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1. 개설
▣가배·가위·한가위 또는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한다.
이 때는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 있어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들이 익어 수확을 거둘 계절이 되었고
1년 중 가장 큰 만월 날을 맞이하였으니 즐겁고 마음이 풍족하였다.
▣여름처럼 덥지도 않고 겨울처럼 춥지도 않아서
살기에 가장 알맞은 계절이므로
속담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큼만’이라는 말이 생긴 것이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이었으니,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누어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음력 7월 15일부터 8월 한가위 날까지 한 달 동안
두레 삼 삼기를 하였다.
마지막 날에 심사를 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게 한턱을 내고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며 놀았다고 한다.
▣오랜 전통이 있는 추석명절에는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세시풍속으로 전승되고 있다.
추석이 되면 조석으로 기후가 쌀쌀하여지므로
사람들은 여름옷에서 가을 옷으로 갈아입는다.
추석에 입는 새 옷을 ‘추석빔’이라고 한다.
옛날 머슴을 두고 농사짓는 가정에서는 머슴들까지도
추석 때에는 새로 옷을 한 벌씩 해준다.
▣추석날 아침 일찍 일어나 첫 번째 일은 차례를 지내는 일이다.
주부에 의해서 미리 준비한 제물을 차려놓고 차례를 지낸다.
이 때에 설날과는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햅쌀로 술을 빚고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는 것이 상례이다.
▣가을 수확을 하면 햇곡식을 조상에게 먼저 천신薦新한 다음에
사람이 먹는데 추석 차례가 천신을 겸하게 되는 수도 있다.
차례가 끝나면 차례에 올렸던 음식으로 온 가족이 음복飮福을 한다.
▣아침식사를 마치고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하는데,
추석에 앞서 낫을 갈아 가지고 산소에 가서 풀을 깎는 벌초를 한다.
여름동안 자란 풀이 무성하고 시들어 산불이라도 나면
무덤이 타게 되므로 미리 풀을 베어주는 것이다.
어쩌다 추석이 되어도 벌초를 하지 않은 무덤은
자손이 없어 임자 없는 무덤이거나
자손은 있어도 불효하여 조상의 무덤을 돌보지 않는 경우여서
남의 웃음거리가 된다.
▣추석은 공휴일로 제정되어 많은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교통혼잡을 이루고 도시의 직장들은 쉬게 된다.
이처럼 고향에 돌아가는 것은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기 위해서이다.
추석명절에 차례와 성묘를 못 하는 것을 수치로 알고,
자손이 된 도리가 아니라고 여기는 것이
우리 나라 사람의 의식구조이다.
2. 추석 놀이
▣추석 무렵은 좋은 계절이고 풍요를 자랑하는 때이기에
마음이 유쾌하고 한가해서 여러 놀이를 한다.
사람들이 모여 농악을 치고 노래와 춤이 어울리게 된다.
농군들이 모여 그 해에 마을에서 농사를 잘 지은 집이나
부잣집을 찾아가면 술과 음식으로 일행을 대접한다.
먹을 것이 풍족하니 인심도 좋아서 기꺼이 대접을 한다.
이렇게 서너 집을 다니고 나면 하루가 간다.
▣농군들이 마을을 돌면서 놀 때에 소놀이·거북놀이를 하게 된다.
소놀이는 두 사람이 멍석을 쓰고
앞사람은 방망이를 두개 들어 뿔로 삼고,
뒷사람은 새끼줄을 늘어뜨려 꼬리를 삼아 농악대를 앞세우고
이집저집 찾아다닌다.
일행을 맞이하는 집에서는 많은 음식을 차려 대접한다.
마당에서 술상을 벌이고 풍물을 치고 춤을 추면서 한때를 즐긴다.
이때에 소도 춤추는 시늉을 하면 사람들은 웃고 놀리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된다.
▣소놀이를 할 때 마을에서 일을 잘하는 머슴을 뽑아
농우에 태워서 마을을 누비고 다니는 일도 있다.
