. 특수성(特殊性. individuality. uniqueness)
문화는 보편성이 있지만 특정문화는 자기의 고유한 개성을 지니고 있고 다른 문화와 구별된다, 문화는 개별성 때문에 어떤 문화가 다른 곳에 전파될 때 원형 그대로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전파된 지역의 문화적 요소가 가미된 문화접변(文化接變. 접촉변용. acculturation. )의 현상이 일어난다. 간다라미술(Gandharan Art).
다. 확산성(擴散性. diffusion)
문화는 다른 지역으로 전해져서 그 지역(사회)의 문화과정에 통합되어 정착된다. 문화의 요소들이 시간을 통해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통해 계속해 나가는데 이것을 문화의 흐름(stream of culture)이라고 한다.
Ⅱ. 문화 구분과 다양성에 대한 사고
1. 문화 구분
가. 문화 공유 집단에 따른 분류
한국문화와 미국문화
나. 전체와 부분에 의한 분류
전제문화와 부문화(하위문화. subculture)
다. 지배 여부에 의한 분류
지배문화와 피지배문화
라. 가시성 여부에 의한 분류
물질문화와 정신문화
마. 심미적 수준에 의한 분류
고급문화와 저급문화
2. 주류 문화와 소수문화
가. 주류 문화(mainstream culture)
⑴ 주류문화
한 사회 구성원이 전반적으로 누리는 문화.
주류문화는 널리 퍼져 있는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현재의 문화로서 모든 대중문화(popular culture)와 매체문화(media culture)를 포함한다.
⑵ 대중문화(popular culture)와 매체문화(media culture)
① 대중문화(popular culture)
다수의 사람들이 향유하는 문화. 불특정 다수의 사회 구성원인 대중이 손쉽게 접하고 누리는 문화. 대중이 형성하는 문화.
② 매체문화(media culture)
대중매체를 통하여 널리 퍼진 문화(the culture that is widely disseminated via the mass media). 대중 매체에 의해 형성되는 대중문화. 대중사회에서 대중매체에 의해 대량 생산된 문화.
⑶ 대중문화의 세 가지 층위
①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서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흔히 매스커뮤니케이션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영화, 방송, 대중음악 등 미디어 산업에 의해 생산되어 상품으로 제공되는 산물들을 대중문화라 부른다. 이런 미디어 상품은 대부분 최대의 이윤을 얻고자 하는 시장 논리에 따라 생산된다. 미디어 상품은 부가가치가 높은 대신 시장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전략이 대단히 중요한데 여기에서 대중문화의 주요한 경향들이 생겨난다. 예를 들면 잘 알려진 스타를 기용함으로써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하는 스타시스템(Star System), 기존의 흥행 요소를 모방하거나 재활용하는 전략, 가장 적극적인 소비층을 겨냥한 상품을 생산하는 것, 대중의 평균적인 취향에 호소하는 것 등 대중문화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전략들은 모두 여기서 비롯된다.
② 일상생활로서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존재한다. 대중문화를 수용(혹은 소비)한다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특별하거나 낯설지 않은 행위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집안 청소를 하면서 음악을 듣고 식사를 하면서 TV를 시청한다. 이는 대중문화 실천이 의식적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상당 부분 무의식적인 행위로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③ 정체성의 표현 공간으로서 대중문화
대중문화를 수용하고 소비하는 행위를 통해 사람들의 정체성이 표현된다. 사람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변수는 세대, 계급, 성별, 인종, 지역 등으로 다양한데 대중문화는 그런 다양한 집단들의 정체성이 부딪히고 갈등하며 타협하는 장소가 된다.
주류문화는 때로는 하위문화에 의하여 표면상 주류문화를 배타적일 뿐만 아니라 예술적 및 미적으로 열등하다고 여기는 하위문화에 의해 경멸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his word is sometimes used in a pejorative sense by subcultures who view ostensibly mainstream culture as not only exclusive but artistically and aesthetically inferior).
나. 하위문화 및 반문화의 구별
주류문화는 하위문화 및 반문화와 구별되어야 한다,
⑵ 반문화(反文化. counterculture)
반문화는 가치관과 행동규범이 주류사회의 그것들과는 실질적으로 다르고 때로는 주류문화 사회적 관습과는 정반대인 문화이다.
다. 대척점
주류문화의 극단에는 숭배추종(追從崇拜. 祭儀. cult followings)와 주류이탈론(主流離脫論. 偏向論. fringe theories).
⑴ 숭배추종(追從崇拜. 祭儀. cult followings)
소수의 조직화된 숭배 예찬자 집단에 의한 추종
⑵ 주류이탈론(主流離脫論. 偏向論. fringe theories)
정치, 경제, 사회, 분화 등에서의 주류에서 이탈하거나 어떤 방향으로 편향된 이론.
다. 소수자 문화(minority cultures)
⑴ (원래의) 소수자 문화
소수자 문화는 관습, 인종, 종교, 민족 또는 다른 특성이 그러한 분류의 주된 집단보다 수가 적은 사람들의 집단이 소수자가 공유하고 향유하는 문화를 말한다.
