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 지맥은 ?
한남 전맥의 선장산350m 북쪽 1.7km 지점인 용인 향린동산에서 서북쪽으로 분기해서 법화산383.2.
대지산326.2.불곡산335.4.영장산414.2.망덕산500.3.검단산534.1. 청량산480.남한산(남한산성)522.용마산595.7.
두리봉569.검단산658.4을 거쳐 경안천이 한강에 합수하는 팔당댐에서 그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45km의
산줄기이다.
검단 지맥의 서쪽은 탄천 동쪽은 경안천을 경계지으며 경안천이 한강에 들어가는 합수점에서 그 맥을 다하는
데 산줄기의 끝자락이 팔당호 호수물이 들어차 있어 옛한강 바닦은 팔당호로 되어있어 가기는 힘들고 현재는
팔당댐을 검단지맥의 종착점으로 본다.
검단 지맥에는 검단산 이름의 산이 두개있는데 팔당호 직전의 검단산이 더높고 이산줄기의 최고봉이라 검단
지맥이라는 이름을 붙여젖다.
또한 검단 지맥에는 남한산성이 있는데 남한산에 있는산성(남한산성)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 등제되어있는
산성으로 사시사철 관광객 등산객 수도권 지역 시민들이 많이 찿는 산으로 항상 사람들로 북적인다.
경안천이 한강을 만나는 합수점 바로 위쪽에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한강기맥 두물머리가 위치해 있는데
인근 지역에 한강기맥.천마 지맥. 앵자 지맥.검단 지맥등 4개의 기맥/지맥 산줄기 끝점이 끝나는 지점으로 현재는
댐을 막아 팔당호로 수력 발전소와 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식수원으로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022년6월17일금요일.
검단 지맥 2구간 이배재 고개-팔당댐 합수점.
경로:이배재(2차선도로)-망덕산500.3-검단산534.7-청량산480-남한산성(수어장대)-남한산522(동장대터)-은고개
(43번 국도)-용마산595.7-두리봉569-검단산657-팔당댐(팔당호 45번 국도) 25.5km
출발:경기도 광주시 목현동 941/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산52(이배재 고개)
도착: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 산140-6(팔당댐 45번 국도)
출발 성남시 상대원동 쓰레기 소각장 옆 2차선도로로 청소년 수련원 방향으로 오라가면 이배재 고개에 도착한다.
도착 팔당댐에서 광주시 일반 버스 운행.하남시 에서 택시호출 하남시 지하철역.
검단지맥 마루금을 한거름한거름 옴기다보니 어느새 끝지점까지왔내요오늘로2구간 졸업합니다.
이배재 고개는 광주시 목현동과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경계로 고개위에는2차선 도로이고 고개밑으로
터널을 뚜러 지방도 제338호선이 지나간다.
지방도 제338호선
지방도 제338호선은 경기도 성남시 하대원동에서 광주시 퇴촌면 관음리 관음
사거리를 종점으로 하는 경기도의 지방도이다. 현재 폐지된 구 지방도 제389호선
구간을 따르는 것이 특징이나, 성남에서 광주로 넘어가는 고갯길 중 하나인
이배재를 지나간다.
성남-퇴촌선
총연장:25.022km
기점:경기도 성남시 하대원동.
종점: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연혁
2005년 3월 28일 : 기존 지방도 제338호선인 '남양 ~ 기흥선'을 폐지
2005년 3월 28일 : 지방도 제338호선을 새로 지정
경유지
성남시
중원구 여수사거리 북단 - 하대원파출소앞 사거리 - 영성중학교 - 갈현교 -
(독점마을) - 갈현 교차로 - 이배재고개입구 교차로 - 성남시환경에너지시설 -
이배재
광주시
탄벌동 이배재 - 목현동 - 풍년교 - 탄벌동행정복지센터 - 탄벌동 - 벌원
교차로 - 광주시보건소앞 - 탄벌교
송정동 파발교상단 - 송정교북단 교차로 - (송정펌프장)
초월읍 지월리 - 지월교 - 신월2교 - 무갑교 - 무갑리
퇴촌면 원당리 - 정지리 - 관음리 - 관음사거리
중복 구간
광주시 초월읍 무갑교 남단 ~ 정지리 : 지방도 제325호선과 중복
도로명
성남시 중원구 여수사거리 북단 ~ (독점마을) : 마지로
성남시 중원구 (독점마을) ~ 갈현 교차로 : 경충대로
성남시 중원구 갈현 교차로 ~ 이배재고개입구 교차로 : 순환로
성남시 중원구 이배재고개입구 교차로 ~ 성남시환경에너지시설 : 둔촌대로
성남시 중원구 성남시환경에너지시설 ~ 광주시 탄벌동 벌원 교차로 : 이배재로
광주시 탄벌동 벌원 교차로 ~ 광주시보건소앞 : 파발로
광주시 탄벌동 탄벌교 : 송정로
광주시 탄벌동 탄벌교 북단 ~ 송정동 송정교북단 교차로 : 통미로
광주시 송정동 송정교북단 교차로 ~ 초월읍 무갑교 남단 : 경안천로
광주시 초월읍 무갑교 남단 ~ 퇴촌면 정지리 : 산수로
광주시 퇴촌면 정지리 ~ 관음사거리 : 정영로
쉼터봉.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산이라 쉼터가 만다.
2구간 첯번째 정상을 찍는다.
검단산534.7m 전상석에는 산높이가 업내.
검단산 정상은 헬기장으로 주변에 나무가 무성해 종망은 보기 힘들다.
군부대 올라가는 도로따라 내려가면 산성 입구 남문으로 갈수있다.
산성이 보인다.좌축성벽따라 진행하면 산성 남문으로갈수잇다.
산성 남문이다.
산성 안으로 들러가 성벽에서 보는 남문이다.
뿌연 안개속에 검단산 망덕산.
남한 산성 수어장대.
수어장대에서 서북쪽으로 내려다 보이는 곳이 서울(한양)전경으로 맑은 날에는 서울 전지역이
다 내려다 보인다.
수어장대 지키미 소나무.
검단 지맥은 저앞에 동장대 남한산으로 이어감니다.
산성 복원이 덜된곳이다.2-2구간으로 이어짐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