여름 동안 수고가 많았으므로 위로하는 것이고
영광을 안겨주는 일이 된다. 상머슴으로 뽑히면
일을 잘하였기 때문에 다음해에 많은 새경을 받게 된다.
▣거북놀이는 두 사람이 둥근 멍석을 쓰고 앉아 머리와 꼬리를 만들어
거북이시늉을 하고 느린 걸음으로 움직인다.
사람들이 거북이를 앞세우고 큰 집을 찾아가
“바다에서 거북이가 왔는데 목이 마르다.”면서
음식을 청하고 들어가면
주인은 음식을 내어 일행을 대접한다. 놀이는 소놀이와 비슷하다.
한 집에서 잘 먹고 난 다음 다른 집을 찾아간다.
이때에 얻은 음식을 가난해서 추석음식을 마련하지 못한 사람에게
나누어주는 일도 있어 협동과 공생共生)의 식을 보이기도 한다.
▣소놀이와 거북놀이는 충청도·경기도 등에 전승되고 있다.
또, 마을사람들은 모여 줄다리기도 하였다.
한 마을에서 편을 가르거나 몇 개 마을이 편을 짜서 하거나
또는 남녀로 편을 갈라서 하는 일도 있다.
줄의 크기나 편의 규모는 일정하지 않고 많을 때에는
수천 명에서 작을 때에는 수십 명이 모여서 하는 수가 있으나
집단을 이루며, 줄의 큰 것은 줄 위에 올라앉으면
발이 땅에 닿지 않을 정도로 큰 경우도 있다.
큰 줄을 만들려면 볏짚이 많이 필요하므로
각 집에서 짚단을 제공하고 수천 단을 들여서 만드는 일도 있다.
만든 줄을 줄다리기 장소로 옮길 때에 너무 커서 들고 가지 못하면
근래에는 트럭에 싣고 가거나 끌고 가는 일도 있다.
줄다리기의 승부는 한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농경의례의 하나로 여겨,
암줄이 이기면 풍년이 드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줄다리기는 상원에 주로 하지만, 추석 때와 단옷날에 하는 곳도 있다.
힘깨나 쓰는 사람들은 씨름판을 벌이는데,
어린이들은 아기씨름을 하고 장정들은 어른씨름을 한다.
잔디밭이나 백사장에서 구경꾼에 둘러싸여 힘과 슬기를 겨루게 된다.
씨름에서 마지막 승리한 사람에게는 장사라 부르고 상으로 광목,
쌀 한 가마, 또는 송아지를 준다.
▣궁사(弓士)들은 활쏘기도 한다.
사정(射亭)에 모여 일정한 거리에 과녁을 만들어놓고 활을 쏘아
과녁을 맞추는 경기이다. 활쏘기는 상무정신을 기르게 하고
심신을 단련하게 하는 운동이기도 하다.
마음을 통일시키지 못하면 과녁을 맞출 수가 없기에 호흡을 가다듬고
침착하게 쏘아야 한다. 여러 궁사들이 줄을 서서 차례로 쏘아
과녁에 맞으면 ‘지화자 노래를 부르면서 격려하고 축하를 해준다.
▣전라남도 서남해안지방에서는 부녀자들이 강강술래놀이를 즐긴다.
추석날 저녁 설거지를 마치고 달이 솟을 무렵
젊은 부녀자들이 넓은 마당이나 잔디밭에 모여 손과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면서 노래를 부르고 뛰고 춤춘다.
노래는 처음에 진양조로 느리게 부르다가 차츰 빨라져서
나중에는 마구 뛰게 된다. 노래 장단에 따라 춤동작이 정하여진다.
만월 아래 추석빔으로 곱게 단장한 젊은 여인들의 원무(圓舞)는
아름다운 광경이다.
강강술래놀이는 원무를 하는 외에 여러 놀이가 첨가되어 다양하게
전개되는 수도 있다. 곧, 손을 잡고 일렬로 서서
맨 앞에 있는 사람이 다음 사람의 팔 밑으로 꿰어 가는
고사리꺾기가 있다.
