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允昌)의 아들 현(炫)은 진사이고 현(炫)의 아들은 세헌(世憲)이다. 세헌의 초취 부인은 종실 회은군 덕인(懷恩君 德仁)의 딸이다. 회은군 덕인은 성종(成宗)의 둘째아들인 계성군(桂城君) 순(恂)의 넷째 손자인 정양군(正陽君) 회(誨)의 아들로서 청원 부원군(靑原府院君) 심기원(沈器遠) 등이 모반했을 때 왕으로 추대 받았다는 혐의로 사사(賜死)된 인물이다. 정양군의 아버지는 계림군 유(桂林君 유)로 계림군의 초취는 죽산안씨로 감찰 안방형(安邦炯)의 딸이며 후취는 현감 정유침(鄭惟沈)의 딸인데 정유침은 송강 정철(松江 鄭澈)의 아버지이다. 그러니 정양군은 정철의 생질이 되는 셈이다. 안방형은 좌의정 안당(安瑭)과는 사돈이 되며 영의정 정인지의 아들인 정광조(鄭光祖)와 좌의정 한확의 아들인 판서 한치례(韓致禮)는 안방형의 고모부가 된다.
그리고 계림군은 생부가 덕풍군 이(德豊君 恞)로, 덕풍군은 월산대군(月山大君)의 아들이며 파원부원군 윤여필(坡原府院君 尹汝弼)의 사위가 되어 중종과는 동서가 된다. 월산대군은 덕종(德宗 추존)의 아들로 혈맥으로 치면 세조의 장손이다. 월산대군의 아버지인 덕종이 세자의 지위에서 요절하게 되자 세조의 왕위가 장손인 월산대군에게로 이어지지 않고, 세조의 둘째 아들이자 한명회의 사위인 예종에게로 이어졌으며, 다음으로 예종이 왕위에 오래 있지 못하고 일찍 죽자 이번에도 예종의 아들에게로 왕위가 이어지지 않고 예종의 형인 의경세자(덕종)의 아들들이 후계자로 거론 되었는데 이때에도 의경세자의 장자인 월산대군에게로 왕위가 이어지지 않고 한명회의 사위인 성종에게로 왕위가 이어진 것이다. 월산대군의 장인인 판서 박중선(朴仲善)은 세조와는 이종간이며 월산대군의 처남인 박원종(朴元宗)은 중종반정의 주역이었으며 영의정을 지냈다.
세헌의 후취 부인은 연산서씨로 참의 필령(必寧)의 딸이다. 필녕은 현감 주(澍)의 손자인데 주(澍)의 딸들이 모두 명문가로 출가하였다. 서주의 딸은 참판 김반(金槃)의 후실이 되었다. 김반은 광산김씨로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의 셋째 아들로서 적통을 이었으며 서주의 외손이 명문 사계가문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사계의 장자 은(檃)은 조졸하였으며, 차자 집(集 號愼獨齋)이 좌의정 유홍(兪泓)의 사위인데 적실에서 소생이 없고 부실(副室)인 율곡(栗谷)의 딸에게서만 아들이 있자 양자 같은 방법으로 후사를 잇지 않고 신독재의 명으로 국법에 따라 반(槃)의 맏아들로 사계의 적통을 잇게 했으며, 반(槃)의 여러 아들 가운데서도 맏은 반(槃)의 초취 부인인 김진려(金進礪)의 딸이 낳은 익열(益烈)이었으나 익열이 아들이 없어 서주(徐澍)의 외손인 익희(益熙)의 아들인 만준(萬埈)이 익열의 양자가 되었기 때문이다.
서주의 다음 딸은 참판 유백증(兪伯曾)의 후실이니 유백증은 좌의정 유홍(兪泓)의 손자이다. 신독재 김집(愼獨齋 金集)은 유백증의 고모부이고 영의정 김자점(金自點)은 유백증의 고종이 된다. 김반의 부인으로 보면 친정 동생의 시고모부가 시숙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진사 정환(鄭晥)의 부인으로 정환은 온양정씨이고 우의정 정순붕(鄭順朋)의 증손이다. 정순붕은 을사년의 간흉(奸凶)으로 불리는 바와 같이 을사사화의 주모자 중 한사람이며 좌의정 유관(柳灌)의 가족들을 적몰하여 자기의 노비로 삼기까지 한 인물이다. 환의 아들은 뇌경(雷卿)으로 문과에 장원을 하고 필선이다. 뇌경은 간신으로 지목된 정순붕의 현손임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이를 들어 스스로를 탄핵하기도 했던 인물이다. 병자호란이 강화로 끝이 난 후 볼모로 잡혀가는 소현세자를 자청하여 수행하게 되었는데 당시에 청나라의 역관으로 행패가 극심하였던 정명수(鄭命壽)의 비행을 보고 그 실상을 청나라에 고발하여 처벌하려다가 정명수의 악행으로 오히려 처형당하고 말았다. 정명수는 천민 출신으로 요즈음으로 말하면 친일파와 같은 인물이었다. 그는 일찍이 상주 출신인 강홍립(姜弘立) 장군이 도원수가 되어 명나라의 지원요청에 따라 후금 정벌에 나선 원정대를 따라 나섰다가 강홍립 장군이 항복을 하게 되자 후금에 붙어서 역관이 되어서는 조선을 향해 처족인 관노를 군수로 임명 하라하는가 하면 세폐(歲幣)를 노략질 하는 등 갖은 횡포를 다 부리던 인물이었다. 뇌경의 아들 유악(維岳)은 참찬이다. 서주의 딸 하나는 현감 남식(南烒)의 부인이 되었는데 남식의 딸은 병자호란 당시 척화파 삼학사의 한 사람인 오달제(吳達濟)의 부인이 되었으며 영의정 약천 남구만(藥泉 南九萬)은 남식의 손자이다. 약천 가문은 대표적인 소론 가문의 하나이고 식(烒)의 둘째 아들 이성(二星)은 판서이며 이성의 사위는 우의정 민진장(閔鎭長)인데 민진장은 좌의정 민정중(閔鼎重)의 아들이다. 남구만의 졸기 중 일부를 본다.
