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의 타당도와 제3변수
⑴ (내적)타당도 : 특정상황에서 정책수단(X)과 정책효과(Y)간 인과관계 있음 ⑵ 인과관계 : X가 원인변수이고, Y가 결과변수인 경우 |
※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제3의 변수
구 분 |
X와 Y의 실제관계 |
제3변수로 인해 드러난 관계 |
허위변수 |
관계가 없음(X) |
마치 인과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임(O) |
억제변수 |
관계가 있음(O) |
관계를 약화 또는 소멸(X) |
왜곡변수 |
+ 관계(또는 − 관계) |
− 관계(또는 + 관계) |
혼란변수 |
3의 관계 |
8의 관계 |
지난주 테마(2/16) : 정책학 용어정리(이익집단 등)
이번주 테마(2/23) : 정책결정요인론, 용어정리
다음주 테마(3/2) : 조직구조론
☞ 다음카페(유병준행정학)에 지난 강의자료가 있어요^^
[관련문제]
1. 정책결정요인론 중 Cnudde & McCrone의 '혼합모형‘(Hybrid model)에서는 정치적 변수․사회경제적 변수․정책산출은 어떠한 관계에 있다고 보는 셈인가? 이에 관한 서술 중 올바른 것은? [모의고사]
① 사회경제적 변수는 혼란변수이다.
② 정치적 변수는 허위변수이다.
③ 정치적 변수는 혼란변수이다.
④ 정치적 변수는 사회경제적 변수에도 영향을 준다.
[해설] 정책결정 요인론 중 Cnudde & McCrone의 '혼합모형‘(Hybrid model)에서는 정치적 변수는 그 자체적으로도 정책산출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수의 영향을 받아서 다시 정책산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인과관계의 측면에서 본다면 사회경제적 변수는 혼란변수(confounding variable)의 지위에 있는 셈이다.[정답] ①
2. 정책결정요인론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08.9.27_선관위9급
① 초기 연구에서는 정치적 요인보다 사회경제적 요인이 정책내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후기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함께 정치적 요인도 정책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정책환경이 정책의 주요한 내용을 규정한다는 것을 규명해 주었다는 점에서 정책 연구에 큰 기여를 하였다.
④ 정책결정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정책유형을 도출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해설] ④는 정책유형론이다. ① 초기 연구(1940년대~50년대)란 생태론이나 비교행정, 경제학자인 Fabricant와 Brazer의 연구결과를 의미하는 것이며 ② 후기연구란 Dawson & Robinson의 허위관계모형, Cnudde & McCrone의 혼란관계모형 등을 말한다. [정답] ④
3. 정책결정요인이론에 대한 비판이 틀린 것은?[00_입법고시]
① 계량화가 곤란한 정치적변수가 과대평가되었다.
② 경제사회적 환경요인이 과대평가되었다.
③ 변수들간의 인과관계가 불분명하다.
④ 정책수준을 상위수준의 정책으로 하고 있다.
⑤ 변수의 선정이 주관적이고 자의적이다.
[해설] 정책결정요인이론은 계량화가 곤란한 정치적 변수는 과소평가되고 계량화가 용이한 경제사회적 요인이 과대평가되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①
3. 정책학 핵심용어 정리
【01】 정책결정이론(모형)
⑤ 회사모형(연합모형, Firm Model) :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조직의 결정에 적용한다. 많은 조직은 각 단위 사업부서별로 준독립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조직에선 다른 부서 상황을 고려하면서 조직 전체의 목적을 극대화하는 결정을 해야 한다.
⇨ 특성 : 갈등의 준해결, 물확실성의 회피, 문제중심의 탐색, 조직의 학습, 표준운영절차(SOP)
⑥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모형은 합리모형과 가장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적응적․관습적 의사결정모형으로 분석적 합리성이 완전히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습관적ㆍ적응적 의사결정을 다룬 모형이다.
⇨ 특성 :
⑦ 쓰레기통모형(1972)은 Cohen, Olsen이 연구한 것으로, 조직화된 혼란상태에서의 의사결정을 설명하는 모형으로 정책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우연히 정책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봄.
⇨ 참가자의 특성 :
⑧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이란 시장의 원리를 공공부문의 자원(공공재)의 배분에 적용하려는 정치경제학적 접근방법을 말한다. 즉 정부를 공공재의 공급자로, 시민(국민)을 공공재의 소비자로 간주하고 소비자인 시민이 공공재를 선택하도록 하자는 논리이다.
⑨ 공공선택이론은 ‘비시장적(非市場的) 의사결정’에 관한 경제적 연구(D. Mueller)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는 경제학적 분석도구를 시장이 아닌 공공부문에 도입한 것이다.
【02】 정책분석의 개념
① 정책분석이란 의사결정자(정책결정자)의 판단의 근거 또는 판단의 질을 높여주기 위하여 정책대안에 대하여 탐색ㆍ결과예측ㆍ분석ㆍ평가 등 체계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다.
② 정책분석은 사전적 활동이라는 범에서 정책이 집행된 후 정책의 과정이나 효과 등을 분석하는 정책평가와 다르다.
③ 전개과정 : OR(관리과학) ⇨ 체제분석(SA) ⇨ 정책분석(PA)
④ 비용편익분석(B/C 분석) : 체제분석의 핵심기법으로 공공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사용되며, 능률성 또는 효율성 차원의 비교평가를 위한 분석기법이다. 형평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03】 비용편익분석 관련 용어
① 비용․편익의 추정 : 각 사업들의 현재 및 미래의 비용과 편익을 화폐단위로 추정한다.