또 일렬로 서서 맨 끝에 있는 사람이 맨 앞에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면서 덕석(멍석)을 말 듯이 몇 번이고 도는 대로
한 덩어리로 뭉치게 되는 덕석몰이,
원을 그리면서 춤추는 중앙에 한 사람 혹은 두세 사람이 뛰어들어가
두 손을 내두르며 뛰고 춤추는 남생이놀이,
두 사람이 서로 손을 잡고 마주서서 문을 만들면 다른 사람들이
일렬로 서서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문 밑을 빠져나가는 문열기 등
여러 가지 놀이가 행해진다.
놀이방법이 변함에 따라 불려지는 노래의 가사도 달라진다.
이 놀이는 일설에는 이순신(李舜臣)이 창안하였다고 하나,
원시시대에 1년 중에서 가장 밝은 만월을 맞이하여 놀이하던
원무를 이순신이 의병술(擬兵術)로 채택해서
임진왜란 때에 왜군을 격퇴하는 데 썼던 것으로 해석된다.
▣추석명절에는 옛날의 서당에서는 훈장이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집으로 가기 때문에 공부를 며칠 쉬게 된다.
모처럼 글공부에서 해방된 학동들은 모여서 놀이를 하는데,
그 중에는 가마싸움과 원놀이가 있다.
학동들이 모여 나무로 가마를 만들어 바퀴를 달고
이웃 마을의 서당과 경기를 한다.
서로 가마를 가지고 넓은 마당에 모여 가마를 끌고 뛰어나와
상대편 가마와 부닥치게 한다.
몇 번을 되풀이하면 가마가 망가지게 되는데,
먼저 망가진 편이 지고 아무리 부닥쳐도 가마가 성하면 이기게 된다.
평상시에 앉아서 글만 읽던 학동들에 있어서는 활달한 놀이였다.
▣원놀이 역시 훈장이 없는 사이에 학동들에 의해서 행해진다.
글을 잘하고 오래 배웠으며 재치 있는 사람을 뽑아 원님으로 하고,
학동 중에서 소송을 하는 사람과 소송을 당하는 사람으로 나누어
원님이 판관이 되어 옳고 그름을 판가름하는 놀이니
오늘날의 모의재판과 같은 것이다.
옛날에는 과거에 급제해서 관원이 되면 판관으로서 민원을 처리하고
백성을 다스려야 하기 때문에 사리를 따져서
정(正)과 사(邪)를 구분할 줄을 알아야 한다.
판관의 예행연습을 원놀이에서 미리 하였던 것이다.
소송을 하는 사람으로서는 어려운 문제를 제기하여
판관이 좀처럼 판결하기 어렵도록 한다.
그러나 가부간에 판관으로서는 판결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지혜를 짜내어 판단을 하여야 하였다.
유식한 문자를 쓰고 고사(故事)를 예로 들고 사실(史實)을 제시하여
누구든 납득할 수 있는 명판결을 해서 후세에 일화를 남긴
민담(民譚)도 전래되고 있다.
원놀이는 서당의 학동으로서는 품위 있고 학술연마도 되며
지혜를 연마하는 알맞은 놀이였다.
▣남도지방에서는 닭싸움과 소싸움을 즐기는 일도 있었다.
싸움을 잘하는 수탉을 길러서 싸움을 시키는데,
수탉의 힘이 세 지라고 고기를 먹이는 일도 있다.
닭이 싸울 때는 부리로 상대 닭을 찍고 물고 늘어지는데,
볏에 유혈이 낭자한데도 지지 않으려고 전력을 다한다.
서로 찍으려고 몸을 부닥치고 높이 뛰어서 상대편 볏을 노린다.
닭싸움에 지면 그집 마당에 놀러가지도 못하고
암탉도 빼앗기기 때문에 사투를 한다.
닭싸움을 구경하며 즐기기도 하고 때로는 내기를 하는 일도 있다.
소싸움은 넓고 튼튼한 우리를 만들고 황소의 고삐를 풀어
두 마리를 넣어두면 싸움이 시작된다.
