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상자거북 : Cuora flavomarginata (Gray) (= Cristoclemmys flavomarginata)
► 외국명 : Chinese box turtle, Yellow-margined box turtle, (일) Semaruhakogame (セマルハコガメ)
► 형 태 : 갑장은 최대 19.5㎝이다. 배갑은 돔 형태로 솟아올라 있으며, 중앙부보다 약간 뒤쪽이 가장 높고, 그 뒤쪽은 폭이 가장 넓다. 배갑은 위에서 보면 타원형 또는 계란 모양이다. 부화 직후부터 있는 갑판(초생갑판)이나 성장륜은 명료하지만 노령 개체에서는 마모되어 선명하지 않다. 항갑판은 약간 대형이고, 뒤쪽의 폭이 넓은 쐐기형 또는 사다리꼴이다. 추갑판에는 힘줄 모양으로 솟아오른 융기(용골)선이 있고, 늑갑판에는 융기선이 없고 파선 모양을 이룬다. 연갑판의 거치는 뾰족하지 않다.
배갑은 적자색을 띤 암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초생갑판의 주변은 빨색이나 주황색으로 되는 개체가 많지만 성체에서는 일부만 밝은 색으로 되는 개체도 있다. 추갑판의 융기선 주위는 황색이나 주황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다. 연갑판 하부는 황색이나 담황색을 띤다. 배쪽의 복갑은 대형이고, 홈이 패여 있지 않다. 좌우 항갑판의 연결 부위가 마모되는 경우가 많으며, 서로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배쪽의 복갑(腹甲)을 굽혀서 등쪽의 배갑(背甲)과의 빈틈을 완전히 닫을 수 있다. 복갑은 검은색이나 흑갈색이고, 흉갑판이나 복갑판의 가장자리(개체에 따라서는 다른 갑판도)는 담황색이나 황색을 띤다.
머리는 약간 크고, 주둥이 끝은 별로 돌출되지 않으며, 위턱의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약간 뾰족하다. 머리는 갈색 또는 암황색 등으로 변이가 심하다. 고막 주변에는 타원형, 후두부 측면에는 쐐기 모양의 황갈색이나 주황색의 무늬가 있다. 사지의 위쪽은 암갈색이나 짙은 회색이고, 아래쪽은 밝은 갈색이다. 꼬리는 굵고 짧다.
알은 장경 3.5~5.8㎝, 단경 1.6~2.6㎝의 타원형이고 껍질은 희고 단단하다. 부화 직후의 어린 개체는 갑장 3.2~4㎝ 정도이다. 어린 개체의 등쪽 배갑은 편평하며, 뒤쪽 연갑판의 가장자리에는 미약한 거치가 있다. 또 좌우의 항갑판의 융기선이 명료하다.
► 설 명 : 중국에서는 해발 800~950m, 일본에서는 해발 400m 이하의 광엽수림과 그 주변에 서식하며, 산림 내 하천의 주변과 늪지, 습원 등 습도가 높은 환경을 좋아한다. 육지에 서식하며, 여름철에 물이 있는 주변에 모이거나 얕은 물에 들어가기도 하지만 잠수해서 헤엄을 치는 경우는 드물다.
식성은 잡식으로 곤충, 거미, 육지에 서식하는 패류, 지렁이, 동물의 사체, 과일 등을 먹는다. 차에 치어죽은 동물의 사체나 소똥에 모인 곤충을 먹기도 한다. 번식은 난생이며, 6~9월에 1회에 2~6개 이상의 알을 몇 차례로 나누어 낳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육할 때에 3회로 나누어 알을 산란한 예가 있다.알은 주로 3개월 이내(30°C에서 68~72일, 28°C에서 최장 101일)에 부화한다. 발생시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보다 높으면 암컷이 될 확률이 높아진다(온도 의존성).
종명의 ‘flavomarginata’는 ‘가장자리가 황색’이라는 뜻으로 영명의 ‘yellow-margined (가장자리가 황색)’과 같은 뜻이다. 키우기는 비교적 쉬운 편이다. 대형종은 아니지만 활발하고 케이지 내부를 더럽히기 때문에 사육할 경우에는 대형 케이지가 필요하다. 성질이 거칠고 다른 개체를 물거나 약한 개체를 잡아먹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단독 사육한다. 먹이가 편중되면 성장불량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먹이를 골고루 주도록 한다.
► 분 포 :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비 고 : 본종에는 두 아종이 있으며, 중국과 대만에 분포하는 중국상자거북(C. f. flavomaginata)과 일본에 분포하는 일본상자거북(C. f. evelynae)이다. 중국상자거북(C. f. flavomarginata)은 등쪽 배갑은 융기하고 폭이 넓으며, 제1추갑판의 가로 폭이 작은 경향이 있다. 일본상자거북(C. f. evelynae)은 등쪽 배갑이 편평하고 가늘고 길며, 제1추갑판의 가로 폭이 큰 경향이 있다.
► 참 고 : 중국에서는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된다. 개발을 통한 서식지 파괴, 도로에 의한 서식지 분단 및 교통사고, 식용 및 약용, 애완동물용, 박제용 남획(일본에서도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에도 밀렵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서식지에서는 보호대상이며, 일본에서는 일본상자거북을 197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애완용으로 사육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1980년대만 해도 대만산, 1970년대 이후에는 중국산 야생 개체가 유통되고 있었다. 개체 수의 감소에 따라 1980년대에 대만은 수출을 금지하였고, 중국산의 개체도 1990년대 후기에는 유통량이 감소했다. 게다가 2000년에 상자거북류에 대한 워싱턴조약 부속서II에 게재되어 유통량이 감소했다. 주로 인공 사육한 개체가 유통된다.
대부분의 상자거북들이 그렇듯 중국상자거북도 CITES II(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국제 보호동물로서 상업적 거래에 제한을 두는 종)에 속하는 종이다. CITES II는 수입경로만 합법적이고 허가된 경로로 들여온 것은 분양 받아서 키우는 것은 가능하다. CITES I 에 속하면 거래는 물론 사육자체가 불법이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