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국가 개관 및 역사 1
Reading in depth
Vikings 'brought sarcastic sense of humour" to Britain'
Sarcasm, understatement" and irony can be traced back to the Viking era claims Claus Grube, the Danish Ambassador, as he says the similar sense of humour between Denmark and the UK originates from our shared cultural heritage.
제1강 영국: 국가 개관 및 역사 I
Reading in depth 바이킹들이 '영국에 빈정거림의 유머감각을 가져왔다'
덴마크 대사 클라우스 그루베는 덴마크와 영국 사이에 있는 유사한 유머 감각은 공통의 문화유산에서 비롯된다고 말하며 빈정거림, 억제된 표현, 그리고 아이러니는 바이킹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It may be the bedrock of British humour, but sarcasm was actually brought to the UK by the Vikings" says the Danish Ambassador.
덴마크 대사는 빈정거림이 영국 유머의 기반일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은 사실 바이킹들이 영국으로 들여왔다고 주장한다.
The British use of understatement and satire is thought to originate from the Vikings, typically noted for raping and pillaging throughout history, when they brought trade from across the world to British shores.
영국인들의 억제된 표현과 빈정거림의 사용은 역사적으로 강간과 약탈로 전형적으로 유명한 바이킹들이 세상 저쪽에서 영국 해안으로 교역을 가져올 때 그들에게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This led to exchanges with Britons, and the Vikings influencing them with the words and expressions they used.
이는 브리튼 민족과의 교류로 이어졌으며 바이킹들은 브리튼인들에게 그들이 사용하던 말과 표현들로 영향을 끼쳤다.
These eventually became part of everyday language, seen in some of the words and place names we use today, and ultimately in our caustic sense of humour.
이것들은 결국 일상 언어의 일부가 되었고,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몇몇 단어와 지명, 그리고 마침내 우리의 냉소적 유머감각에서 확인된다.
Sarcasm, irony and understatement are part of the "common heritage" between Denmark and the UK says Claus Grube.
클라우스 그루베는 빈정거림과 아이러니, 억제된 표현은 덴마크와 영국 사이의 "공토 유산'의 일부라고 말한다.
He also claims there are traces in comic tales used in the later Old Norse" sagas, such as Orkneyinga Saga where an Earl goes out disguise as a fisherman, to help a farmer.
그는 한 백작이 농부를 돕기 위해 어부로 변장하고 나가는 오크닌가 영웅담과도 같은 후기 고대 스칸디나비아 영웅담에 사용된우스꽝스러운 이야기들에 이러한 혼적이 있다고 주장한다.
These sagas, largely from the thirteenth century and known for their laconic humour, detail examples of comedy in the face of adversity," and also contain the roots of some Danish and English words showing more similarities in how we communicate.
이러한 영웅담들은 대체로 13세기부터 전해져 왔고 간결한 유머로 유명한데, 역경 속에서 나오는 웃음의 예를 상세히 묘사하고 있으며, 우리가 대화하는 방식에서 더 많은 유사성을 보이는 몇몇 덴마크어와 영어 단어의 뿌리를 보유하고 있다.
"Sarcasm is very much inherent in British humour," Mr Grube told Telegraph.
He cites contemporary episodes, particularly the "extreme popularity" of Monty Python" in Denmark as an example of the shared sense of comedy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he says shows evidence of a common cultural heritage.
"빈정거림은 영국 유머에서 아주 고유한 것입니다"라고 그루베 대사는 텔래그래프에 전했다.
그는 공통된 문하유산의 증거를 보여 주는 두 나라 사이의 공동된 코미디 감각의 예로서 특히 몬티 피톤의 "엄청난 인기를 동시대 에피소드로 인용한다.
"It has always struck me that in the UK we have the same sense of humour as in Denmark," he added. "We use sarcasm and irony, and we also like understatement.
"영국이 덴마크와 같은 유머감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나를 항상 놀람게 했습니다"라
고 그는 덧붙였다. "우리는 빈정거림과 아이러니를 사용하고 또한 억제된 표현도 좋아합니다.
"I think this forms part of our common heritage, stemming from the Vikings and some of the legacy they have left.