서로 노려보다가 앞발로 땅을 긁어 흙을 파헤치면 성낸 표시가 되고,
서로 머리를 대고 비비고 뿔로 받고 밀치고 한다.
뒤로 물러섰다가 부닥치는 소리가 “쿵!” 하고 크게 나서
힘과 힘의 대결임을 알 수가 있어 장관을 이룬다.
힘과 끈기와 투지의 대결로 한없이 밀리거나 뿔로 심하게 받혀서
부상을 하면 도망치는데, 하나가 도망하면 승부가 난다.
소싸움도 좋은 구경거리가 되는 한편 내기를 하는 일도 있다.
▣농촌의 소년들 사이에는 콩서리를 하는 일도 있다.
콩을 통째로 꺾어다 불을 피운 속에 넣어두었다가 익으면
꺼내어 먹는데 맛이 별미이다.
밭 콩보다는 논두렁 콩이 더 맛이 있어 초가을에 흔히 한다.
▣제주도에서는 조리희(照里戱)가 있었다고 ≪동국세시기≫에 전한다.
남녀가 모여 노래부르고 춤을 추면서 놀았으며,
패를 짜고 큰 줄을 만들어 줄다리기를 하였다.
그러다가 줄이 중간에 끊어지면 모두 주저앉게 되어
구경하는 사람들이 크게 웃었다고 한다.
한편, 그네를 뛰고 닭잡기 놀이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3. 민간신앙적 행사
▣추석 전날 밤에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사내아이들이 밭에 가서
벌거벗고 고랑을 기어다니는 풍속이 있다.
밭둑에다 음식을 차려놓고 토지신을 위하는 일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밭곡식이 풍년들어 많은 수확을 올릴 뿐 아니라
아이들의 몸에 부스럼이 나지 않고 건강하여진다고 믿고 있다.
일종의 농업주술(農業呪術)과 건강을 축원하는 행위이다.
▣추석 무렵에 올게심니를 하는 풍속이 있다.
그해의 농사에서 가장 잘 익은 곡식으로 벼·수수·조〔粟〕 등의
목을 골라 뽑아다가 묶어서 기둥·방문 위나 벽에 걸어놓는다.
올게심니를 해놓으면 그 곡식들이 다음해에 풍년이 든다하며,
이 때에 떡을 하고 술도 빚고 닭도 잡아서 소연을 베푸는 수도 있다.
올게심니를 하였던 곡식 목은 무슨 일이 있어도 먹지를 않으며
다음해에 종자로 쓰거나 다음해에 새로 올게심니를 할 때에 찧어서
밥이나 떡을 해서 조상의 사당에 천신하기도 한다.
풍년을 기원하는 주술행위와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추원보본(追遠報本)이 합하여진 행위이다.
▣부엌의 부뚜막에는 조왕(竈王)이 좌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왕은 불을 담당하고 재산을 담당하기도 한다.
속설에 조왕은 섣달 스무 닷샛 날에 하늘에 올라가
옥황상제에게 1년 동안 집안에서 있었던 일을 보고하고
그믐날에 제자리로 돌아온다고 한다.
각 가정에서는 조왕을 모시기 위하여
사발에 물을 떠서 밥솥 뒤쪽에 놓아두고 위하는데,
특히 추석날에는 조왕을 위하여 정화수를 갈아준다.
부지런하고 신앙심이 두터운 아낙네는 매일 물을 갈아놓는 일도 있고,
초하루와 보름날 두 번 갈아주는 집도 있다.
추석을 전후해서 햇곡식이 나오면 장독대에 정한 짚을 깔고
떡·미역국·무나물·배추나물·고기·탕을 차려놓고 비는데,
이를 성주모시기라 한다. 방에 차려놓는 일도 있고
또는 장독대에 차려놓고 빈 다음 방으로 옮겨서 다시 빌기도 한다.
성주는 가신(家神) 중에서 어른에 속하고
주인의 명복(命福)과 관계가 있어 소중하게 모신다.
