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이제현(李齊賢) |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4 | 이진(李瑱) |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정당문학(政堂文學)ㆍ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등을 지내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남.1244~13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5 | 이핵(李翮)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ㆍ대제학(大提學) 이세기(李世基)의 아버지로, 문하부 평리(門下府評理) 등을 지내고 좌복야(左僕射)에 추증됨.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高麗史 > 卷一百五 > 列傳 > 列傳 卷第十八 > 諸臣 > 안향 > 안향
안향
安珦, 初名裕, 興州人, 父孚, 本州吏, 業醫出身, 官至密直副使致仕. 珦少好學, 元宗初登第, 補校書郞, 遷直翰林院, 屬內侍.
三別抄之亂, 珦陷賊, 賊素聞名, 將用之, 誘且脅令曰, “縱安翰林者罰.” 珦以計得脫, 王義之嘉賞. 十二年, 奉使西道, 以廉稱. 召還內侍院, 書奏院中宿弊袪之, 尋遷監察御史. 忠烈元年, 出爲尙州判官. 時有女巫三人, 奉妖神惑衆. 自陜州, 歷行郡縣, 所至作人聲呼空中, 隱隱若喝道. 聞者奔走, 設祭莫敢後, 雖守令亦然. 至尙, 珦杖而械之, 巫托神言, 怵以禍福. 尙人皆懼, 珦不爲動. 後數日, 巫乞哀乃放, 其妖遂絶.
嘗至安東, 令吏洗足, 吏曰, “吾屬邑吏, 子何辱我耶?” 謀群吏, 將詰之, 有老吏, 視珦狀貌, 出語曰, “吾閱人多, 此公後必貴顯, 勿易視.” 居三年, 廉使褒其政淸, 遂徵爲版圖佐郞, 俄遷殿中侍史. 又選爲禿魯花, 例陞國子司業, 由右司議, 拜左副承旨. 帝命爲征東行省員外郞, 尋加郞中, 本國儒學提擧. 後以副知密直司事, 出鎭合浦, 撫軍恤民, 州郡以寧. 累遷僉議叅理.
忠宣卽位, 拜叅知機務·行東京留守·集賢殿大學士·雞林府尹, 復爲叅理. 及忠烈復位, 忠宣如元, 珦從行. 一日, 帝召王急, 王懼. 丞相出曰, “從臣爲首者, 入對.” 珦入, 丞相傳旨曰, “汝王何不近公主乎?” 珦曰, “閨闥之閒, 非外臣所知. 今日以是爲問, 豈足於聽聞?” 丞相以奏, 帝曰, “此人可謂知大体者, 庸可以遠人視耶?” 不復問. 二十六年, 拜贊成事, 用事者忌之, 遂諷王加中贊, 令引年致仕. 尋復爲贊成.
안향이 유학 진흥에 힘쓰다
珦憂學校日衰, 議兩府曰, “宰相之職, 莫先敎育人材, 今養賢庫殫竭, 無以養士. 請令六品以上, 各出銀一斤, 七品以下, 出布有差, 歸之庫, 存本取息, 爲贍學錢.” 兩府從之以聞, 王出內庫錢穀助之. 密直高世, 自以武人, 不肯出錢, 珦謂諸相曰, “夫子之道, 垂憲萬世, 臣忠於君, 子孝於父, 弟恭於兄, 是誰敎耶? 若曰, ‘我武人, 何苦出錢, 以養爾生徒?’ 則是無孔子也, 而可乎?” 世聞之慚甚, 卽出錢. 珦又以餘貲, 付博士金文鼎等, 送中原, 畫先聖及七十子像, 幷求祭器·樂器·六經諸子·史以來. 且薦密直副使致仕李㦃·典法判書李瑱, 爲經史敎授都監使. 於是, 禁內學館·內侍·三都監·五庫, 願學之士, 及七管·十二徒諸生, 橫經受業者, 動以數百計. 有諸生不禮先進, 珦怒將罰. 生謝罪, 珦誓曰, “吾視諸生, 猶吾子孫, 諸生何不体老夫意?” 因引至家置酒. 諸生相謂曰, “公之待我, 以誠如此, 若不化服, 我爲人耶?” 三十二年, 復以僉議中贊致仕卒, 年六十四, 謚文成. 及葬, 七管十二徒, 素服祭於路.
