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제례법(기제사, 차례, 시제)소개
*아래의 모든 절차 및 설찬도 등은 집안 및 가정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음.
1.알기쉬운 기제사, 차례 절차 및 제수차리기
가.기제사(忌祭祀)
(1)기제사 준비 <子時(밤 11시--1시) 전에 준비 하고 子時에 제사 지냄>
1)재계(齋戒):근신하고 목욕재계하며 내외를 청소한다(세수를 함). 가무음곡(歌舞音曲)과 험
한 곳의 출입을 금한다.
2)설위,진기(設位 陳器):차례 지낼 위치를 설정하고 기구를 배설한다. 가능하면 북쪽에 병풍
을 치고 참사자 기준으로 왼쪽은 東이고 오른쪽은 西가 된다.
3)척기, 구찬(滌器, 具饌):제기를 닦고 제수를 마련해서 큰 상에 차린다.
4)변복취위(變服就位):자손들이 옷을 챙겨 입고 정한 위치에 선다. 도복을 입고 행전을 치며
유건을 쓴다.
5)설소과주찬(設蔬果酒饌):식어도 상관 없는 제수를 먼저 차린다( 1, 5, 7열) 그 후 제례 올
리기 직전에 나머지를 차린다.
6)신위봉안(神位奉安):신위(지방)를 제주가 제상위에 모신다.
(2)기제사 절차 (三獻)
1)대문열기:독축자가 대문에 나아가 대문을 열고 신위를 모셔 오듯 들어온다.
2)분향(焚香):제주는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세 번 사르고 일어나 제주만 두 번 절함
--향은 하늘의 신(혼백)을 부름을 의미
3)강신(降神):제주는 집사가 건네 주는 고위잔에만 술을 받아 모사기(茅沙器:땅을 의미) 에
세 번 나누어 붓고 일어나 제주만 두 번 절함--땅의 신위(육체)를 부름을 의미
4)참신(參神):모든 참사자가 두번 절함.
5)초헌례(初獻禮):초헌관이 무릎을 꿇고 앉아 모든 잔에 술을 올림,
6)계반정시저(啓飯正匙箸):메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바르게 골라 시접그릇 위에 올려 놓음.
7)독축(讀祝):초헌관 좌측에서 축관이 축문을 읽음. 이때 모든 참사자는 무릎을 꿇고 엎 드
림. 독축이 끝나면 초헌관만 두 번 절함.
8)아헌례(亞獻禮):초헌 다음 차례자 또는 주부가 초헌례와 같이 잔을 올리고 두 번 절 한다.
주부는 네 번 절한다.
9)종헌례(終獻禮):세번째 어른이나 특별한 참사자(사위 등)가 한다. 잔을 올릴 때 집사 는 잔
을 받아 약 1/3가량을 퇴주기에 도로 붓고 올린다. 종헌관은 두 번 절한다.
10)유식례(侑食禮):초헌관이 꿇어 앉아 작은 잔에 술을 따라 올리면 집사는 고(考:아버지, 할
아버지)) 비(搙:어머니 할머니))위 전의 다 차지 않은 잔에 세 번씩 나 누어 부어 채운다.
11)삽시정저 재배(揷匙正箸 再拜):고비위의 메에 숟가락의 안쪽이 참사자의 오른쪽으로 가게
깊이 꽂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위에 한쌍씩 걸쳐 놓는다. 모든 참사 자는 재배한다.
12)합문(闔門):모두 밖으로 나가고 독축자가 모든 문을 닫는다. 문앞의 좌우에 9식경(食 頃:아
홉 숟갈 먹을 동안, 약 7-8분)을 서 있는다.
13)계문(啓門):독축자가 문앞에 서서 어흠 어흠 어흠 세 번 기침하고 문을 연다. 모두 들 어가
제자리에 선다.
14)진다례(進茶禮):갱(국)을 퇴하고 숭늉을 고비위 전에 올린다. 잠시 서 있다가 고비위 의 숟
가락을 뽑아 메를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은 다음 숟가락의 손 잡이가 참사자의 왼쪽
으로 가게 숭늉 그릇에 놓는다. 모두 부복하여 잠시 엎드려 있는다. 독축자의 어흠하는 기
침소리에 모두 일어난다.
