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절 세계화와 생산 요소의 이동
Ⅰ. 생산 요소의 의미
1. 자원과 생산 요소
가. 자원(resources)
자원은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가상의 실체 또는 사람이 생계를 꾸리도록 돕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업적 또는 윤리적 요소들은 자원관리를 통한 자원배분을 요구하고 있다(A resource is any physical or virtual entity of limited availability, or anything used to help one earn a living. In most cases, commercial or even ethic factors require resource allocation through resource management).과 나. 생산 요소(factors of production)
⑴ 생산 요소(factors of production)
①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경제적 자원(economic resources)
②생산 요소(생산적 투입물)는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자원이다(factors of production (or productive inputs) are the resources employed to produce goods and services).
⑵ 생산요소의 종류
학파 및 시대 | 생산요소 |
중농주의(physiocracy) | 토지(land), 노동(labor), 자본(capital) 및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
고전학파 경제학(Classical school) | 토지 또는 자연자원(land or natural resource), 노동(labor), 자본금(capital stock) |
Marx | 노동(labour) : 자연자원 및 원료(토지포함), 노동의 주체(the subject of labour), 노동의 수단(the instruments of labour) : 도구, 공장건물, 하부시설 등 |
신고전학파 경제학(Neoclassical economics) | 토지(land), 노동(labor), 자본(capital) |
현대 | 하드웨어자원(hardware resources): 인적자원, 물적자원, 재무적자원 소프트웨어자원(software resources): 지식, 정보, 기술, 전략 |
다. 자원의 특징(characteristics of resources)
자원은 효용, 수량 (때로는 이영가능에서의) 및 다른 자원을 생산하는데 이용이라는 3개 주된 특징이 있다(Resources have three main characteristics: utility, quantity (often in terms of availability), and use in producing other resources).
바. 자원의 가치(value of a resource)
⑴ 사람들의 필요(The needs of the people)
인간 욕구는 전세계적으로 같지 않다(Human needs are not uniform all over the world).
⑵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기술의 수준(The level of technology possessed by the people)
기술의 수준은 자원의 활용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The level of technology also influences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⑶ 시간(Time)
자원의 가치는 시간과 더불어 변한다(The value of the resource changes with time).
2. 생산 요소의 국제 이동
개방경제 체제와 상호의존성의 증대 및 세계화가 전전됨에 따라 점차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생산 요소의 국제적 이동이 이루어 지고 있다.
개방경제(open economy)과 폐쇄경제(closed economy)
An open economy is an economy in which people, including businesses, can trade in goods and services with other people and business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large. This contrasts with a closed economy in which international trade cannot take place.
The act of selling goods or services to a foreign country is called exporting. The act of buying goods or services from a foreign country is called importing. Together exporting and importing are collectively called international trade.
There are a number of advantages for citizens of a country with an open economy. One primary advantage is that the citizen consumers have a much larger variety of goods and services from which to choose from. As well consumers have an opportunity to invest their savings outside of the country.
3. 세계화와 생산 요소의 국제 이동
경제 영역의 세계화는 재화(goods)와 용역(services)(기술+투자)의 자유 무역 뿐만 아니라 생산과 투자가 국경을 넘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노동과 자본의 국제 이동은 세계 경제가 통합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Ⅱ. 노동의 국제 이동
1. 노동의 국제 이동
생산요소의 자유 이동의 일부로서 최근에는 노동의 국제 이동도 활발해지고 있다. 개발 도상국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찾아 선진국의 노동 시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노동 의 국에 이동의 원인은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더 높은 실질임금을 획득하기 위해서이다.
2. 1970년대 초 세계 경제의 변화
가. 선진국의 입국 이민 규모 축소
나. 개발 도상국들의 생산 기지에서 세계의 공장 역할 변경 수행
3. 다국적 기업의 국제적 충원
가. 다국적 기업의 세계적 인력 충원
나. 외국인 노동자의 차별적 대우
4. 한국의 노동의 국제 이동
가. 1960년~1970년대 노동력의 선진국으로의 이동
나. 1980년대 노동 질의 향상과 노동 시장의 구조 변화
⑴ 생산직 노동자 임금 상승
⑵ 국내 인력난 발생
⑶ 외국인 노동자 유입
다. 1990년대 이후
⑴ 외국인 노동자 합법적 고용과 체류 외국인 노동자 수 증가
⑵ 단순 저임금 노동자로 주로 3D(dirty, difficult, dangerous) 업종 종사
⑶ 전문 인력 노동자 점차 증가 추세
Ⅲ. 자본의 국제 이동
1. 자본의 국제 이동
화폐로 환산된 재산이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현상.
