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二章
(지금의) 천하 사람들이 모두 알아차리는 아름다움은 일부러 일삼은 아름다움으로서, 이것은 아름답지 못함일 따름이다. (지금의 천하 사람들이) 모두 알아차리는 좋음은 일부러 일삼은 좋음으로서, 이것은 좋지 못함일 따름이다. 따라서 (지금의 천하에서는 일부러 일삼은) 있음과 없음이 서로 살아가고, (일부러 일삼은) 어려움과 쉬움이 서로 이루어지며, (일부러 일삼은) 긺과 짧음이 서로 모양과 모습을 갖추고, (일부러 일삼은) 높음과 낮음이 서로 흘러 넘치며, (일부러 일삼은) 소리와 소리가 서로 어우러지고, (일부러 일삼은) 앞과 뒤가 서로 따른다. (따라서 지금의) 천하 사람들은 (모두) 이른바 (1장의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알아차린다可知.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為로써 (천하의 사안을) 일삼는 바에 머물렀고, (자신의 몸으로 일삼는 바를 천하 사람들에게 보여줄 뿐, 천하 사람들에게 일부러 일삼아) 말하지 않는 가르침을 일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시키지 않았지만, 천하 사람들은 알아차리지 못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알아차리는 바可知를 말미암지 않는 사람일 따름이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시키지 않았지만) 천하 사람들은 (알아차리는 바를) 일으켰다.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알아차리는 바可知를) 비롯하지 않은 채.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시키지 않았지만, 천하 사람들은) 살아갔다.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알아차리는 바可知를) 가지지 않은 채.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시키지 않았지만, 천하 사람들은) 일삼았다.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알아차리는 바可知를) 기대지 않은 채.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이 시키지 않았지만, 천하 사람들의) 공(功; 作·生·爲)이 이루어졌다.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알아차리는 바可知에) 머물지 않았지만. 요컨대,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오로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알아차리는 바可知에) 머물지 않았는데,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로써 알아차리는 바常知를) 떠나가지 않았다.
天下皆知美之為美, 斯惡已. 皆知善之為善, 斯不善已.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 高下相盈, 音聲相和, 前後相隨. 天下之所可知. 是以聖人處無為之事, 行不言之教. 非不令天下知. 因其不可知者而已. 萬物作而弗始, 生而弗有, 為而弗恃, 功成而不居. 夫唯弗居, 是以不去.
(지금의) 천하 사람들은 모두 (1장의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하고 뚜렷한 두 가지 가운데可道·可名·有欲·有爲를 붙잡고, 그것으로 돌아가는 바로) 바뀌었다. 따라서 (지금의 천하 사람들은 모두 1장의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두 가지 끄트머리(端; 常道·常名·無欲·無爲)를 붙잡아야 하고, (그것으로) 돌아가야 한다. (왜냐하면, 그) 두 가지 끄트머리는 (이미 천하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바(生·性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하나(一; 道·德·自然·無爲)는 (이미 천하 사람들에게) 이르러 있는 바(致; 命)이기 때문이다.
天下之, 變萬. 而要歸於兩端. 兩端, 生. 於一, 致.
따라서 이른바 (지금의 천하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은) “아름다움”을 가지는 바가 있고, 따라서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아름답지 못함”을 가지는 바가 있으며, (따라서)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좋음”을 가지는 바가 있고, 따라서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좋지 못함”을 가지는 바가 있다. 따라서 (지금의 천하 사람들에게 있어서) 하나는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두 가지 끄트머리, 이것에 대한 평미레로서의) 하나가 아닌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하고 뚜렷한 두 가지 가운데) 저것에 대한 평미레(로서의 하나)이다. 따라서 (지금의 천하에서는 저절로 그러한) 하얀색과 검은색이 (일부러 일삼아) 다투어진다. 따라서 (지금의 천하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한 검은색을 일부러 일삼아) 어그러뜨리고, (저절로 그러한 하얀색을 일부러 일삼아) 기리며, (저절로 그러한 검은색과 하얀색을 일부러 일삼아) 뒤섞는다.
故方有“美”, 而方有“惡”, 方有“善”, 而方有“不善”. 據一, 以概乎彼之不一. 則白黑競. 而毀譽雜.
(그러나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두 가지 끄트머리에 대한 평미래로서의) 하나(一; 道·德)를 (마음에) 품었다.” 이른바, (따라서) 그는 (그 하나와 더불어)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그는 그) 하나를 더불어 한 채, (그) 두 가지 (끄트머리)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천하 사람들을) 일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 사람들) 그들은 천천히 (그 하나의) 가운데(中; 自然·無爲)에 머물렀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 사람들) 저들은 (그 하나와 더불어)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 사람들은) 그 하나와 더불어 한 채, (그 하나의) 성채(壘; 性·命)를 일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 사람들은) 그 본래의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하고 뚜렷한 두 가지 가운데를 가지는 바가) 없는 성채를 (다시) 알아차렸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 사람들은 그 본래의 일부러 일삼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하고 뚜렷한 두 가지 가운데를 가지는 바가 없는 성채 위에 다시) 앉는 바에 이르렀고, 그것을 (마음 안에 다시) 거두어들였다.
聖人之, 「抱一」也. 方其, 一. 與一, 為二. 而我, 徐處於中. 故彼一. 與此一, 為壘. 乃知其本無壘也. 遂坐, 而收之.
(이른바, 그 본래의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하고 뚜렷한 두 가지 가운데를 가지는 바가 없는) 성채가 (다시) 세워진 (천하) 사람들은 “(그 성채에) 머물게 된다.” 이른바, (그 성채 위에 다시) 앉고, (그것을 마음 안에 다시) 거두어들이는 (천하) 사람들은 “(그 성채를) 떠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 사람들) 그들은 이른바 (그 성채를 일삼는 바를) 다투기를 잘했다.
壘立者, “居”. 而坐收者, “不去”. 是之, 謂善爭.
해 설
평미레槪는 말斗이나 되升에 곡식을 담아, 그 위를 평평하게 밀어, 정확한 양을 재는 데 쓰는 기구이다. 여기서는 기준, 법칙, 모범, 이치, 근본, 근원 등을 뜻한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