15)예성(禮成):축관은 제주옆에 나아가 손을 모아 들며 '예성'이라고 고한다.
(제주도 함께 손을 모아 들었다 내린다)
16)사신(辭神):숟가락과 젓가락을 시접그릇 위에 거두어 놓고 메의 뚜껑을 덮은 다음 잔 을
조금 옆으로 물린다. 모든 참사자는 두 번 절한다.
17)분축(焚祝):지방과 축문에 불을 붙이고 태워 그 재를 향로에 담는다.
18)철찬(撤饌):제상 위의 제수를 내려서 치운다. 이때 독축자는 대문까지 가서 신위를 배 웅
하듯 읍한 다음 대문을 닫고 들어 온다.
19)음복(飮福):참석한 모든 사람이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이때 집안의 어른은 돌아 가신
조상에 대한 유덕(遺德), 고사(故事), 일화(逸話) 등을 되새겨 후세들 에게 가정과 조상에
대해 자랑과 긍지를 갖게 한다.
(3)<설찬도>(모든 음식에 마늘 고추를 넣지 않음)
<기본순서: 과-채-적-탕-반찬-메-잔반-지방>
병 풍
촛불 지방 촛불
1- 시접그릇 잔반 잔반
2- 떡 메갱 메갱
3-찬줄-- 자반 계란 간장 침채(김치)
4-탕줄-- 어탕(다시마) 육탕(고기) 두부탕(두부)
5-적줄-- 소적(부침) 어전(갈납) 육적 육전(저냐) 두부전
6-채줄-- 포(북어) 무우채 고사리 도라지 (창포묵)
7-과줄-- 조(대추) 율(밤) 시(감,곶감) 이(배) 사과 약과 다식 산자 식혜
향 향합
모사기 퇴주기 제주
나)차례(茶禮) (單獻)
(1)차례 준비
*차례를 지내는 대상 : 기제사를 지내는 조상님 모두의 지방을 쓴다.
1)재계(齋戒):근신하고 목욕재계하며 내외를 청소한다(세수를 함)
2)설위,진기(設位 陳器):차례 지낼 위치를 설정하고 기구를 배설한다.
3)척기, 구찬(滌器, 具饌):제기를 닦고 제수를 마련해서 큰 상에 차린다.
4)변복취위(變服就位):자손들이 옷을 챙겨 입고 정한 위치에 선다. 도복을 입 고 행전을 치며
유건을 쓴다.
5)설소과주찬(設蔬果酒饌):식어도 상관 없는 제수를 먼저 차린다( 1, 5, 7열) 그 후 제례 올
리기 직전에 나머지를 차린다.
6)신위봉안(神位奉安):웃대부터 차례로 신위(지방)를 제주가 제상위에 모신다.
(2)차례 절차
1)분향(焚香):제주가 읍하고 꿇어 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재배한다--향은 하늘의 신 (혼백)
을 부름을 의미
2)강신(降神):제주는 집사가 건네 주는 제일 웃대의 고위잔에만 술을 받아 모사기(茅沙 器:땅
을 의미)에 세 번 나누어 붓고 일어나 제주만 두 번 절함--땅의 신위 (육체)를 부름을 의미
3)참신(參神):모든 참사자가 두번 절함.
4)헌작, 유식(獻酌, 侑食):웃대 고위의 잔부터 차례로 술을 따라 올린다.
5)정시저(正匙箸):숟가락을 떡국위에 걸쳐 놓고 젓가락을 고르게 놓거나, 젓가락을 송편 위
에 결쳐 놓는다. 모든 참사자는 두 번 절한다.
6)낙시저(落匙箸):약 7-8분간 조용히 서 있다가 웃대부터 수저를 걷어 시접에 담고 각 위의
고위전 잔반만 약간 옆으로 물린다.
7)사신(辭神):모든 참사자는 두 번 절한다.