저는 이것이 바이킹들과 그들이 남긴 유산의 일부에 기원을 둔 우리의 공동 유산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this legacy forms part of the way we express ourselves and the way we interact and the way you use language."
저는 이 유산이 우리가 스스로를 표현하는 방식, 우리가 교류하는 방식, 그리고 우리가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생각합니다."
Mr Grube cites a typical British use of sarcasm, describing something as "it could have been worse", as humour particular to both countries that he believes could stem from expressions brought to the UK from the Vikings.
그루베 대사는 무언가를 "더 나를 수도 있었지"라고 설명하는 것을 전형적 영국식 빈정거림의 예로 드는데, 이는 두 나라 특유의 유머 감각으로 이 유머는 바이킹을 통해 영국에 들어온 표현들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그는 믿는다.
"It was not all about raping and pillaging, the Vikings were trading a well," said Mr Grube, who has been in the UK for six months but said he has been struck by the similarities in British and Danish comedy.
"바이킹들은 강간과 약탈만 한 것이 아니라 교역도 했습니다"라고 영국에 온지 6개월밖에 안 되었지만 영국식과 덴마크식 코미디의 유사성에 놀란 그루베대사는 말했다.
"You have a more open attitude to the world around you if you are living from') trade."
"교역을 해서 먹고살려면 주변 세계에 더 개방된 태도를 가지게 됩니다."
Mr Grube said trading led to exchanges with the Vikings and the inheriting of expressions and body language, which influence comedy today.
그루베 대사는 교역은 바이킹들과의 교류 및 그 표현과 보디랭귀지의 상속으로 이어졌고 이들이 오늘날의 코미디에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He added: "Humour is actually an important part of the way you express yourself.
그는 덧붙였다. "유머는 사실 사람들이 스스로를 표현하는 방식의 중요한 한 부분입니다.
"The use of sarcasm and irony is quite distinct from other countries.
For example if you use that in France and Germany it will often be taken literally," and the humour lost.
빈정거림과 아이러니의 사용은 다른 나라들과는 상당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나 독일에서 빈정거림과 아이러니를 사용한다면 종종 유머는 사라진 채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질 것입니다."
Mr Grube said this difference adds to his belief that humour in the UK and Denmark dates back to our shared history.
그루베 대사는 이 차이점이 영국과 덴마크의 유머가 공동의 역사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그의 확신을 더해 준다고 말했다.
He also cites Dane Law as an influence on words in Britain.
He added: "Words were inherited, especially in the geographical sense unde what you would call Dane Law.
그는 포한 영국 단어에 끼친 영향으로서 데인로를 예로 든다. 그는 말했다
“어휘들은 우리가 이른바 데인로 당시의 특히 지리적 개념에서 유산을 물려받았습다.
But it's not only geography, this introduced a legal system as well."
Dr Matthew Townsend, an expert in Old Norse from the University of York, said examples of influences on English humour can be seen from a range of periods in history, including in Old Norse sagas which were largely written in the thirteenth century - three centuries after the Viking settlement of England.
하지만 그것은 지리적인 것뿐만 아니라 법적 체계에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요크대학교에 있는 고대 스칸디나비아 전문가 매튜 타운센드 박사는 영국 유머에 끼친 영향의 예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대체로 바이킹들의 영국 정착 3세기 후인 13세기에 쓰힌 고대 스칸디나비아 영웅담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He said: "Anglo-Saxon texts also show a fondness for terse understatement, often of a humorous kind: so, for example, the poem Beowulf declares of the haunted mere where Grendel and his mother live, 'that is not a pleasant place!'
그는 말했다. "앵글로잭슨 문서들은 또한 종종 유머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간결한 역제된 표현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자면 '베오울프'라는 시는 그렌델과 그의 어머니가 살고 있는 귀신이 나오는 호수에 대해 이렇게 말함니다. '여기는 재미있는 곳은 아니군!"
"So one would be hard pressed to demonstrate that such understatement is a Viking import to England, rather than a common tradition.
그래서 이러한 억제된 표현이 공통의 전숭이라기보다는 바이킹이 영국으로 가저온 수입품이라는 것을 설명하는 데 애를 먹게 됩니다.