자본의 이동은 1년 이상의 기간으로 상환 기간을 설정하여 1년 안에 손실 없이 빼낼 수 없는 것을 장기 자본이라 하고 상환 기간이 1년 미만이어서 단기적인 유동성 확보에 주로 활용하는 것을 단기 자본이라고 한다. 투기적 목적으로 국제 금융 시장에서 이동하는 단기성 투기 자본을 핫 머니(hot money)라고 하는데 hot money는 일시에 대량으로 급격한 자본의 이동을 가져와 국제 금융 시장의 불안을 유발하기도 한다.
2. 자본 이동의 용이성
생산요소중 자본 이동이 노동 이동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3. 투자방식
경영권과 관계 없는 간접투자와 실물 자산에 투자하는 직접 투자가 있고 제1차계대전까지는 간접투자가 중심이었는데 제2차대전이후 직접 투자가 주로 이루어 지고 있다.
A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s an investment in the form of acontrolling ownershipin a business in one country by an entity based in another country. It is thus distinguished from aforeign portfolio investmentby a notion of direct control.
Broadly, foreign direct investment includes "mergers and acquisitions, building new facilities, reinvesting profits earned from overseas operations, and intra company loans". In a narrow sense, foreign direct investment refers just to building new facility, and a lasting management interest (10 percent or more of voting stock) in an enterprise operating in an economy other than that of the investor. FDI is the sum of equity capital, long-term capital, and short-term capital as shown in thebalance of payments. FDI usually involves participation in management,joint-venture,transfer of technologyand expertise.
A foreign portfolio investment is a grouping of assets such as stocks, bonds, and cash equivalents. Portfolio investments are held directly by an investor or managed by financial professionals. In economics, foreign portfolio investment is the entry of fund into a country where foreigners deposit money in a country's bank or make purchases in the country's stock and bond markets, sometimes for speculation.
4. 개방 경제와 자본 이동
금융의 세계화 속에 금융 및 서비스 부분에 대한 직접 및 간접 투자가 늘어나고 개방경제로 변화하면서 지본의 국제 이동도 병행되고 있다.
5. 자본 시장의 개방과 해외 직접 투자 규모의 증가
Uruguay Round 협상의 영향으로 세계적인 무역과 투자가 확대 촉진되고 자본 시장의 개방으로 해외 직접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6. 해외 직접 투자의 이유
가. 자국 직접 생산보다 외국 직접 생산의 유리
나. 운송비 절약, 관세 절약, 광역 시장 확보
다. 외국 부존 자원(賦存資源, endowments)의 효율적 활용
제4절 세계화와 국제 거래의 증가
Ⅰ. 국제거래의 증가와 세계화
1. 세계화의 촉진과 영역
가. 세계화의 촉진
사람과 물자의 빈번한 거래의 세계화 촉진
나 세계화영역
세계화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진행되고 그 중에서 경제 영역에서의 국가간 거래(국제거래)가 매우 활발.
2. 개방 경제와 국제거래의 활발
가. 개방경제 체제 채택과 적극적 국제무역 참여
An open economy is an economy in which people, including businesses, can trade in goods and services with other people and business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large. This contrasts with a closed economy in which international trade cannot take place.
There are a number of advantages for citizens of a country with an open economy. One primary advantage is that the citizen consumers have a much larger variety of goods and services from which to choose from. As well consumers have an opportunity to invest their savings outside of the country.
나. WTO와 국제무역협정(경제통합. FTA.CU등)의 영향으로 국제거래 더욱 활발
대외무역 의존도
무역의존도(貿易依存度, degree of dependenceupon foreign trade)
한 나라의 국민경제가 무역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지표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출의존도와 수입의존도를 합한 것이다. 수출의존도(degree of dependenceon exports)는 국민총생산에 대한 수출액의 비율을 나타내고 수입의존도(degree of dependenceon imports)는 국민총생산에 대한 수입액의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무역의존도는 국민총생산에 대한 수출입총액의 비율[무역의존도 = 무역액(수출액+수입액)/GDP(국내총생산)(또는 GNP)]을 뜻한다.
Ⅱ. 세계 무역의 흐름
1. 무역 흐름의 주도
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상호 수출은 낮은 비중
나. 미국, 중국, 일본과 유럽 국가들(선진국)의 무역 주도
2. 지역내 무역의 비중
가. Europe, North America, Asia등 지역내 무역 비중이 50% 선회
나. Asia 지역의 무역량 급증
3. 동아시아 신흥경제권의 부상
ASEAN
The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ASEAN)is an economic union comprising 10 member states in Southeast Asia, which promotes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and facilitates economic, political, security, military, educational, and sociocultural integration among its members and other countries in Asia.