어촌에서는 추석에도 상원 때와 같이 뱃고사를 지낸다.
선주네 집에서 음식을 차리고 집에서 지내는 일도 있고,
배에다 기를 달고 등불을 밝히고 배서낭을 위하는 일도 있으며,
또는 음식을 차려 바다에 나가서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뱃고사를 지내는 이유는 바다에 나가 풍랑을 만나지 말고
만선을 하라는 뜻이 담겨 있다.
바다생활은 늘 위험이 도사리고 있고 많은 고기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정성을 다하여야 한다고 믿고 있어,
무당을 불러 며칠을 두고 큰굿을 하는 일도 있다.
▣그밖에 추석날의 일기를 보아 여러 가지로 점을 친다.
추석날은 일기가 청명해서 밝아야 좋다.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고 해서 불길한 징조로 삼고 있다.
밤에 구름이 끼어 달빛을 볼 수가 없으면 보리와 메밀이 흉년이 들고,
토끼는 포태(胞胎 : 임신)를 못해서 번식을 못하고,
개구리가 새끼를 까지 못한다고 전한다.
추석날 밤에 흰 구름이 많이 떠서 여름에 보리를 베어서
늘어놓은 것처럼 벌어져 있으면 농작물이 풍년이 들지만,
구름덩이가 많거나 구름이 한 점도 없으면
그 해의 보리농사는 흉년이 들 징조라고 해석을 한다.
경상남도지방에서는 8월에 들어 창문을 바르지 않는데,
특히 추석을 전후해서 문을 바르지 않는다.
▣여름철에는 문이 찢어져 있으면 바람이 들어와서 시원하기 때문에
그냥 두었다가 7월에는 일단 창호지로 문을 바른다.
그러나 8월 달에 들어와서는 찢어진 문구멍을 새로 바르는 것이
금기로 되어 있다. 금기를 어기면 도적을 맞는 일이 생기고
집안에 우환이 들끓게 된다고 전한다.
그래서 찬바람이 들어와도 그냥 두었다가 9월에 들어서야 문을 바른다.
4.추석 절식
▣추석에는 시절에 맞는 여러 음식이 있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음식을 준비하는데 설날의 음식과 별 차이는 없다.
다만 추수의 계절이라 햇곡식으로 밥·떡·술을 만든다.
철이 이르면 추석 차례에 햇곡식을 쓸 수가 있고,
철이 늦으면 덜 익은 벼를 베어서 찧은 다음 말렸다가
방아를 찧어서 햅쌀을 만들어 쓴다. 철이 늦은 해에는
미리 밭벼 〔산도山稻〕를 심었다가 제미(祭米)로 쓰는 일도 있다.
▣어떻든 추석 차례에 대비해서 농사를 짓는다.
햅쌀로 밥을 지으면 맛이 새롭고 기름기가 있으며 떡도 맛이 있다.
추석 떡으로는 송편을 빼놓을 수가 없다.
올벼로 만든 송편이라 해서 올벼송편이라는 말이 생겼다
송편 속에도 콩·팥·밤·대추 등을 넣는데, 모두 햇것으로 한다.
모두 햇곡식이기 때문에 더욱 맛이 있다.
열 나흗날 저녁 밝은 달을 보면서 가족들이 모여 송편을 만든다.
송편을 예쁘게 만들면 예쁜 배우자를 만나게 되고,
잘못 만들면 못생긴 배우자를 만나게 된다고 해서
처녀·총각들은 예쁘게 만들려고 솜씨를 보인다.
▣또, 태 중인 부인이 태아가 아들인지 딸인지 궁금할 때에는
송편 속에 바늘이나 솔잎을 가로 넣고 찐 다음 한 쪽을 깨물어서
바늘의 귀 쪽이나 솔잎의 붙은 곳을 깨물면 딸을 낳고
바늘의 뾰족한 곳이나 솔잎의 끝 쪽을 깨물면
아들을 낳을 징조라고 점을 치는 일도 있다.
