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 (2023-03-15) 비상계획구역 확대 1년 넘었지만…주민 안전 예산은?
(앵커) 부산은 2년 전,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이 확대돼 모두 9개 자치단체가 포함됐죠, 하지만 지금까지 방호 물품을 구매하거나 주민 대피 홍보 등에 쓸 정부 예산은 한 푼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핵폐기물 임시저장시설은 들어오는데, 주민 안전을 위한 지원은 뒷전인 실태, 집중보도합니다. 먼저 공웅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구청 방재 물품 창고. 방사선 방호 물품이 들어차 있습니다. 방사선 누출 사고가 났을 때 방재요원들이 쓸 마스크와 보호복, 휴대용 선량계, 방사선 감지경보기 등을 모아둔 겁니다. 주민들이 대피하는 구호소에서 입·퇴소 주민의 인적 사항과 피폭 여부를 관리하는 이재민 관리 장비도 갖추고 있습니다.
(박진모/울산중구청 중대재해계장) "안전 보호의를 착용하고, 검사 장비를 착용해서 그분(주민)들을 모시고 보호소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장비입니다."
그런데 이 모든 장비를 사들인 건 정부 지원이 아닌 구청 자체 예산과 울산시 보조금입니다. 원전 소재지인 기장군과 울주군만 주민 안전 관련 예산이 지원되고, 인근 지역은 국비 지원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장비 구입에만 해마다 몇천만 원을 쓰고 있습니다. 원전 소재지인 기장군을 빼면 부산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은 9곳인데, 대부분 자치단체가 방재물품 보관 창고나 전담 관리 인력조차 없습니다. 긴급하게 써야 할 방재물품들, 2년째 부산시청 창고에 쌓여 있습니다. 방사성 물질이 유출됐을 때 갑상샘암을 예방할 수 있는 방호약입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원하는데 주민 한 명에 2정을 기준으로 동 주민센터에 비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된 부산의 기초자치단체 10곳 중에서 원자력안전 전담 인력이 있는 곳은 기장군과 해운대구, 금정구 3곳뿐입니다.
(강미정/부산남구청 안전총괄과장) "신규 업무가 생기다 보니까 전담 인력도 없는 상황에서 공무원들이 전보 발령에 의해서 담당자가 바뀌다 보니까 전문성도 떨어지는 부분이 있고."
재정난에 시달리는 기초자치단체들은 대피 주민을 위한 취사시설 설치는 커녕 주민 대피요령 홍보 등은 엄두도 내지 못 하고 있습니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원전에서 30km 떨어진 지역까지로 확대한 지 1년 석 달째인데, 지원은 없고, 책임과 의무만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출처: KBS뉴스(2023-03-15)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27247&ref=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