ASEAN also regularly engages other countries in theAsia-Pacific region and beyond. A major partner of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 ASEAN maintains a global network of alliances and dialogue partners and is considered by many as a global powerhouse, the central union for cooperation in Asia-Pacific, and a prominent and influential organization. It is involved in numerous international affairs, and hosts diplomatic missions throughout the world.
ASEAN was preceded by an organisation formed on 31 July 1961 called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ASA), a group consisting of Thailand, the Philippines, and the Federation of Malaya. ASEAN itself was created on 8 August 1967, when the foreign ministers of five countries: Indonesia, Malaysia, thePhilippines, Singapore and Thailand, signed the ASEAN Declaration. As set out in the Declaration, the aims and purposes of ASEAN are to accelerate economic growth, social progress, and cultural development in the region, to promote regional peace, collaboration and mutual assistance on matters of common interest, to provide assistance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training and research facilities, to collaborate for better utilization of agriculture and industry to raise the living standards of the people, to promote Southeast Asian studies and to maintain close, beneficial co-operation with exist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ith similar aims and purposes.
ASEAN(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UNCTAD : 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UN무역개발회의)
BRICs : a grouping acronym in economics for the countries of Brazil, Russia, India and China
BRICS: the acronym for five major emerging national economies: Brazil, Russia, India, China and South Africa
BRIMC, BRMIC : Brazil, Russia, India, China and Mexico
BRICET: Brazil, Russia, India, China, East Europe and Turkey
BRICK : Brazil, Russia, India, China and Korea
BRICA : Brazil, Russia, India, China and Arab
GCC : The Cooperation Council for the Arab States of the Gulf, originally (and still colloquially) known as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is aregional intergovernmental political and economic union consisting of allArab states of the Persian Gulf-Bahrain,Kuwait,Oman,Qatar,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except for Iraq. The Charter of the GCC was signed on 25May 1981, formally establishing the institution
Ⅲ. 우리나라의 무역 현황
1. 50년간 꾸준한 증가
1960년대 연간 수출액 1억달러 미달 현재 4000얼달러 상회 세계 10위권
가. 2017년 GDP
1조 4981억달러(세계 12위)
1인당 GDP 29,115달러
나. 2020년 GDP
1조6240억달러(세계7위)
1인당 GDP는 3만1366달러로, 이탈리아(3만1052달러) 능가
다. .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2020 자료)
대한민국 23위/63개국
2. 수출 내용
1950~1960년대의 농수산물과 광물이 현재는 선박, 섬유제품, 이동전화, 자동차, 반도체의 중화학 공업 및 첨단제품
세계무역 불균형
실학의 중상학파(용후생학파)
