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구의 오랜 역사만큼이나 투수들이 던지는 구종도 해를 거듭할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이는 보다 뛰어난 투수로 거듭나기 위한 투수들의 피땀어린 결정체라고 볼 수 있는데 구종의 개념을 정확히 알고 메이저리그를 즐긴다면 보는 재미가 더욱 배가될 것이다. 투수판에서 홈 플레이트까지의 거리는 18.44m. 이 짧은 공간을 변화무쌍한 궤적을 그리며 날아가는 구종들에 대해 집중 분석해 보자. <글 싣는 순서 : (1)너클볼→(2)스크루볼→(3)스플리터→(4)체인지업→(5)슬라이더→(6)커브볼→(7)싱커→(8)패스트볼> |
<구종 집중분석 6> 야구 역사상 '최초'의 변화구 - 커브볼(Curveball) |
1. 커브볼이란 무엇인가? |
야구 역사상 최초의 변화구인 커브볼은 못 던지는 투수가 없을 만큼 보편적인 구종이 되었지만, 반면에 완벽하게 구사하는 투수 역시 드문 구종이다. 커브볼의 가장 큰 특징은 손목의 비틀기와 회전력을 이용해 볼이 위에서 아래로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데 있다. 패스트볼과는 대조적으로 공에 톱 스핀을 걸면 추진력보다 중력이 우세한 후반에 홈 플레이트 앞 150Cm 부근에 왔을 때 바깥쪽으로 휘면서 아래로 푹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때“커브볼은 실제로는 휘지 않는다. 즉, 눈속임에 불과한 것일 뿐”이라는 과학자들의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야구의 물리학>의 저자인 로버트 어데어(Robert K. Adair) 예일대학 물리학과 명예 교수는 커브볼의 궤적에 대해“투수에서 홈 플레이트의 중간에 이르렀을 때 공은 타자의 몸쪽을 겨냥했던 본래의 직선 궤도에서 약 8.6cm를 벗어나 홈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해 나아간다. 결국 공이 홈 플레이트에 이르면 원래 궤도에서 약 36cm를 벗어나 타자의 바깥쪽 구석을 통과 한다”고 규명한 바 있다.
커브볼은 가장 오래된 어찌 보면 구식 변화구지만 탄생한지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가장 치기 어려운 구종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2. 커브볼을 처음 던진 투수는? |
〈캔디 커밍스(Candy Cummings)〉
커브볼을 처음으로 던진 투수는 프레드 골드스미스(Fred Goldsmith) 또는 캔디 커밍스(Candy Cummings)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커밍스에서 그 유래를 찾곤 한다. 커밍스는 1863년 그의 나이 14세에 New England 해안에서 그가 던진 조개 껍질이 날아가는 모습을 보고 커브볼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은 후 몇 년간의 노력을 거친 후 1867년 실전에서 공식적인 커브볼을 던졌다고 한다.
1872년 내셔널 어소시에이션 소속의 뉴욕 뮤추얼스에서 데뷔한 후 내셔널리그 소속의 신시내티 레드스타킹스 등에서 활약한 커밍스는 통산 242게임에 등판하여 145승 94패 평균 자책점 2.49를 기록한 투수로 1877년까지 활약했다. 커밍스는 1939년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3. 커브볼의 장·단점 분석 |
명 해설가이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조 모건(Joe Morgan)은“뛰어난 커브볼은 어떤 구종보다도 타자를 손쉽게 삼진으로 잡을 수 있는 공”이라고 말했다. 그 만큼 떨어지는 각도가 큰 커브볼은 결정구로서 무서운 위력을 발휘 할 수 있고 특히 빠른 패스트볼을 던지는 투수에게는 그 위력이 훨씬 배가될 수 있다.
또한 메이저리그 타자들의 대형화로 좌우로 변하는 변화구의 위력은 과거에 비해 떨어지고 있다는 점과 인간의 눈이 좌우로 찢어져 좌우의 변화에 비해 상하의 변화에 대한 감지는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점으로 볼 때 커브볼이 가지고 있는 매력은 여전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커브볼의 인기가 과거에 비해 좋지 않은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앞서 커브볼을 완벽하게 구사하는 선수는 드물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커브볼의 컨트롤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커브볼의 브레이크가 제대로 날카롭게 듣지 않고 밋밋하게 날아오면 타자에게 치기 좋은 공에 불과할 뿐이며, 커브볼이 스트라이크 존의 낮은 지역을 통과하지 못하고 높게 형성 될 경우 타자에게 장타를 얻어맞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커브볼은 패스트볼보다 스피드가 약 20Km정도 떨어지기 때문에 타자에게 좋은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4. 커브볼 던지는 방법 |
커브볼을 던지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중지를 실밥과 나란히 잡고 검지를 곁에 놓는다.
2. 릴리스 순간에 공의 정점을 포수 측으로 끌어내리듯 중지로 공 앞쪽에 회전을 준다.
3. 팔을 뻗으면서 손목을 안쪽으로 튼다.
한편, 커브볼을 구사하는 데 있어 과거에는‘얼마나 큰 각을 그리며 떨어지느냐’가 중요시 됐지만 최근에는‘얼마나 빠른 속도로 떨어지느냐’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커브볼을 던질 때는 마지막까지 강한 회전을 주기 위해 공을 깊고 꽉 쥐는 게 좋다.
5. 커브볼의 대가들 |
메이저리그 역사상 커브볼을 잘 던지는 투수로 유명했던 선수로는‘황금의 왼팔’로 불렸던 샌디 쿠팩스(Sandy Koufax), '세 손가락의 브라운'으로 더 잘 알려진 모데카이 브라운(Mordeicai Brown), 뛰어난 커브볼 컨트롤을 자랑했던 대럴 카일(Darryl Kile) 등을 꼽을 수 있겠다.
〈샌디 쿠팩스(Sandy Koufax)〉
이중에서도 최고의 커브볼을 던진 투수로는‘굵고 짧은’야구 인생을 보냈던 샌디 쿠팩스를 꼽고 싶다. 전설적인 타자 윌리 스타젤(Willie Stargell)은“쿠팩스의 커브볼을 때려내는 것은 포크로 커피를 떠먹는 것과 같은 일”이라는 명언을 남겼는데, 그만큼 엄청난 낙차를 자랑하던 쿠팩스의 커브볼은 명타자에게도 곤욕이었던 것이다.
1955년 브루클린 다저스(현 LA다저스)에서 데뷔하여 1967년까지 다저스에서만 활약했던 쿠팩스가 12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기록한 통산성적은 165승 87패 평균 자책점 2.76 탈삼진 2,396개.
그는 1972년 86.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역대 6번째‘첫 해 헌액자’이자 최연소 헌액자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