▣제사를 지내려면 술이 꼭 있어야 하는데, 추석 술은
백주(白酒)라고 하여 햅쌀로 빚기 때문에 신도주(新稻酒)라 이름하였다.
술을 많이 준비하여야만 이웃 사이에 서로 청하여 나누어 마시고,
소놀이패·거북놀이패들이 찾아왔을 때 일행을 후하게 대접할 수가 있다.
남성의 접빈객(接賓客)은 첫째가 술인 만큼 술을 넉넉히 마련한다.
우리네 잔치에는 술만 풍족하면 되었다.
혼인·환갑·장례·명절 때에는 손님 중에 술에 취해서 몇 사람쯤 쓰러져 있으면 그 집 잔치 잘하였다고 할만큼
술은 손님대접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된다.
추석 때면 풍년도 짐작되기 때문에 인심이 후해서
술대접을 서로 하게 된다.
▣추석에는 황계(黃鷄)를 빼놓을 수가 없다.
봄에 깬 병아리를 기르면 추석 때에는 성숙해서 잡아먹기에 알맞다.
명절에 맞추어 길렀다가 추석에 잡아서 쓰게 된다.
또 옛날에는 명절에 어른에게 선사하는 데 닭을 많이 썼다.
친정에 근친(覲親)하는 딸이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가지고 갔으며,
경사가 있을 때에도 닭을 선사하였으며,
반가운 손님이 찾아오면 손쉬운 닭을 잡아 대접하였다.
사위가 오면 장모가 씨암탉을 잡아 대접하는 것이 그 예이다.
추석에 백주와 황계는 좋은 술과 안주였다.
▣가을 과일로는 감·밤·대추·호두·은행·모과 등이
전래의 것이고, 요즈음에는 사과와 배가 첨가되었다.
밤·대추·곶감은 제물로 필수이어서
가을에 알밤을 말려 두었다가 쓴다.
추석 때의 풋밤은 제상에도 오르거니와 밥과 송편에도 넣고
단자(團子)를 만들기도 한다.
대추는 단맛이 있어 여러모로 쓰였고 약식에도 넣었으며
약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호두·은행은 값이 비싸므로 두었다가 상원날 부럼에 쓰기도 한다
모과는 약으로 쓰거나 차(茶)로 쓰이고, 술로 담그기도 한다.
녹두나물과 토란국도 미각을 돋우는 절식(節食)의 일종이다.
녹두나물은 소양(消陽, 양을 쇠하게 함.)한다고 하지만
잔칫상에 잘 오르고, 토란은 몸을 보 한다고 해서 즐긴다.
▣추석 때면 농가도 잠시 한가하고 인심도 풍부한 때이므로
며느리에게 말미를 주어 친정에 근친을 가게 한다.
떡을 하고 술병을 들고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들고
친정에 근친을 가서 혈육과 회포를 푸는 기회를 가진다.
근친을 갈 수가 없는 경우에는 반보기를 한다.
이는 친정과 미리 통문을 해서 친정과 시집 중간의 경치 좋은 곳을
정하여, 딸은 친정어머니가 즐기는 음식을 마련하고
친정어머니는 딸이 좋아하는 음식을 마련해서 서로 만나는 것이다.
이것을 중로회견(中路會見) 또는 중로보기·반보기라고 한다.
전라남도 강진지방에서는 한 마을의 부녀자들이
집단으로 음식을 마련하여 경치 좋은 곳에 가서 하루를 놀고
즐기는 것을 반보기라 부르기도 한다.
▣추석 무렵의 생산력(生産曆)을 작업별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농업 : 벼 베기, 콩·팥·수수·고구마 거두어들이기, 퇴비하기,
무·배추 갈기, 밭 골타기, 목화·담배잎·고추 따기, 밀·메밀·
양파·시금치 파종하기, 거름내기, 누에치기, 논둑 고치기,
겨울나무 준비하기, 담장 수리하기, 병아리 깨기, 길쌈하기,
과일 저장하기, 곶감 말리기, 약초 캐기,
◉어업 : 오징어·갈치·다랑어 잡기,
◉임업 : 잔디씨 받기, 낙엽송씨앗대기 등이 있다.
