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태봉산보루서 고구려 쇠비늘 갑옷 출토

쇠비늘과 살포
연천 무등리보루 이어 두번째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경기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태봉산 한 봉우리에 있는 고구려시대 군사보루 시설인 태봉산 보루(堡壘)에서 쇠비늘 갑옷이 발견됐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겨레문화유산연구원(원장 신창수)은 태봉산보루를 정비·복원하고자 하는 양주시 의뢰로 이 보루 유적 북쪽 구간 171㎡를 올해 1차로 발굴조사한 결과 고구려시대 건물터 흔적 2곳을 확인하고 갑옷을 장식하는 데 사용한 쇠비늘 100여 조각과 투구 꼭대기 부분인 복발(覆鉢), 그리고 각종 토기류 등을 찾아냈다고 11일 밝혔다.
쇠비늘과 복발은 남동쪽 성벽 인접 지점 보루 내부 구역 숯층에서 4~5점의 대형 토기, 완형의 살포(삽 모양 농기구 일종) 등과 함께 발견됐다.
찰갑(札甲)이라고도 하는 이들 쇠비늘은 쇳조각을 두들겨 펴고 모서리는 얇게 뒤로 말아 붙인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쇠비늘을 서로 연결하거나 갑옷에 매달기 위한 실 구멍들도 발견됐다.
남한에서 고구려 시대 철갑이 발견되기는 2011년 서울대박물관이 조사한 경기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 제2보루(堡壘) 유적 이후 두 번째다.
두 건물터 중 1호 건물터는 경사진 암반을 황갈색 점토나 암갈색 사질점토 등으로 일부 다짐한 다음에 바닥을 만들었다. 규모는 길이 620㎝에 너비 250㎝ 정도로 추정되며 장축 방향은 북서-남동쪽으로 드러났다.

쇠비늘
내부에서는 구들이 확인됐으며, 아궁이는 북서쪽에 마련하고 연기를 빼내는 배연부는 남동쪽으로 낸 것으로 추정됐다.
2호 건물터는 일부만 드러났지만 축조 방식이나 장축 방향은 1호 건물지와 같을 것으로 짐작됐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2014/07/11 06:00 송고
----------------------------------------------------------------------------------
쇠비늘 : 쇠미늘. 갑옷미늘. 갑옷에 입힌 비늘 모양의 가죽조각이나 쇳조각.
찰갑(札甲), 갑찰(甲札), 갑엽(甲葉)
쇠비늘이라기 보다는 쇠미늘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札 1. 패 찰 2. 편지 찰 3. 미늘 찰 4. 일찍 죽을 찰
보루(堡壘) : ① (적의 공격이나 접근을 막기 위하여) 돌・흙・콘크리트 따위로 튼튼하게 쌓은 진지(陣地). 보채(堡砦). ② 어떤 일을 하기 위한 튼튼한 발판.
복발(覆鉢) : ① 불탑의 노반(露盤) 위에 있는 바리때를 엎어 놓은 것처럼 생긴 부분 ② 고구려 병사들이 쓰던 그릇(사발)을 엎어놓은 모양의 투구 꼭대기 부분.
살포 : ① 논의 물고를 트거나 막거나 할 때 쓰는 네모진 삽.(삽 모양 농기구 일종) ② (4세기 후반에 등장한) 긴 자루 끝 부분에 삽날과 같은 철제 몸통을 붙여 놓은 특유한 김매기 농기구. 살포갱이, 살피, 살보, 살보갱이, 살보가래, 삽가래, 논물광이라고도 한다.
----------------------------------------------------------------------------------
연천 무등리 유적서 고구려 갑옷 출토

연천 무등리 2보루 철제갑옷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경기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 제2보루(堡壘) 유적에서 고구려 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철제 갑옷이 발굴됐다고 서울대박물관(관장 송기호)이 17일 말했다.
서울대박물관은 연천군 선사문화관리사업소 의뢰로 지난달 5일부터 이 보루에 대한 2차 조사결과 철제갑옷인 찰갑(札甲)을 발굴했다면서 "그동안 북한이나 중국 등 고구려 옛 영토에서 조각 형태로 발견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한 개체가 온전하게 실물로 발굴되기는 처음"이라고 밝혔다.
철제 갑옷은 보루 유적 내에서 바닥에 주저앉은 채로 발견됐으며 완전한 수습과 보존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적어도 상의 1벌은 온전한 개체임이 확실하다고 조사단은 말했다.
고구려 갑옷은 고분벽화에 더러 보이기는 한다.
조사단은 18일 오후 4시 발굴현장에서 학술자문회의를 열어 이번에 발굴한 갑옷을 비롯해 무등리 2보루 유적의 전반적 규모와 석축 성벽 등 확인된 조사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에 이은 이번 2차 조사에서는 성벽 바깥으로 돌출한 방형 석축 시설인 치(雉)를 포함한 석축 성벽 구조와 대지 조성을 위한 석축 축대 등이 확인됐다.
보루(堡壘)란 망루 성격을 겸한 소규모 성곽으로, 한반도 중부 일대에는 아차산 일대까지 고구려시대 보루 유적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2011/05/17 15:36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