남구만은 처음에 한미(寒微)하고 소원(疎遠)한 집에서 출세하여 재학(才學)과 풍절(風節)로써 임금의 특별한 지우(知愚)를 입어 화려한 관직을 역임하고, 숭질(崇秩)과 현작(顯爵)을 취하였는데, 내외를 통해 모두 능력 있는 명성이 나타나서 문무(文武)를 겸전한 인재로 추중(推重)되었으며, 삼사(三事)의 지위에 거의 40년이나 있었다. 만년(晩年)에는 제우(際遇)가 더욱 높았고 울연(蔚然)히 중흥(中興)의 현명한 보좌가 되어 임금의 서찰(書札)과 시장(詩章)에 기여한 뜻이 정중하므로 물고기와 물[魚水]의 만남처럼 서로 친밀한 계합(契合)이었음을 담자(談者)는 지금까지도 일컫는 것이다. 세상에서 남구만을 논하는 자가 본조(本朝)의 선배(先輩)에 비유하기를, “곧고 굳은 절조(節操)와 미륜(彌綸)하는 재능은, 이완평(李完平, 이원익)·최 완성(崔完城, 최명길)과 백중(伯仲)이 될 만하다.”고 하였다.
세헌(世憲)의 아들 성(宬)은 의금부 도사이고 성(宬)의 부인은 전주이씨로 정랑 만길(晩吉)의 딸이다. 만길의 조부는 감사 충작(忠綽)이고 세종왕자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후손이다. 성(宬)의 동생인 인(寅)의 딸은 영의정 이의현(李宜顯)의 삼취 부인이 되었다. 이의현은 용인이씨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이며, 초취 부인은 감사 어진익(魚震翼)의 딸이니 어진익은 앞에서 설명한 영성(永成)의 사위 어몽린(魚夢麟)의 손자이다. 재취 부인은 규암 송인수(圭菴 宋麟壽)의 후손인 주부 송하석(宋夏錫)의 딸이다. 이의현의 어머니는 포은(圃隱) 후손으로 우의정인 정유성(鄭維城)의 손녀이며 병자호란 삼학사의 한 사람인 홍익한(洪翼漢)의 외손녀이다. 그리고 이의현의 매부들을 보면 권상명(權尙明)은 안동권씨 시중공파로 좌의정 권상하(權尙夏)의 동생이며, 홍덕보(洪德普)는 영의정 홍명하(洪命夏)의 아들이고 김희로(金希魯)는 청풍김씨로 참판인데 우의정 구(構)의 아들이며 희로의 동생인 재로(在魯)는 영의정이다. 이의현의 사돈이 되는 지중추부사 홍봉조(洪鳳祚)는 토홍계 남양홍씨로 우리 족보에 보면 윤창(允昌)의 아들 현(炫)의 비문을 썼으며 실학자로 유명한 담헌 홍대용(湛軒 洪大容)의 종조부가 된다. 의현의 아들인 보문(普文)의 처남 신만(申晩)과 신회(申晦) 형제는 모두가 영의정이다. 이의현의 후손은 한말에 이르기까지 좋은 문호를 이루어왔다.
현(炫)의 둘째 아들인 세안(世顔)의 아들 완(完)은 참봉이고 완(完)의 아들 겸명(謙明)은 교리이다. 겸명의 부인은 한산이씨로 감사 홍적(弘迪)의 손녀이다. 이홍적의 사위 서문유(徐文裕)는 달성위 서경주(達城尉 徐景주)의 손자로 판서이다. 서문유의 아들 서종옥(徐宗玉)은 좌의정 이집(李집)의 사위로 판서이며 종옥의 아들 명응(命膺)은 대제학을 지내고 판서이고 명선(命善)은 영의정이다. 그리고 서문유의 딸은 오천 이종성(梧川 李宗城)의 후실이 되었다. 이종성은 경주이씨로 백사 이항복의 후손이며 좌의정 이태좌(李台佐)의 아들로서 영의정을 지냈다. 이종성의 초취 부인은 우의정 윤지완(尹趾完)의 손녀이다.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성재 이시영(省齋 李始榮)은 이종성의 5대손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