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와 같은 정보로 TizenRT를 ESP32보드에 올려보았습니다.
http://cafe.daum.net/opensupport.xyz/psuZ/2
우선 위 링크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을 하였는데,,,아직 ESP32보드에서 개발환경이 완벽하지가 않았습니다. 그래서 개발환경 세팅하고 소스빌드하고 이미지를 flashing하는 도중에 하기와 같은 issue도 report 하면서 작업을 하였습니다. 개발 과정은 RT IDE로 개발할 수 있는 환경과 CLI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으로 2가지였습니다.
우선, RT IDE를 활용하여 개발할 수가 있을 것 같아 하기 링크를 참조하여 RT IDE를 설치하습니다.
https://developer.tizen.org/development/tizen-studio/rt-ide?langredirect=1
그런데 RT IDE가 ESP32_DevKit 보드를 완벽하게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하기와 같은 이슈가 있습니다.
https://github.com/Samsung/TizenRT/issues/4015?fbclid=IwAR0W7M6Ss0mx6mF6gZ1NLNjVDwXU_M1CAukNdNdsxWOL8E_N75NcguP_Wr4
그래서 두번째 방법으로 CLI 상에서 하기 링크 정보를 보고 다시 개발환경 셋업을 하였습니다. configuration 과정은 하기 링크와 같이 하시면,,,그림과 같이,,,
https://github.com/samsung/tizenrt

또 개발환경 셋업과정도 흥미로왔습니다. 하기와 같이 리눅스커널 개발 시 사용하는 make menuconfig 스타일을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CLI 환경으로 TizenRT 소스를 빌드하는데 성공하였는데 이번에는 빌드된 이미지를 flashing하는데 문제가 아래와 같이 있었습니다.
https://github.com/Samsung/TizenRT/issues/4016?fbclid=IwAR26ior62Xl9UcaFye867tY3PpsDn0DkV-rPgFkphw0rE0P6h3J1rC0i3AA
즉, 위 링크와 같이 ESP32보드에 image를 다운로드 하기위해 esptool.py (다운로더) 가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esptool.py는 별도의 깃허브 공식저장소에서 다운받아 로컬PC에 설치하여 사용하였습니다. esptool.py는 하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espressif/esptool/blob/master/esptool.py?fbclid=IwAR0YTBmA8HYz4BzkZzYu2wrTrhHd48wuxMI2wsahufgHXh5KCVaJGj2S2dM
이렇게 image를 하기와 사진과 같이 flashing하니,

ESP32보드가 정상적으로 아래와 같이 잘 부팅하였습니다.

부팅하고 보니 tizenRT는 tash라는 shell을 보드상에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ls, ps, pwd 등등의 command가 잘 동작하였습니다.

ESP32에 작업하다가 생긴 문제들은 깃허브에 올린 위와같은 이슈이외에 종합적으로 페이스북 타이젠팀의 공식페이지에 올렸습니다.,, 언제 bug fix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https://www.facebook.com/groups/tizentalks/permalink/2500672319968353/
첫댓글 How to develop things using SmartThings(IoT Cloud) based TizenRT 관련 정보는 하기에:
1. https://github.com/Samsung/TizenRT/blob/master/docs/HowToDevelopThingsUsingSTThings.md
2. https://github.com/Samsung/TizenRT/blob/master/docs/HowToDevelopThingsWithTizenStudioForRT.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