▣추석은 1년 중 가장 큰 만월을 맞이하는 달의 명절로서,
농경민족으로서 수확의 계절을 맞이하여 풍년을 축하·감사하며
조상에게 천신하고 성묘하여 추원보본을 하였고,
명절의 기쁨에 넘쳐 여러 가지 놀이가 있어
사람의 마음을 더욱 즐겁게 하였으며,
신을 섬기고 풍·흉을 점복(占卜 : 점침.)하였다.
풍부한 음식을 서로 교환해서 후한 인심을 보였고,
농한기를 이용해서 놀이하고 근친(近親:친정에 가서 아버지를 뵘)하는
즐거움이 있었다.
추석은 농경생활에서 추수감사와 조상에 보은하며
먹을 것이 넉넉함에 만족하여 온갖 놀이로 즐기는 명절로 전승되었으나
공업생산시대에 들어와 그 절실함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추석 귀성은 여전하며, 풍요에 감사하고
조상에 추원보본하는 추석의 원래의 뜻을 계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삼국사기』,『동국세시기』
『한국세시풍속연구』(임동권, 집문당, 1985)
・ 『한국농경세시의 연구』(김택규,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5. 지구와 달 까지의 거리
▣평균 약 38만 4천Km
최단거리 약 35만 6천Km
최장거리 약 40만 6천Km
▣기원전 150년경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쿠스(Hipparchus)는
시차현상을 이용해 달까지의 거리가 약 38만㎞라고 계산
★이 방법은 지구지름의 양끝으로 하는 두 지점에서 달을 관측하여
달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19세기까지도 널리 이용
▣이후 20세기 중반에 들어 레이더의 전파를 이용한 기술로
달까지의 거리(평균 38만 4천km)를 수m의 오차 범위 이내로 정확하게 측정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측정기술이 사용
◉지상에서 발사된 레이저광이 유인 아폴로 우주선에 의해 달 표면에 장치된 레이저광 반사기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
◉이에따라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최소 35만6천㎞에서 최대 40만6천㎞이고
매년 3.8㎝씩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는 등 세부내용 확인
▣지구와 달 까지의 거리는
태양과 지구와의 관계처럼 매년 같은 시기에 거리가 일정하게
같아지는 것(춘분, 하지, 동지 등)이 아니고
매년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음
☆추석이나 정월 대보름의 경우에도
매년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가 않음
▣슈퍼문⇨ 보름달 중에서 지구와 달의 거리가
평소보다 가까워지는 시기에 뜨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고 부른다.
◉달은 거의 19년 주기로 지구와 가까워진다
◉슈퍼문은 평소 보름달보다 크기가 10% 이상 크고,
밝기도 30% 이상 밝다.
슈퍼문 현상은 달이 지구를 타원형 궤도로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
◉2016년 11월 14일 한국에서 '슈퍼문'을 볼 수 있었는데.
1948년 이후 68년 만에 가장 큰 슈퍼문이다.
2016년 가장 작았던 4월의 보름달과 비교하면
직경이 14% 더 크고 30% 정도 밝다
◉이 정도 크기의 슈퍼문은 2034년 11월 25일에 다시 만날 수 있다.
6. 추석 차례상 차리기(유교, 도교이론 종합)
【제사방위】
▣神位(사진이나 위폐)를 모신 곳이 북쪽이며,
이를 중심으로 방위를 결정 한다
▣따라서 신위를 중심으로하여
왼쪽(제관의 오른 쪽)이⇨ 동쪽이 되고 ,
오른쪽(제관의 왼 쪽)이⇨ 서쪽이 됨
⟪북망산천北邙山川(북쪽)⟫
◉죽은 영혼이 머무는 북망산천(북두칠성)은
하늘을 다스리는 옥황상제인천존天尊이 다스리는 곳이라고 한다.
