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브의 유량계수
1.자동제어밸브의 유체 수송의 능력을 표시하는 계수로써, 3가지 방식이 있다.
이중에서도 미국식 방식인 Cv 계수가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2.Cv 계수
밸브의 개도를 일정하게 하고, 60℉(15.6℃)의 청수를 밸브 입,출구 전후의 차압을 1psi (0.0703kgf/cm2)로 유지한 상태로 1분 동안 흐른 유량을 US Gallon/Minute(1US Gallon = 3.785 lit-re)으로 표시한 계수
3.Kv 계수
독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밸브 유량계수로써, 밸브의 개도를 일정하게 하고 5~30℃의 청수를 밸브 입,출구 전후의 차압을 1kgf/cm2으로 유지한 상태로 일정시간 흐른유량을 m3/Hr로 표시한 계수
4.Av 계수
자동제어밸브의 유량계수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모든 단위를 국제 단위인 SI 단위로 환산하여 표시한 계수
5.관계식
Cv = 1.17 Kv = (Av 106)/24
6.밸브 유량계수( Flow Coeffi-cient)
일반적으로 Cv 또는 Kv 값으로 표시되는 계수로써, 밸브의 유체수송 능력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Cv = US gallon/minute/1psi
Kv = ㎥/hour/1bar, Kv = 0.856Cv
밸브의 운전 범위성(레인지어비리티, Rangeablilty)
밸브의 운전 범위성, 레인지어비리티는 밸브의 제어 가능한 최대 유량과 최소 유량의 비율이다. 제어밸브의 제어 가능한 최소 유량과 밸브를 완전히 닫았을 때의 시트의 누설량과는 확실하게 구분된다.
예로써 밸브가 실용상 제어 가능한 최대 유량이 400gpm이고, 최소 조건하의 유량이 5gpm이라면 레인지어비리티는 80:1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