8)납주,분축(納主,焚祝):지방을 태워서 향로에 담는다.
9)철찬(撤饌):제례음식을 제상에서 내린다.
10)음복(飮福):자손들이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유덕을 기린다.
(3)차례 설찬도
* 메.갱(국), 식혜, 나물, 달걀, 김, 자반을 쓰지 않음.
* 떡국(설), 송편(추석)을 쓴다.
* 촛불을 켜지 않음 (모든 음식에 마늘·고추를 넣지 않음)
<기본순서: 과-적-탕-반찬-메-잔반-지방>
병 풍
촛불 지방 촛불
1- 시접그릇 잔반 잔반
2- 떡 떡국 떡국
3-찬줄-- 간장 침채
4-탕줄-- 어탕(다시마) 육탕(고기) 두부탕(두부)
5-적줄-- 포(북어) 소적(부침) 어전(갈납) 육적 육전(저냐) 두부전
6-과줄-- 조(대추) 율(밤) 시(감,곶감) 이(배) 사과 약과 다식 산자 식혜
향 향합
모사기 퇴주기 제주
*참고문헌
1.<우리의 전통 예절>,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91. 계문사 간.
2.<婚喪祭禮抄>, 안동김씨대종회 간.
2. 알기 쉬운 時祭 祭羞 및 陳設 (집안, 문중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음)
가)時祭 祭羞 준비
(1)시접(匙煊):숟가락 젓가락 담는 대접. (2)시저(匙箸):숟가락 젓가락.
(3)잔반(盞盤):술잔과 받침대. (4)반(飯):메(제사밥). (5)갱(羹,국)
(6)면(麵,국수):국수를 삶아 건더기만 건져서 그릇에 담고 그 위에 계란 노른자 부친 것을 네
모나게 썰어 얹음. 떡을 쓸 때만 함께 올린다(4그릇)
(7)편(떡):제사의 떡은 현란한 색을 피한다. 팥고물을 쓸 때도 껍질을 벗겨내고 가급적 흰 색
이 되게 한다. 시루떡으로 4각의 접시에 괸다. 위에는 찹쌀가루를 빚어 기름에 튀겨 꿀이나
조청을 바른 웃기를 얹는다. (각상에 2접시, 총 4접시)
(8)편청:꿀 또는 조청. 떡 수만큼 쓴다.(2개만 준비)
(9)약밥:찹쌀을 찐 다음 밤, 대추, 잣, 조청, 꿀, 설탕 등을 섞어 다시 찜.(총 4접시)
(10)찬류:김, 조기(말려 찐 것 2마리), 간장, 침채(물김치), 계란(삶은 것), 수육(돼지고기 갈
비부분을 넓게 썰어 삶은 것, 물에 생강, 양파, 된장을 풀어 넣음)
(11)탕(湯):시제에는 5탕을 쓴다.(우리는 3탕을 씀)※고추가루 등의 조미료는 쓰지 않는다.
*육탕(肉湯):쇠고기 국의 무우 위에 고기 건데기를 탕기에 얹어 담는다.
*어탕(漁湯):국의 무우 위에 다시마를 탕기에 얹어 담는다.
*백탕:국의 무우 위에 두부 삶은 것을 얹어 담는다.
(12)적(炙):적은 구이로서 제수 중의 특별식에 속한다. 육적, 계적, 어적의 3적을 쓰는 데 초
헌, 아헌, 종헌 3헌관이 술을 올릴 때마다 적을 바꿔 올린다.
*육적(肉炙):맨 밑부터 찐 잔북어 4마리 꿴 것, 삶은 돼지고기, 삶은 쇠고기의 순서로 담고
위에 계란적을 덮은 다음 4각의 접시에 담는다.
*계적(鷄炙):닭의 머리, 다리, 내장을 제거하고 삶은 것으로 맨 위에 계란적을 덮고 등이 위
로 가게 4각의 접시에 담는다.
*어적(漁炙):비늘 있는 생선(큰 조기) 1마리를 찐 다음 계란적에 말아 4각의 접시에 담 는
데 머리가 동쪽으로 가고 배가 신위쪽으로 가게 담는다.
