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 서울·경기 확산…지난해보다 46% 증가
입력 2019.04.28 (11:38) / KBS

A형 간염이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A형 전국의 간염 확진자는 3천5백여 명으로 지난해보다 46% 늘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최근 몇 년 사이 감염자가 가장 많았던 2017년 4천4백여 명을 훌쩍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A형 간염은 물이나 식품을 매개로 감염되는 제1군 감염병으로 고열과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시·도별 감염자 수는 경기도가 천35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이 570명입니다. 두 지역 감염자가 전국의 45%를 차지했습니다.
보건당국은 A형 간염 확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 잠복기가 15∼50일로 다른 감염병보다 훨씬 길어 집단 감염자들이 이 기간 무엇을 함께 섭취했는지를 파악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A형 간염 확진자의 70% 이상은 30∼40대입니다. 올해 A형 간염 확진자 중 30대가 37%, 40대가 35%에 달합니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20대 이하는 예방접종을 통해, 50대 이상은 자연감염을 통해 항체를 가진 경우가 많다"며 "A형 간염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게 최선"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출처: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89642&ref=D
A형 간염은 경구감염으로 입을 통해 감염이 되는데 음식물, 식기, 환자가 사용한 물건 등을 통해 전염이 됩니다. 감염되면 피로감이나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발열, 우측 상복부의 통증 등 일차적인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고열과 복통, 설사가 주된 증세,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A형 간염은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지 않고 한 번 앓고 나면 면역이 생겨서 재발하지 않지만 B형·C형 간염은 만성 간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B형·C형 간염은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는데 B형 간염에 걸리면 피로, 구역, 소화불량, 황달 등 C형 간염에 걸리면 오한과 발열, 독감과 비슷한 증세, 황달 등의 증세도 나타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B형·C형 간염은 한때 성인의 10%가 보균자일 정도로 심각했으며, 40대와 50대에서 간경변과 간경화 그리고 간암을 일으켜 그동안 많은 이들이 죽었다.
서울·경기서 A형 간염 확산, 예방 접종 당부, 예방 접종이 최선
모르는 사람은 진짜인 줄 알겠네 ㅋㅋㅋㅋㅋ
예방 주사는 수은과 알루미늄이 함유된 독극물이나 마찬가지
사람을 바보로 만들어야 인간의 몸에 생체 베리칩을 심기에 매우 용이한데 그 베리칩이 몸 상태를 체크해 줍니다.
청결한 사람은 A형 간염에 걸릴 확률이 매우 낮으며, B형·C형 간염은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서 전염되기에 건강한 생활을 유지해 병원에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