珦, 莊重安詳, 人皆畏敬. 在相府, 能謀善斷, 同列順承, 惟謹不敢爭. 常以興學養賢, 爲己任, 雖謝事家居, 未嘗忘于懷. 喜賓客, 好施爲. 文章淸勁可觀, 且有鑑識. 金怡·白元恒未達時, 珦見之曰, “他日, 必皆貴顯.” 又李齊賢·李異, 同年生, 俱有名, 珦召令賦詩曰, “齊賢必貴且壽, 異則不年矣.” 果皆驗. 晩年, 常掛晦庵先生眞, 以致景慕, 遂號晦軒. 蓄儒琴一張, 每遇士之可學者, 勸之. 忠肅六年, 議以從祀文廟. 有謂, “珦雖建議置贍學錢, 豈可以此從祀?” 其門生辛蕆力請, 竟從祀.
..............................
고려사 > 卷三十二 > 世家 卷第三十二 > 忠烈王 30年 > 5월 > 안향이 섬학전 설치를 건의하다
1304년 5월 28일(음) 기묘(己卯) ,
1304년 7월 1일(양)
안향이 섬학전 설치를 건의하다
己卯 贊成事安珦建議置國學贍學錢.
고려사 > 卷三十二 > 世家 卷第三十二 > 忠烈王 32年 > 9월 > 도첨의중찬으로 치사한 안향이 죽다
1306년 9월 17일(음) 갑신(甲申) ,
1306년 10월 24일(양)
도첨의중찬으로 치사한 안향이 죽다
九月 甲申 都僉議中贊致仕安珦卒.
고려사 > 卷七十四 > 志 卷第二十八 > 選擧 二 > 학교(學校) > 국학 > 안향이 국학 진흥책을 마련하다
1304년 5월 미상(음)
안향이 국학 진흥책을 마련하다
三十年五月 安珦建議, 令各品出銀布有差, 以充國學贍學錢, 王亦出內庫錢穀, 以助之. 珦以餘貲, 送江南, 購六經諸子史以來. 於是, 願學之士, 七管十二徒諸生, 橫經受業者, 動以數百計.
고려사 > 卷一百八 > 列傳 卷第二十一 > 諸臣 > 김이 > 김이
김이
金怡, 字悅心, 一字隱之, 福州春陽縣人. 初名之琔, 後改廷美, 忠宣王賜名怡. 初母夢, 天爛赤, 日輪帶赤暈入懷中, 因有身. 怡生而貌魁梧, 早有大志, 安珦嘗見之曰, “後當貴.” 年十餘, 爲都評議司掾吏, 事雖鄙不憚, 識者異之. 忠烈十四年, 怡年二十四, 偶宿華藏寺, 夢王御正殿, 群臣擁衛, 祥雲掩苒. 王唱一句云, “靑雲紫氣知仙閣.” 怡賡云, “綠髮淸談是貴人.” 王嘉嘆, 解衣衣之, 以此預知貴顯之兆.
是年, 調長興府倅. 十六年, 哈丹入寇, 國家令州縣, 據險自保, 禁民出耕. 令出咸懼, 怡謂按廉姜就曰, “天兵制此小醜, 如几上肉耳, 何能到邊郡? 且食爲民天, 耕種有時, 時不可失, 請出耕.” 就曰, “如違令, 被譴何?” 怡退而嘆曰, “一夫不耕, 天下受飢. 從令不耕, 則餓死者衆, 不從而耕, 則受罪者我也.” 令民出耕, 賊果至燕歧而滅. 他郡皆未穫, 唯此府大熟, 遠近賴之. 十八年秩滿, 召入內侍.
...........................
