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科 Triglidae
○ 성대 : Chelidonichthys spinosus (McClelland) (= Chelidonichthys kumu)
► 방 언 : 승대, 싱대, 잘대, 끗달갱이, 쌀대
► 외국명 : (영) Spiny red gurnard, Searobin gurnard, (일) Houbou (ホウボウ)
► 형 태 : 크기는 전장 40㎝ 정도이다. 몸은 가늘고 길며 작고 둥근 빗비늘로 덮여 있으며, 몸 등쪽 정중선을 중심으로 등지느러미 기부에서 끝까지 날카로운 1줄의 가시가 나타난다. 머리는 골질판으로 덮여있다. 체색은 등은 자회색이고 복부는 연한 빛이며, 등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암적색 반점이 산재되어 있고 죽은 후에는 진한 적색으로 변한다. 가슴지느러미는 짙은 녹색이고 담청색의 작은 반점이 산재해 있으며, 가장자리는 선명한 청색이다. 제1,2등지느러미는 백색이며 옆구리와 평행으로 달리는 2줄의 적갈색 세로띠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적갈색,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백색이다. 주둥이는 길고 앞쪽은 약간 패였고 양쪽에 몇 개의 작은 가시가 있다. 양 턱과 서골에는 융털 모양의 이빨이 있으나 구개골에는 없다.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아래의 3연조는 유리되어 있으며 손가락처럼 움직여서 해저를 기어간다. 이 연조에는 촉각과 미각에 관계하는 감각 세포가 분포한다.
크기는 최대 전장 40㎝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27㎝ 정도이다. 몸은 원통형으로 꼬리쪽으로 갈수록 심하게 가늘고 배쪽은 편평하여 바닥에 앉기 편하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한 편이며 측면에서 보면 큰 삼각형이다. 머리는 단단한 골판으로 덮여 있고 여러 개의 융기부와 가시들이 있다. 그러나 후두골 홈(occipital groove)은 없다. 눈은 머리의 위에 있다. 눈 지름은 두 눈 사이 거리보다 크다. 콧구멍은 두 쌍이다. 몸은 매우 작은 둥근비늘로 덮여 있으나 가슴에는 비늘이 없다. 등지느러미 2개의 기부에 단단한 가시가 돋은 작은 골판들이 배열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약간 안으로 패인 거의 수직에 가까운 형이다. 근육을 이용하여 부레를 압축시켜 소리를 낸다. 해질 무렵부터 밤 동안 가끔 부레를 이용하여 큰 소리를 낸다. 전체적인 색상은 올리브 색, 황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스트레스를 받거나 죽은 후에는 진한 적색을 띤다. 가슴지느러미의 바깥쪽 면은 청색이며 안쪽 면의 하단 반 부분에는 많은 수의 밝은 점들이 있는데 살아있을 때는 청색이며 죽은 후에는 색이 옅어지거나 백색으로 변한다. 어떤 때는 가슴지느러미 안쪽 하단 부위 무늬가 검은 반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매우 크고 길며, 그 길이는 제2등지느러미의 중간부까지 이르지는 못한다. 가슴지느러미 아래쪽의 분리된 3연조는 손가락 형태로 크고 두꺼워 바다 밑바닥을 걸어 다니거나 먹이를 찾는 촉각으로 이용된다.
► 설 명 : 서식 수심 범위는 25~630 m이다. 열대와 온대 해역에 살며 수심 20~30m에 있는 모래 바닥이나 모래와 펄이 혼합된 바닥에 서식하며, 발견되는 최대 수심은 630m이다. 가슴지느러미 앞쪽 3개가 변형되어 이로써 보행도 하고 먹이를 찾는 촉각 대용도 한다. 새우나 게류, 저생 소동물, 어류 등을 먹는다. 수심 20~30m 바다 밑에서 새우, 갯지렁이, 게 등 먹이를 찾으면서 걸어 다니다가 눈을 반짝거리며 가슴지느러미를 활짝 펴고 헤엄쳐 나오는 모습은 공작새같이 우아하다. 부레는 2개의 방이 있어 한 구멍으로 서로 통한다. 근육으로 2개의 부레를 압축시키면 공기가 구멍을 통과할 때에 국국하는 소리가 나서 부낭(울음 주머니)이라고도 한다.
한국의 성대는 서해 개체군, 동중국해 개체군, 대마도 개체군, 3 개체군으로 구분되어 있다. 연 1회 산란하나 시기는 해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난다. 동중국해에서는 겨울에서 봄 사이에, 제주도 근해에서는 여름에 산란한다고 알려져 있다. 생후 4년이 지나면 27㎝로 자라서 성숙하여 산란을 시작한다. 알은 분리 부성란이다. 직경은 0.80~1.00mm, 유구는 보통 1개이나 간혹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도 있다. 유구는 황적색이고 많다. 계절회유를 하며, 주로 저층 트롤어업, 정치망, 안강망, 자망에 의해 어획된다. 살은 희고 맛이 담백하여 고급어로 취급된다. 겨울에 맛이 좋다. 백색육 어류로 살이 희고 단단하며 맛이 담백해서 소금구이, 찌개, 국, 찜, 튀김 등으로 즐기며, 선도가 좋으면 생선회로도 이용한다.
제철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이다. 머리가 커서 생선회로 하면 가식부의 비율이 적다. 비늘은 부드러워서 벗기기 쉬우며 비늘의 존재가 별로 신경 쓰이지 않는다. 껍질은 단단해서 당겨서 벗기기 쉽다. 살은 고품질의 백색으로 선도가 좋으면 투명감이 있다. 살은 가열하면 약간 수축하여 단단해 진다. 내장 등에서 좋은 국물이 나오며, 부낭(울림주머니), 간 등도 맛이 좋다. 요리 방법에 관계없이 맛이 있는 생선으로 산란전인 가을부터 봄에 걸쳐 매우 기름지고 맛이 좋다. 생선회는 감칠맛이 강하고 식감을 즐길 수 있어 맛이 좋으며, 제철은 가을부터 봄이지만 비교적 안정적으로 맛있는 회를 먹을 수 있다. 소금구이는 물로 씻어 수분을 잘 빼고 적당히 칼집을 내어 소금을 뿌려 2~3시간 재운다. 이것을 천천히 시간을 들여 구워내면 껍질도 향미가 좋으며, 살은 촉촉하고 부드러워서 맛이 매우 좋다. 소형 개체는 통째로 튀기며, 대형 개체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튀김 옷을 입혀 천천히 두번 튀긴다. 표면은 바삭바삭하고 살은 달아서 맛이 좋다. 국과 같은 냄비요리에는 부리(부낭)와 간 등도 같이 넣어 끓이며 살도 맛있지만 부레와 간도 맛이 좋다. 이 외에 어떤 요리를 해도 맛이 좋다.
► 분 포 : 한국(전 해역, 제주도), 일본(홋카이도 이남), 타이완, 동중국해, 남중국해, 필리핀, 말레이야 군도, 호주 및 뉴질랜드 등 서부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 비 고 : 학명(Chelidonichthys spinosus)의 종명인 스피노수스(spinosus)는 가시(spine)가 많다는 뜻(spiny)의 라틴어이며 목덜미 양측에 있는 가시, 가슴지느러미 위쪽 어깨뼈에 있는 큰 가시, 주새개골에 있는 1개의 작은 가시, 전새개골 하단 코너에 있는 한 쌍의 가시들을 비롯한 많은 가시들에 근거하여 나온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