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을 상호의존(paṭṭhāna)으로 설명하는 방법
조 건(빳짜야, paccaya)
1) 연기(빠띳짜사뭅빠다, paṭiccasamuppāda)의 방법
2) 상호의존(빳타나, paṭṭhāna)의 방법
상호의존의 방법은 조건들의 효능과 관련하여 설한다.
스승들은 두 방법을 혼합하여 논의한다.
‘상호의존’으로 옮겨본 paṭṭhāna는 사념처에서 설명했듯이
pra(앞으로)+√sthā(to stand)에서 파생된 중성명사로 취급되며
‘출발, 시작, 개시, 근원’ 등을 뜻한다.
여기서는 어떤 한 현상[法]이 존재하는 원인이나 출발점을 뜻하며
이 단어가 논장(Abhidhamma Piṭaka) 마지막 권의 제목으로 쓰여지면서 보편화되었다.
전체적으로는 조건으로 옮긴 빳짜야(paccaya)와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남방에서 정착된 24가지의 조건을 빳타나라 부른다.
여기서 상호의존(빳타나)의 방법이라는 것은
논장의 마지막인 『빳타나』에서 설해진 방법이다.
조건짓는 법(paccaya-dhamma)과 조건 따라 생긴 법(paccayuppanna-dhamma)과
그들이 일어나는 구조만을 다루는 연기의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빳타나의 방법은 조건짓는 힘(paccaya-satti)까지도 취급한다.
여기서 힘(satti, Sk. sakti)이라는 것은 결과를 발생하게 하고 성취시키는 힘을 말한다.
마치 고추의 매운 맛은 고추에 고유한 성질이므로
고추가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것과 같다.
그와 같이 조건짓는 힘은 조건짓는 법들에
고유한 성질이므로 이 법들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모든 조건짓는 법들은 그들의 독특한 힘을 가지고 있는데
이 힘이 그들로 하여금 조건 따라 생긴 법들을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24가지 조건은 24가지 각각 다른 조건짓는 힘을 가지고 있다.
‘조건들의 효능과 관련하여’라는 번역은
āhacca-paccaya-ṭṭhiti라는 옮기기 쉽지 않은 합성어를 의역한 것이다.
āhacca는 ā(이리로)+√hṛ(to carry)의 동명사로서
‘이리로 가져와서’라는 문자적인 뜻에서 ‘~에 관해서’라는 뜻으로 쓰였다.
paccayaṭṭhiti는 paccaya(조건)+ṭhiti(√sthā, to stand의 여성 명사로서
‘머묾, 머무는 곳, 굳건함, 확립’ 등을 뜻함)로 분해되는데 이 둘은 동격관계이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āhacca-paccaya-ṭṭhiti는
‘조건의 확립에 관계된’ 정도로 옮길 수 있겠다.
즉 연기가 단지 조건짓는 법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
상호의존(빳타나)은 그 보다는 조건의 특별한 힘을 설명하는 것을 중시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조건의 확립을
조건의 특이한 점 = 조건의 특이한 힘 = 조건의 효능으로 해석해서
레디 사야도는 이 단어를 “조건의 특이한 힘,
즉 그들의 다양한 효력”으로 설명하고 있다.
'스승들은 두 방법을 혼합하여 설명한다' 라는 것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청정도론』에서 나타나고 있다.
『청정도론』의 17장에서는 24가지 상호의존(paṭṭhāna)은 12연기에서
각 요소들 사이의 상관의존을 밝히기 위해서 채용되었다.
- 아비담맛타 상가하(Abhidhammattha saṅgaha) 주해 -
아비담마 길라잡이(대림스님, 각묵스님 공동번역 및 주해 / 초기불전연구원)
참 조
1. 조건
1) 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의 방법
2) 상호의존(paṭṭhāna)의 방법
2. 연기의 열두 요소(12 각지)
1) 무명(아윗자, avijja)
2) 상카라(상카라, saṅkhāra, 행)
3) 의식(윈냐나, viññāṇa, 식, 알음알이)
4) 정신·물질(나마루빠, nāmarūpa, 명색)
5) 여섯 감관(살라야따나, saḷāyatana, 육입)
6) 접촉(팟사, phassa, 촉)
7) 느낌(웨다나, vedana, 수)
8) 갈애(딴하, taṇha, 애)
9) 취착(우빠다나, upādāna, 취)
10) 존재(바와, bhava, 유)
11) 태어남(자띠, jāti, 생)
12) 늙음-죽음(자라마라나, jarāmaraṇa, 노사)
3. 24가지 조건(짜뚜위사띠 빳짜야, catuvīsati paccayā)
1) 원인의 조건(헤뚜 빳짜야, hetupaccaya)
2) 대상의 조건(아람마나 빳짜야, ārammaṇapaccaya)
3) 지배의 조건(아디빠띠 빳짜야, adhipatipaccaya)
4) 틈 없이 뒤따르는 조건(아난따라 빳짜야, anantarapaccaya)
5) 더욱 틈 없이 뒤따르는 조건(사마난따라 빳짜야, samanantarapaccaya)
6) 함께 생긴 조건(사하자따 빳짜야, sahajātapaccaya)
7) 서로 지탱하는 조건(안냐만냐 빳짜야, aññamaññapaccaya)
8) 의지하는 조건(닛사야 빳짜야, nissayapaccaya)
9) 강하게 의지하는 조건(우빠닛사야 빳짜야, upanissayapaccaya)
10) 먼저 생긴 조건(뿌레자따 빳짜야, purejātapaccaya)
11) 뒤에 생긴 조건(빳차자따 빳짜야, pacchājātapaccaya)
12) 반복하는 조건(아세와나 빳짜야, āsevanapaccaya)
13) 업의 조건(깜마 빳짜야, kammapaccaya)
14) 과보의 조건(위빠까 빳짜야, vipākapaccaya)
15) 음식의 조건(아하라 빳짜야, āhārapaccaya)
16) 기능의 조건(인드리야 빳짜야, indriyapaccaya)
17) 선의 조건(자나 빳짜야, jhānapaccaya)
18) 도의 조건(막가 빳짜야, maggapaccaya)
19) 서로 관련된 조건(삼빠윳따 빳짜야, sampayuttapaccaya)
20) 서로 관련되지 않은 조건(윕빠윳따 빳짜야, vippayuttapaccaya)
21) 존재하는 조건(앗티 빳짜야, atthipaccaya)
22) 존재하지 않은 조건(낫티 빳짜야, natthipaccaya)
23) 떠나가버린 조건(위가따 빳짜야, vigatapaccaya)
24) 떠나가버리지 않은 조건(아위가따 빳짜야, avigatapaccaya)
아리야 승원
010-7189-6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