칠관(七管) : 칠재(七齋)라고도 하는데, 고려 때 국학(國學)에 설치한 7가지 전문 강좌, 곧 주역(周易)의 이택재(麗擇齋), 상서(尙書)의 대빙재(待聘齋), 모시(毛詩)의 경덕재(經德齋), 주례(周禮)의 구인재(求仁齋), 대례(戴禮)의 복응재(服膺齋), 춘추(春秋)의 양정재(養正齋), 그리고 병학(兵學)의 강예재(講藝齋)를 아울러 칠재라 하였다.[
십이도(十二徒) : 십이공도(十二公徒)로 고려 문종(文宗) 이후 개경(開京)에 있었던 12사학(私學)의 총칭. 즉 최충(崔沖)의 문헌공도(文憲公徒), 정배걸(鄭倍傑)의 홍문공도(弘文公徒), 노단(盧旦)의 광헌공도(匡憲公徒), 김상빈(金尙賓)의 남산도(南山徒), 김무체(金無滯)의 서원도(西園徒), 은정(殷鼎)의 문충공도(文忠公徒), 김의진(金養珍)의 양신공도(良愼公徒), 황영(黃瑩)의 정경공도(貞敬公徒), 유감(柳監)의 충평공도(忠平公徒), 문정(文正)의 정헌공도(貞憲公徒), 서석(徐碩)의 서시랑도(徐侍郞徒), 실명씨(失名氏)의 귀산도(龜山徒) 등이다.
..........................
고려사절요 > 高麗史節要 卷22 > 忠烈王四 > 忠烈王 三十年 > 5월 > 국학의 섬학전을 설치하다
1304년 5월 미상(음)
국학의 섬학전을 설치하다
○置國學贍學錢. 初, 贊成事安珦憂, 庠序大毀, 儒學日衰, 議兩府曰, “宰相之職, 莫先於敎育人材. 今養賢庫殫竭, 無以資敎養, 請令六品以上各出銀一斤, 七品以下出布有差, 歸之養賢庫, 存本取息, 永爲敎養之資.” 兩府從之, 事聞, 王出內庫錢穀, 以助之. 時, 有密直高世者, 自以武人, 不肯出錢, 珦謂諸相曰, “孔子之道垂憲萬世. 臣忠於君, 子孝於父, 弟恭於兄者, 是誰之敎耶. 若曰, ‘我爲武人, 何苦出錢, 以養爾生徒.’ 則是不爲孔子也, 而可乎.” 世聞之, 甚慚, 卽出錢. 珦又以餘貲付博士金文鼎, 送江南, 畫先聖及七十子之像, 又購祭器樂器六經諸子史以來. 至是, 珦請以密直副使致仕李㦃典法判書李瑱爲經史敎授都監使. 於是, 禁內學館及內侍三都監五庫願學之士七管十二徒諸生橫經受業者, 以數百計.
고려사절요 > 高麗史節要 卷23 > 忠烈王五 > 忠烈王 三十二年 > 9월 > 안향의 졸기
1306년 9월 미상(음)
안향의 졸기
○九月. 僉議中贊致仕安珦卒. 珦興州人, 爲人莊重安詳, 在相府, 能謀善斷, 同列但順承惟謹, 不敢爭. 常以養育人材興復斯文爲己任, 且有鑒識. 初, 見金怡白元恒曰, “後必貴.” 又李齊賢李異少俱有名, 召令賦詩, 觀之曰, “齊賢必貴且壽, 異則不年矣” 後皆驗. 晩年常掛晦菴先生眞, 以致景慕之意, 遂號晦軒. 其文章亦淸勁可觀, 及葬, 七館十二徒皆素服, 祭於路. 諡文成.
고려사절요 > 高麗史節要 卷24 > 忠肅王 > 忠肅王 六年 > 6월 > 문성공 안향을 문묘에 종사하다
1319년 6월 미상(음)
문성공 안향을 문묘에 종사하다
○以文成公安珦從祀文廟. 時, 議者以爲, “珦雖建議置國子贍學錢, 有養育人才之功, 豈可以此從祀乎.” 珦之門生摠郞辛蕆力請, 故有是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