◉북두칠성은⇨ 죽음과 태어남을 말하는데
우리가 죽어서 칠성판에 열두 매듭으로 꽁꽁 묶는 이유도
북두칠성에 가서다시 태어나라는 의미인 것이다
◉옛 사람들은 사람이 태어나는 것은
북두칠성과 남두육성南斗六星의
연계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남두육성은
여섯 개의 별이 마치 미니 북두칠성처럼 국자 모양으로 연이어 있다.
남쪽의 국자별이라는 의미로 그 이름을 남두육성이라 하는데,
이게 바로 삼신할머니의 별이다.
◉자식을 바라는 인간의 정성을 북두칠성이 감동하여
새로 태어날영혼을 남두육성으로 보낸다.
거기에서 삼신할머니께 엉덩이를 찰싹 얻어맞고
어머니의 태胎안으로들어가는 것이다.
아기 엉덩이의 몽고반점은 이때 생긴 멍자욱인데
이게 전생의 기억을 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석가모니는 죽음을 맞이하였을 때 스스로 머리를 북쪽으로 두고 입적入寂
◉권력이 있는 사대부들은 시신을 매장 할 때에
관에 북두칠성의 그림이 그려진 칠성판 덮었다.
◉망자亡者⇨ 북침시신면北寢屍身眠
※생자生者⇨ 남장수북단명男長壽北短命
【제물 진설 방법】
▣과일(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색 과일은 동쪽, 흰색과일은 서쪽
☆과일의 종류는 홀수(음양상으로 홀수는 길수이고 짝수는 흉수임)
☆과일의 종류(조율이시棗栗梨柿)⇨
동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진설
◉조, 대추(다산多産, 조상의 음덕)⇨과일 중에서
열리는 숫자가 제일 많을 뿐 아니라(자손)
열린 과일 다 익를 때 까지 소중하게 관리
◉율, 밤( 조상의 음덕)⇨ 모든 식물의 씨앗(조상)은
땅에 떨어져 발아(씨앗)가 되면서 씨앗은 썩는데,
유독 밤나무 씨앗(조상)만은 3년정도 기다려서
첫 햇밤(자손)이 나오는 것을 보고 썩는다(눈을 감는다)
◉이, 배(깨끗한 마을가짐 )⇨ 제상에 오르는 과일 중에서
속이 가장 하얗고 깨끗하여 배와같이 깨끗하게 살아가라는 의미
◉시, 감(교육)⇨ 대부분의 과일은 씨앗을 심어서 성목이 되면
심었던 과일과 똑 같은 과일이 열리는데,
유독 감나무만은 씨앗을 심은대로 그대로 놔두면
땡감(무식젱이, 무지랭이)이 되기 때문에
필히 접목(교육)을 해야 한다는 의미
★경상도 안동지방(씨의 숫자 기준)⇨
대추(군왕에 대한 충성), 밤(3정승), 배(6판서), 감(조선팔도 관찰사)
▣어육류(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
☆두동미서頭東尾西⇨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좌포우혜左脯右혜(제관중심)⇨ 왼쪽에는 육포, 오른쪽에는 식혜 등
【제물로 사용하지 않는 음식】
▣마늘, 고춧가루⇨ 향이 강하거나 매우며, 붉은 색은
귀신을 쫓는다는 의미
▣복숭아⇨ 털 달린 과일은 혼령을 내 쫓음
▣비늘이 없거나 “치 字”로 끝나는 생선⇨ 하급생선
※그러나 경상도에서는 비늘이 없는 바다고기 중에서 문어를 필히 진설.
문어는 먹물을 간직하고 있고 이름에서도 “글월 文자”가 있어
학문으로 풀이
★제례법은 특별한 법도가 없기 때문에 남의 집에 가서 “밤놔라,
대추 놔라”는말은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는얘기가 있음
★율곡 이이가 편찬한 격몽요결擊蒙要訣에는
“차례에는 계절 음식을 올리지만,
별다른 음식이 없다면
떡과 과일 두어 가지만 올리면 된다”고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