"But it's certainly true that the Old Norse sagas offer abundan examples of laconic humour, often in the face of adversity. 하지만 확실한 것은 고대 스칸디나비아 영웅담들은 종종 역경 속에서 나오는 간결한 유머의 많은 예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My favourite comes in Grettir's Saga : the hero's brother, Atli, is stabbed fatally through the stomach, whereupon his dying words are (more or less)
'I see that broad spears are in fashion this year'." 내가 제일 좋아하는 유머는 그래티어의 영웅담에 나타납니다. 영웅의 동생인 아틀리가 복부에 치명적으로 활을 맞고 죽어가며 하는 말은 (대략) 이렇습니다. '아, 알겠어. 금년에는 넓은 창이 유행이군."
Ivar Berg, a postdoctoral fellow" at the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aid while there were close interactions between Scandanavians and the English, he did not believe the Ambassador's statement.
노르웨이과학기술대학교에서 박사과정 후 연구원으로 있는 이바 베르그는 스칸디나비아인들과 영국인들 사이에는 밑접한 교류가 있었지만, 자신은 덴마크 대사의 말을 믿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말했다.
He said: "There are parallels, of course - sarcasm and understatements are well known and highly regarded also in Scandinavia, but to pinpoint a direction of influence seems futile." "당연히 유사한 것들은 있습니다. 빈정거림과 억제된 표현들은 스칸디나비아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고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하지만 영향의 방향을 콕 집어 말한다는 것은 의미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Dr Ragnhild Ljosland, a lecturer in Nordic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the Highlands and Islands, said rather than one source, it was likely English humour had been subject to a range of influences over the last 1,000 years.
하이랜즈앤드아일앤즈대학교에서 노르딕학을 강의하는 랑힐 로슬란드 박사는 영국식 유머는 출처가 한 군데라기보다 지난 천년에 걸쳐서 다양한 영향 아래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슬란드 박사는 말했다.
Dr Ljosland said: "I believe that the English have developed and refined their sense of humour through the ages and that it draws on a range of sources of cultural contact, as well as being their own, of course. "나는 영국인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그들의 유머 감각을 발전시키고 세련되게 만들었으며, 영국식 유머는 물론 그들 자신의 것을 포함해서 다양한 문화적 접촉에서 비롯되었다고 믿습니다.
"Personally, as a Scandinavian living in the UK, I find the English understated and sarcastic sense of humour hard to understand. It often completely passes me by.' “영국에 사는 스칸다나비아인으로서, 나는 개인적으로 양국식의 억제되고 빈정거리는 유머를 이해하기 힘듭니다. 종종 그것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때가 있거든요."
In the chapter "Poetry and fishing' in Orkneyinga saga, humour is used to describe how an Earl manages to hide his identity from villagers by pretending to be a fisherman.
오크닌가 영웅담의 '시와 낚시'라는 장에는 어떻게 한 백작이 어부인척을 하면서 마을 사람들에게 자신의 정체를 숨기는지 설명하기 위해서 유머가 사용된다.
The Earl, dressed in a cowl, goes fishing with a farmer and gives all his haul away, before climbing a slope where "his feet shot from under him where the rain had made it slippery and he tumbled down to the bottom of the slope."
백작은 외투를 덮어쓰고 농부와 함께 낚시를 가서 비탈을 오르기 전에 잡은 고기를 다줘 버리는데, "비로 인해 미끄러워진 곳을 디몄을 때 그의 발이 쑥 튀어 나왔고 그는 비탈의 바닥으로 굴러 떨어지고 말았다."
The passage is followed by a comic verse recited by the Earl, where he reveals his identity: 이 문단 뒤에는 백작이 암송하는 우스황스러운 시가 나오는데, 여기서 그는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Wittily the woman mocks my wear but she laughs overlong,
and may not laugh last. Early I sailed out, eagerly, and all fully furnished for fishing Who'd figure me for an earl?"
"그 여자는 재치 있게 내 옷을 조롱하는군
하지만 너무 오래 비웃지만 끝까지 비웃지는 못할걸.
나는 일찍 배를 타고 나왔지 열심히, 그리고 철저하게
고기 잡을 준비를 하고, 누가 나를 백작이라고 생각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