인물성동론(洛論)을 중심으로 성립하여 상공업 진흥과 청나라의 발달된 문물을 수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18세기 후반 영조·정조 대에는 상공업 발전 및 기술 혁신을 주장하는 실학자들이 나타났다. 당시 오랑캐라 배척하던 청나라의 문물을 적극 수용하여 부국강병과 이용후생에 힘쓰자고 주장하였으므로 이들을 이용후생학파 또는 북학파 라고도 한다. 그들은 주로 청나라에 내왕하면서 청조 문화의 우수함을 보고 조선에 돌아와서 그 발달한 문화를 수입하자고 주장한 사람들이었으며, 그들의 견문을 토대로 많은 저서를 남겼다. 대표적인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조헌(朝憲) | ▪ 동환봉사(東還封事, 선조 7년 1574) 중봉(重峯) 조헌(趙憲, 1544~1592)이 1574년 신종의 성절사의 질정관(質正官)으로 북경(연경)에 다녀와서 보고 듣고 조사한 바를 토대로 하여 조선에서 개선해야할 문제를 8조목으로 정리하여 올린 상소(質正官回還後先上八條疏)와 써놓기는 했지만 결국 올리지 못한 16조목의 상소(擬上十六條疏)를 모아 놓은 책이다(切事務者八條 關於根本者十六條). |
류수원(柳壽垣) | ▪ 영조때의 학자로 사농공상(士農工商)을 직업에 따라 구분하자고 하였다. ▪ 우서(迂書, 영조 5년 ~13년 1729~1737)는 문답의 형식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대한 개혁안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
박지원(朴趾源) | ▪ 영조・정조 때의 학자로서 수레, 선박, 화폐의 이용을 강조했다. ▪ 열하일기(熱河日記, 정조 4년 1780) : 청에 가는 사신 박명원(朴明源)을 수행했을 때 여행기. 허생전(許生傳), 호질(虎叱) ▪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 : 마장전(馬駔傳),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민옹전(閔翁傳), 광문자전(廣文者傳), 양반전(兩班傳), 김신선전(金神仙傳),우상전(虞裳傳), 역학대도전(易學大盜傳), 봉산학자전(鳳山學者傳) 9편(일하지 않는 양반 유학자들에 대한 신랄한 풍자소설) ▪ 연암집(燕巖集)의 연상각선본(煙湘閣選本) :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 ▪ 과농소초(課農小抄), 한민명전의(限民明田議), 안설(按說) |
홍대용(洪大容) | ▪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서 탈피할 것과 지전설을 주장했다. ▪ 담헌서(湛軒書) : 임하경륜(林下經綸),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 燕記), 의산문답(毉山問答, 실옹(實翁)과 허자(虛子)의 문답 형식으로 우주와 인간의 문제를 논한 책), 주해설용(籌解雪用) : 천문, 역학, 수학 |
박제가(朴齊家) | ▪ 승지 박평(朴坪)의 서자로 태어나 중국을 통한 국제통상, 신분차별 타파, 배와 수레의 이용. 벽돌 이용을 주장하고 검약보다는 소비를 강조했다 ▪ 북학의(北學議), 명농초고(明農草藁), 정유집(貞不集), 정유시고(貞不詩稿) |
이덕무(李德懋) | ▪ 연기(燕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홍양호(洪良湖) | ▪ 이계집(耳溪集) |
류득공(柳得恭) | ▪ 영재집(泠齋集) |
박제가(朴齊家. 1750~1805)
1. 상업, 무역과 사회 발전론
박제가는 상업과 무역의 장려와 개선을 주장했다. 그는 청나라를 네 번 오가며 아랍 ,베트남등의 무역상들을 통해 신문물을 접하면서 그는 새로운 문물 전파와 문화 교류 방법의 하나는 상업과 무역이라고 봤다. 따라서 그는 농업보다 상업에서 사회발전의 계기를 찾으려 했다. 상업과 무역을 천시하는 것은 잘못이며 이러한 장사와 무역이 국가 경제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봤다. 그는 무조건 근검절약만이 미덕이 아니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당대의 지배층들로부터 사치를 권장하느냐는 반박을 받았다. 그는 상업을 발달시키려면 대부분의 실하자들조차 미덕으로 여겼던 봉건적 절검사상을 배격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그는 자신의 저서 <<북학의>> 내편 시정(市井)조에서도 '소비는 단순한 소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재생산을 자극하는 것'이라 주장했고, '생산과 소비의 유기적 관계'를 해명함으로써 이를 연결하는 장사와 무역의 중요성을 천명했다. 따라서 그의 생각도 상업이 발달하면 농업과 수공업도 아울러 발달한다는 중상적 경제이론에 도달해 있었다.
또한 화폐 유통을 정조에게 여러번 건의하였다. 화폐 유통은 장사와 무역을 활발하게 돌아가게 하는 수단이었다. 박제가의 화폐경제 발달론의 본질은 국가의 경제력을 증대시켜 이용후생을 도모하는 데 있었다. 그것은 상업이 주가 되면서 농업·공업이 유기적으로 발전해야만 가능했다. 그래서 그는 상인들과 무역들에 대한 지나친 천대와 편견을 자제할 것, 수공업자에 대한 국가적 수탈의 금지, 대량생산 체제의 구축, 농업기술의 개량을 통한 농업생산성의 증진과 상업적 농업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그는 국가경제를 강화하기 위해 해외통상을 통한 재화의 증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밀무역을 근절할 방안으로도 국가가 상업과 무역에 대한 천대와 경멸, 제재를 줄여야 된다고 건의하였다. 무역과 상행위에 대한 제재가 사라진다면 밀무역 역시 자연스럽게 사라지거나 근절될 것이라고 하였다. 밀무역을 양성화시켜 정상적인 외국무역을 발전시킬 것과 개성, 인천과 충청도·전라도 일대의 서산, 태안, 장진, 은진, 강경, 여산등지의 강가를 끼고 있는 지역에 무역항을 열고 중국 남부 및 산둥(山東) 지방과 통상을 확대하고, 상권이 커지고 국력이 자라면 일본·안남·위구르 등 무역대상국을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조선 후기 상품화폐경제의 발전이라는 현실을 인정한 기반 위에서 상업·수공업·농업 전반의 생산력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국가경제체제를 재조하자고 하였다.
2. 북학의
가. 내편 : 상업의 중요성
나. 외편 : 국제무역의 중요성
다. 진북학의 :정조에게 내편과 외편을 요약해 제출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