② 사용될 할인율의 구체화(결정) : 각 사업의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기위해서는 동일한 기준이 있어야 하므로 미래의 비용과 편익을 현재의 비용과 편익으로 환산해야한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할인율이다.
③ 할인율(discount rate) : 미래에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할 때 사용하는 비율 할인율이 높을 경우 미래에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은 낮게 평가된다.
④ 공공사업의 할인율 결정 : 미래가치를 현재로 할인하여 비용과 편익을 비교해야 한다. 공공사업의 경우 사회적 할인율을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⑤ 대안의 비교평가 : 할인율이 결정되면 순현재가치, 비용편익비, 내부수익률을 산정하여 각 사업을 비교평가한다.
⑥ 민감도분석의 시행 : 불확실한 환경하에서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가정의 변화에 따른 결과의 변화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정하는 기법이다.
【04】 대안의 비교평가 기준
① 순현재가치(NPV) : 순현재가치는 총편익의 현재가치에서 총비용의 현재
② 편익비용비 (B/C 비율) = 수익률 지수 : B/C 비율은 미래에 발생하는 모든 편익과 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편익에서 비용을 나눈 수익률 지수가 큰 사업에 투자한다.
③ 내부수익률(IRR) = 투자수익률 : ㉠ 할인율을 알지 못해도 사업 간의 평가가 가능한 기법이다. ㉡ NPV가 0이 되도록 하는 할인율 또는 편익비용비를 1로 만드는 할인율을 의미한다. ㉢ IRR은 투자의 수익률과 같다. 즉 IRR은 클수록 경제성이 있는 사업이다.
【05】 최적의 자원배분 상태에 대한 기준(⇒ 능률성 평가기준)
① Pareto 최적(optima) : 한사람의 효용을 줄이지 않고서는 다른 사람의 사회적 효용(후생)을 확보할 수 없는 자원배분 상태로서, 한 배분 상태에서 이보다 더 나은 상태는 없다고 볼 수 있다. ⇨ 개인주의 관점
② 칼도 - 힉스 기준 : 파레토 최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사회자원의 배분에서 편익의 총합이 비용의 총합보다 크다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 어떤 정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소수가 손해를 보더라도 총편익이 총비용보다 클 경우 그 정책을 집행할 수 있다고 본다.⇨ 전체주의 관점(개체주의와 대비).
【06】 관리과학의 제 기법
① PERT(Program Evalution and Review Technique) : 비정형적인 신규사업(우주사업) 이나 비반복적 사업에서 성공적으로 목표달성을 위한 경로계획 또는 시간공정관리기법
②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 : 과거의 경향을 시간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미래의 결과를 추정하기위한 비인과적 기법이다. 투사법, 추세분석, 보외법, 경향분석 또는 연장적 예측이라고 한다.
③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 독립변수 한단위의 변화에 따른 종속변수의 변화량을 알고자 할 때 이용한다. 회귀분석은 통계적 조사결과(시계열분석 등)를 토대로 둘 이상의 변인 간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이를 근거로 미래예측을 하는 것이다.
【07】 정책평가의 종류 : 대상에 의한 분류
① 총괄평가(정책집행 후의 사후평가, 영향평가) : 정책평가의 핵심으로서 정책집행 후에 정책이 사회에 미친 영향 또는 정책결과 중에서 의도한 정책효과가 정책으로 인해서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활동을 말한다. ⇨ 정책수단과 정책효과 간의 인과관계 분석
② 과정평가 : 정책집행 및 활동을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좀더 효율적인 집행전략을 수립하거나 정책내용을 수정·변경하여 정책의 중단·축소·유지·확대여부의 결정에 도움을 준다. 협의의 과정평가란 정책수단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정책효과를 발생시켰는지 파악하려는 것이다. ⇨ 정책수단과 정책효과 간의 인과관계 경로 분석
③ 메타(Meta)평가(평가의 결산, 평가의 종합) : 평가의 평가라고도하며 평가의 결과를 재확인하는 것으로서 과정평가나 총괄평가의 평가결과를 다시 평가하는 평가종합결산을 말한다. 메타평가는 다른 기관이 평가한 결과를 제3의 기관이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며, 집행이 완료되었거나 집행중인 정책을 그 대상으로 한다.
④ 형성평가 : 정책집행의 효율성을 확보하기위해 사업계획의 개발과정이나 개선 과정에서 수행되는 사전평가를 말한다. 사업관리자나 사업실시자와 같이 사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어있는 사람들을 위해 수행되며 내부적으로만 활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 형성평가(프로그램모니터링 ; 사업감시)는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시정하려는 사전적 과정평가이다.
※ B/C의 절차
① 대안의 식별 ⇒
② 사업수명(연한)의 결정 ⇒
③비용․편익의 추정
④ 할인율의 결정
⑤ 대안의 비교평가
⑥ 민감도분석
⑦ 적정대안의 선택
※ 할이률의 종류
㉠ 민간할인율 : 통상 시장이자율을 의미
㉡ 사회적 할인율
㉢ 공공(정부)할인율
㉣ 자본의 기회비용 :
☞ 할인율이 결정되었을 때는 순현재가치법이나 편익비용비를 이용하고, 할인율이 결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내부수익률을 이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