⑵ (현재의) 소수자 문화
지배적인 사회집단의 구성원과 비교하여 상대적 불이익을 경험하는 범주의 사람들이 공유하고 향유하는 문화를 말한다.
otherly abled (남다른 능력을 가진) 신체장애를 가진
the disadvantaged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
the challenged = the disabled 신체장애자들
the disabled 신체장애자들
the handicapped 심신장애자들. 정신장애자들
the physically disabled
the physically handicapped
라. 하위문화(下位文化. 부문화. subculture)
⑴ 의의
① 어떤 사회에서 지배적인 문화와 별도로 특정한 세대, 지역, 직업, 계층끼리만 공유하는 독특한 문화. 사회의 구성원 대부분이 공유하는 문화인 전체 문화와 구별된다.
②속하는 주류문화(근원문화)와는 구별되는 문화 안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하위문화는 문화, 정치 및 성적 문제에 대하여 그들만의 규범과 가치를 발현하며 그들의 특유한 특성을 온전하게 하는 사회의 일부이다.
③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종종 보다 큰 문화의 신념 또는 이해관계와는 모순되는 신념 또는 이해관계를 갖는 보다 큰 문화 안에 있는 문화집단("a cultural group within a larger culture, often having beliefs or interests at variance with those of the larger culture").
④ David Riesman(1950)
상업적으로 주어지는 형식과 의미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다수자와 소수자 형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파멸적인 가치관에 따라 그것을 해석한 하위문화를 구별하였다.
⑤ Dick Hebdige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1979)
하위문화는 정상에 대한 전복이다(a subculture is a subversion to normalcy.)라고 주장하고 하위문화는 지배적인 사회기준에 대한 비판의 본성 때문에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하위문화는 사회기준에 의해 무시당한다고 느끼는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을 불러 모아서 그들에게 정체감을 드러나게 한다.
⑵ 하위문화의 형성
한 사회 안에서 특정 계층의 사람끼리 긴밀한 사회적 접촉 유지하고 특정한 사회·문화적 환경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형성된다.
⑶ 하위문화의 기능
① 개인적 기능
⒜ 소속감
구성에게 소속감을 주어 심리적 안정감 부여
⒝ 차별적 만족
획득 전체 문화에서 얻을 수 없는 욕구 충족
② 사회적 기능
⒜ 문화 다양성
문화의 획일화 방지와 전체 문화의 질적 향상
⒝ 반문화 가능성
전체 문화에 대해 도전하는 반문화로 여겨지는 경우
④ 하위문화의 종류
⒜ 청소년 문화
세대 문화의 하나로서 한 사회의 청소년들이 공유하는 문화로서, 기성세대의 문화에 비해 자유롭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문화에 대해 비판적이고 저항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고 대중 매체나 대중문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아 충동적이고 모방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 지역 문화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공유하는 행동 양식 및 가치관으로서 지역 집단의 유대를 강화하고 문화 발전 및 사회 통합에 기여함
⒞ 세대 문화
세대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각 세대의 독특한 특성이 반영된 문화. 세대는 특정 연령대를 단위로 하는 것으로 대체로 노년, 장년, 청소년 등으로 구분되는데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인 특정 세대가 공유하는 문화를 세대 문화라고 한다. 같은 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유사한 경험을 축적해 왔고, 현재에도 비슷한 언어, 가치, 규범 등을 공유한다. 다른 세대의 경험이나 사고 등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이른바 세대 갈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민자 문화
다른 나라에 이민을 간 사람들끼리 공유하는 문화로서 이민자들의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는 한편 정착한 나라의 문화와 충돌할 수도 있음
⒠ 반문화(대항문화. counterculture)
한 사회의 대다수 구성원이 따르는 지배적인 문화를 거부하거나 여기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문화
⒡ 고급문화(high culture). 저급문화(low culture)
⑸ 하층계급문화이론(lower class culture theory)
① 하층계급의 문화
하층계급에 독특한 문화규범이 생기는 것은 그들의 관심의 초점이 일반인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Walter B. Miller가 주장하였다.
② 하층계급의 관심사와 몰입
⒜ 말썽(trouble)
⒝ 완고(toughness)
⒞ 교활(smartness)
⒟ 흥분(excitement)
⒠ 운명(fate)
⒡ 자율(autonomy)
③ 동조
하층계급문화에의 동조가 범죄와 비행을 낳는다.
⑹ 비행적 하위문화의 종류
① 범죄 하위문화(criminal subculture)
불법적 방법을 통하여 물질적 이득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을 생활의 기본방식으로 인정하는 문화
범죄하위문화는 조직화된 성인범죄가 많은 지역에서 생기는 경향이 있어 여기에서는 젊은이들을 위한 범죄역할모델이 있고 그들은 범죄행위를 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 하위문화에서는 젊은이들이 많은 범죄를 범해서 전문적 범죄적 지위에 오를 수 있다. 이 문화는 통상 재정적 보수를 낳는 공리주의범죄와 관련된다.