(13)전(煎):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것이다. 재료가 고기, 생선 등 천산(天産)인 것은 양수(陽
數)로 한다. 시제 등 큰 제사에는 간남(간南)이라고 하여 육회, 어회 등을 함께 접시에 담기
도 한다.(생략)
*소적(부침):녹두가루와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약간 섞어 물에 푼 다음 배추 절인 것, 다시
마, 쪽파를 길게 하여 나란히 넣고 부친 것이다.
*막적(부침):녹두가루와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약간 섞어 물에 푼 다음 부추, 쪽파 등 을
잘게 썰어 넣고 부친 것이다.
*육전(肉煎,저냐):돼지고기를 잘게 썰거나 다져서 두부와 야채(당근, 양파, 쪽파)를 섞 어
둥글게 만든 다음 계란을 무쳐 기름에 부친 것이다.
*어전(漁煎):생선을 저며(동태 포를 뜬 것) 밀가루에 무친 다음 계란물에 무쳐서 기름 에 부
친 것이다.
*백전(두부전) : 두부를 기름에 살짝 부친 것이다.
(14)포(脯):마른 안주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로부터 말린 물북어(4마리), 민어포, 가오리
포, 육포(쇠고기포), 맨 위에 웃기를 4각의 접시에 담는다.(웃기는 문어포를 가위 나 칼로
왕관, 산호, 공작의 깃의 형태로 오려서 장식한 것이다)
(15)식혜(醯):식혜 건더기를 접시에 담고 대추를 얹는다.
(16)숙채(熟菜):익힌 나물이다. 고사리, 도라지, 무우를 담은 것이다,(콩나물, 호박나물은 쓰
지 않음)
(17)침채(沈菜):물김치이다. 희게 담근 나박김치를 보시기에 담아서 쓴다. 고추가루로 조미
하지 않는다.
(18)과실(果實):나무에서 따는 생과와 곡식을 익혀서 만든 다식, 증과 등을 총칭한다.
조(대추),율(밤),시(감 또는 곶감),이(배),사과,잣,은행,호도,약과,다식,산자,깨정과,강 정을
준비하여 순서대로 놓는다.
(19)술(酒):맑은 술(청주,약주)을 병에 담고 마개를 막는다. 분량은 '신위수×4잔'정도로 한
다.(큰 주전자 2개에 준비)
(20)주전자(注酒):주전자를 깨끗이 씻어 놓는다.
(21)퇴주기(退酒器):스텐 빈그릇 큰 것 하나를 준비한다.
(22)다(茶, 슝늉):대접에 숭늉을 신위 수만큼 준비한다. (23)향(香):목향을 쓴다.
(24)세수기:세수대에 약간의 물을 담음. 수건 준비 (25)초,촛대(각 4개 준비)
나) 時祭 奉祀 필수 인원
(1)초헌관(初獻官) : 각 위마다 1인. 첫 술잔을 올리는 자. 제사의 주인격이다. 장자손, 문 중
의 문장(門長)이나 종사의 책임자인 도유사(都有司)가 하기도 한다.
(2)아헌관(亞獻官) : 각 위마다 1인.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자. 초헌자 다음가는 어른이 한
다.
(3)종헌관(終獻官) : 각 위마다 1인.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자. 초·아헌자 다음의 어른이 나
문중을 빛낸 특별한 자손을 지명하여 하기도 한다.
(4)축관(祝官) 1인 : 축을 읽는 사람이다.
(5)집례(執禮) 1인 : 홀기(笏記:행사 절차를 적은 것)를 읽는 사람으로 창홀자(唱笏者)라고
도 한다.
(6)진설(陳設) 4인 : 제수를 상위에 차리는 사람(모두 도움)
(7)집사(執事) 3인 : 헌작자(獻酌者:술을 올리는 사람)을 도와서 행사하는 사람으로 봉로 (奉
爐), 봉향(奉香), 봉작(奉爵), 전작(奠爵), 사준(司樽) 등을 일컫는다.
