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집주(小學輯註) 발문(跋文)
옛날 소학교(小學校)에서는 8세의 어린이를 처음 가르쳤으니, 생각건대 그 글이 알기 쉬워 배우기가 쉬웠을 것이다. 융성한 삼대(三代) 시대에는 교육하는 방법이 반드시 갖추어져 규모와 제도가 직관(職官)에 포함되어 있었을 터인데, 진(秦)나라의 분서(焚書) 이후로 이 책들이 전해지지 못하였다. 회암 부자(晦庵夫子)는 인도(人道)가 서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기고 학문에 근본이 없음을 탄식하여, 마침내 성인(聖人)이 가르침을 세우신 유지(遺志)를 따라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수집하여 《소학》을 만드셨다. 이로 말미암아 소학의 가르침이 다시 천하에 밝아졌으니, 진실로 세상에 남긴 큰 가르침이라 할 것이다. 다만 차례로 편집한 글이 고금(古今)을 넘나들어 정밀하고 깊으며 간결하고 오묘한 내용은 반드시 훈석(訓釋)이 있어야만 그 뜻을 밝게 알 수 있으니, 이는 《집주(集註)》의 설(說)이 뒤에 나오지 않을 수 없었던 이유이다. 주 부자(朱夫子) 이후로 주해(註解)한 학자가 뒤를 이어 각각 완성한 책이 있었으나 읽는 자들은 모두 그것이 경전의 뜻에 다 합치되지 못함을 병통으로 여겼다.
내 친구 덕수(德水) 이후 숙헌(李侯叔獻 이이(李珥))이 맡았던 일을 내놓고 돌아가 해산(海山)의 남쪽에서 도(道)를 강론하였는데, 선비를 만드는 규범을 완비하여 놓고 이 책을 덕에 들어가는 문으로 삼았다. 또 주해한 학설이 종류가 많아 바른 데로 귀착할 수 없음을 병통으로 여기고는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취하여 번잡한 것을 삭제하고 요점을 모으며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제거하되 한결같이 경전의 뜻에 위배되지 않고 명백하면서도 평이하고 진실하게 하였으며, 혹 자세하거나 간략한 것들이 서로 발명되게 하였으니, 각기 다른 여러 말들을 잡아 잘 절충했다고 이를 만하다. 근간에 한두 집우(執友 동지(同志))에게 보내어 함께 자세히 정정하도록 하였는데, 어리석은 나도 반복하여 볼 수 있었다.
아, 성현(聖賢)의 책은 어느 것이든 가슴속에 간직하여 실천할 만한 요체가 아니겠는가마는 소학의 가르침은 어릴 때의 교육을 통해 양지(良知)를 계발하여 추향(趨向)을 보여 주며 어린이를 바르게 길러 근본을 배양하되 일과 행실의 실천을 위주로 하였으니, 모두가 가정에서 일상생활하는 도리인 것이다. 동자가 하루의 가르침을 받으면 발을 떼어 놓는 처음부터 이미 법도를 따르게 되니, 완색(玩索)하는 공부가 함께 있어서 업(業)이 넓고 생각이 깊은 대학(大學)의 공부와는 같지 않다. 그렇다면 이 책을 읽는 자들은 그 뜻을 이해함을 어렵게 여길 것이 아니라 그 일을 익히는 데 전일(專一)할 것이요, 말을 늘어놓는 것을 귀중히 여길 것이 아니라 깊이 체득하고 힘써 실행함을 주장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요컨대 명륜(明倫), 경신(敬身)의 뜻을 마음속에 푹 젖어 들게 하고 살 속과 뼛속에 스며들게 하여, 일상생활하는 사이 부모를 섬기고 형을 따를 때에 효제(孝悌)를 당연한 것으로 여겨 마치 옷을 입고 밥을 먹는 것처럼 익숙하여 밖에서 구할 필요가 없게 되면 이른바 ‘함양이 순수하고 익숙해지며 근본이 깊고 두텁다[涵養純熟 根基深厚]’는 것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자들은 진실로 순실(純實)하게 실천하기를 이와 같이 해야 할 것이고, 때를 놓치고 뒤늦게 배워서 순서를 잃고 추후에 보충하는 자의 경우에는 더욱 이 뜻을 알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나는 늦게야 수습하여 근본이 서지 못하였다. 삼가 주 부자의 “경(敬) 공부가 오묘하여 무궁하다.”는 가르침에 느낌이 있어 매양 스스로를 면려하는 공정(工程)으로 삼아 마음속에서 스스로 자책하며 지낸 지가 오래되었다. 숙헌(叔獻)이 글을 보내 나에게 발문(跋文)을 요구하니, 감히 사양할 수 없으므로 이 말을 써서 고하는 바이다.
만력 경진년(1580, 선조13) 7월 초하루에 창녕(昌寧) 성혼은 삼가 발문을 쓰다.
小學輯註跋
古者小學。始敎八歲之蒙。想其爲言易知而其爲敎易入也。三代之盛。其法必備。規模條制。列於職官。而秦火之餘。其書不傳。晦菴夫子悶人道之不立。嘆爲學之無本。遂以聖人立敎之遺意。蒐輯經史。編爲小學之書。由是。小學之敎復明於天下。誠垂世之大訓也。第次輯之書出入古今。其精深簡奧之言。必有訓釋。然後其義可明。此集註之說不得不作於後也。夫子以後註家相踵。各有成書。然讀之者咸病其不盡合於經意也。吾友德水李侯叔獻謝事而歸。講道海山之陽。造士之規。悉擧成法。揭是書爲入德之。而且憂註說多門。莫歸于正。乃取諸家。刪繁粹要。集長去短。一以不反乎經旨。明白平實而或詳或略。又以互相發焉。可謂執羣言之兩端而善於折衷者矣。間送于一二執友。與之詳訂。雖以渾之愚。亦得以反復焉。嗚呼。聖賢之書。何莫非服膺踐實之要。而小學之敎。加之幼稚之初。發良知而示趨向。正蒙養而培本原。先諸事爲。無非家庭日用之常。童子受一日之敎。擧足之始。已立於循蹈之地。非如大學之方兼有玩索之功。業廣而思深也。然則讀是書者。不難於解其義。而專於習其事。不貴於說話鋪排。而主於深體力行。要使明倫敬身之意浹洽於中。淪肌浹髓。日用之間。事親從兄。卽見孝悌之當然。如着衣啗飯。無待於外求。則所謂涵養純熟。根基深厚者。可得而言也。童子固宜服事。純實如是。至於過時而學。失序追補者。尤不可以不知此意也。渾。晩暮收拾。根本不立。竊有感於夫子妙敬無窮之旨。每以嘗試責勉之工程。自訟於心者久矣。叔獻書來。徵跋文於余。旣不敢辭。則書其說以諗之云。萬曆庚辰七月朔。昌寧成渾。謹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