② 갈등 하위문화(conflict subculture)
사회의 통제와 조직이 확고하지 않는 과도기에 있는 불안정한 빈민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위문화이다. 갈등하위문화는 조직화된 성인범죄가 별로 없는 지역에서 생기는 경향이 있어 본격적인 금전적 범죄를 하는 방법을 배우는 대신 젊은이들은 대신에 갱폭력을 통한 존경을 얻는데 초점을 맞춘다.
③ 퇴행 하위문화(retreatist subculture, drug-use subculture, 마약 사용 하위문화)
퇴행 하위문화는 범죄적 하위문화에서 실패한 젊은이를 위한 것이고 이들은 이중실패자들이다. 그들은 그들이 다른 하위문화에서 거부되었다는 사실을 대처하기 위해 약물과 알코올중독에 퇴행하는 경향이 있다.
라. 문화의 가변성
하위문화가 주류 문화가 될 수 있고 주류 문화가 하위문화가 될 수 있다
3. 문화에 대한 사고
가. 문화를 이해하는 태도
⑴ 자문화 중심주의(자민족 중심주의)
① 의의
자신들의 문화만을 우수한 것으로 여기고 다른 사회의 문화를 무시하는 문화관. 극단적 예가 문화 제국주의이다.
②특징
자신의 문화를 절대적 기준으로 삼아 다른 문화를 낮게 평가한다. 자문화 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자신의 문화를 다른 문화에 비해 우월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다른 문화와 갈등을 일으키거나 스스로 고립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이러한 태도는 다른 문화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심어 줄 수 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⑵ 문화사대주의
①의의
다른 사회의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여기고 자신들의 문화를 업신여기는 문화관. 다른 사회의 문화를 우수한 것으로 여겨 그것을 숭상하고 자신이 속한 문화는 열등하게 생각하는 태도.
고려시대 1126년 금나라에 사대한 이자겸의 행동. 명 신종(만력제)을 섬기는 사당 만동묘,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 제정 반대한 최만리, 하위지, 정창손 문화사대주의
② 특징
다른 사회의 문화를 절대적 기준으로 삼고 그 문화만을 높게 평가한다. 문화 사대주의는 다른 사회의 문화가 가진 좋은 점이나 편리한 점을 수용하여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맹목적으로 다른 사회의 문화를 숭상하면 자신의 문화가 가지고 있는 고유성과 그에 대한 자부심을 잃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⑶ 문화 상대주의
한 사회의 문화를 그 사회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문화관
⑷ 문화 제국주의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는 선진국이 다른 나라에 대해 정치·경제·문화적 통제를 확대·강화함으로써, 특히 문화적 측면에서 선진국의 문화에 종속되어 가는 현상
⑸ 극단적 문화 상대주의
생명 존중, 인간 존엄, 자유와 평등, 평화와 같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훼손하는 문화도 그 사회의 맥락에서 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태도
나.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⑴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관점)
문화를 어떠한 태도와 시각(관점)을 가지고 볼 것인가의 문제.
⑵ 문화를 이해하는 바람직한 자세
① 총체론적 관점
문화를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자세로서 한 사회의 문화를 전체적인 맥락에서 바라보는 자세
② 상대론적 관점
상대성을 인정하고 다양성을 유지하려는 자세로서 다른 문화를 상대방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자세
③ 비교론적 관점
다른 문화와 서로 비교해 보는 자세 : 서로 다른 문화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려는 자세. 비교론적 관점
4. 문화를 적용한 중요 개념
가. 문화경관(文化景觀. cultural landscape)
문화를 지닌 인간집단이 특정지역(장소. location)에 거주하면서 창조해 놓은 인공경관을 말하며 인간의 정체성이 담겨 있는 장소라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landmark이다. 순천만 정원
나. 문화확산(文化擴散)과 문화생태론(文化生態論)
⑴ 문화확산(文化擴散)
① 문화확산(文化擴散. cultural diffusion)
한 사회의 문화 요소가 다른 사회로 전파되어 그 사회의 문화로 받아들여지는 일로서 독일의 지리학자 F. Ratzel은 문화발생에 이은 공간적 확대를 중심으로 문화경관의 변화적 과정을 설명하였다.
② Hägerstrand
Sweden의 지리학자 Hägerstrand는 문화전파를 팽창확산과 재위치확산으로 구분하였다.
⒜ 팽창확산(expansion diffusion)
인구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문화 분포의 공간적 범위가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확대되어 가는 형태로서 계층확산, 전염확산, 자극확산 등의 하부유형을 포함한다. 위
⒝ 재위치확산(relocation diffusion)
인간집단이 거주지를 이동할 때 자신들이 지닌 문화를 새로운 지역에 이식하고자하는 형태
⑵ 문화생태론(文化生態論)
인간과 자연환경(생태계)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전제로 하여 문화의 공간적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견해. 문화인류학자 J. Stewa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