(8)찬인(贊引) 2인 : 헌관을 인도하는 사람. 대개 젊은 청소년이 맡는다.
다) <時祭 設饌圖> (사당내에서 여러 위를 合祭로 지내는 경우)
∩∩ ∩∩ ∩∩ ∩∩ (위패)
촛불 편 편청 약밥 잔반잔반 잔반잔반 잔반잔반 잔반잔반 약밥 편 편청 촛불
시접 면 반갱반갱 반갱반갱 반갱반갱 반갱반갱 면
조기 김 간장 침채 계란 수육
어탕 육탕 두부탕
소적 어전(갈납) 육적 계적 어적 육전(저냐) 막적 두부전
포 숙채(고사리) 숙채(도라지) 숙채(무우)
대추 밤 감 배 사과 잣 은행 호도 약과 다식 산자 깨정과 강정 식혜
축판 향로 향합 주 병
퇴주기
세수기 ¤
--<안동김씨 제학공파 비안공문중회>의 <세덕사> 합제의 경우--
(집안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음)
3. 알기 쉬운 시제 홀기(時祭 笏記)
*예) 안동김씨 제학공파 비안공 문중회 <세덕사> 합제 홀기
1.獻官及諸執事 皆詣(헌관 급제집사 개예: 헌관 및 모든 집사들은 앞으로 나오시오)
2.囜洗位 洗手 拭手訖(관세위세수식수흘: 세수그릇 앞으로 가서 손을 씻고 닦으시오)
3.諸執事 各就位(제집사각취위: 모든 집사는 각각의 자리로 가시오)
4.開寢(개독: 위패의 덮개를 열으시오)
<降神禮(신위를 모시는 절차)>
5.行 降神禮(행 강신례)
6.贊引 引初獻官 詣香案前 墦(찬인 인초헌관 예향안전 궤: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여 향안
앞으로 가고, 초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7.奉香進香 奉爐進爐 獻官三上香 少退再拜(봉향진향 봉로진로 헌관삼상향 소퇴재배: 봉향은
향을 받들고 봉로는 향로를 받들고 나아 가며, 헌관은 향을 세 번 사르고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시오.)
8.奉爵 奉出降神盞盤 墦于獻官之左(봉작 봉출강신잔반 궤우헌관지좌: 봉작은 강신잔을 받들
고 헌관의 왼쪽에 가서 꿇어 앉으시오)
9.司樽 斟酒以爵 授獻官(사준 침주이작 수헌관: 사준은 잔에 술을 따라서 헌관에게 주시오)
10.獻官受爵 三除于地上(헌관수작 삼제우지상:헌관은 잔을 받아 땅위에 세번 지우시오)
11.以虛爵 授奠爵 奠爵奠于故處(이허작 수전작 전작전우고처:헌관은 빈잔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원자리로 물리시오)
12.獻官俯伏 少退再拜(헌관부복 소퇴재배 :헌관은 잠시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재 배하시오)
13.贊引引降復位(찬인인강복위:찬인은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參神禮>(신위에 뵙는 절차)
14.行 參神禮(행 참신례)
15.獻官 及在位者皆再拜(헌관 급재위자 개재배 : 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두 번 절하시오)
# 女子는 四拜.
<初獻禮>(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
16.行 初獻禮(행 초헌례)
17.贊引 引初獻官 詣香案前 墦(찬인 인초헌관 예향안전 궤:찬인은 초헌관을 향안앞으로 모
시고 초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18.奉爵 奉出 庇安公 考搙位前盞盤 墦于獻官之左右(봉작 봉출 비안공 고비위전잔반 궤우헌
관지좌우:봉작은 고비위전의 술잔을 받들어 헌관의 좌우에 가서 꿇어 앉으시오.)
19.司樽 斟酒以爵 授獻官(사준 침주이작 수헌관: 사준은 술잔에 술을 따라 헌관에게 주시
오.)
20.獻官 受以 授奠爵(헌관 수이 수전작: 헌관은 이를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21.奠爵 奠于 庇安公 考搙位前 盞盤(전작 전우 비안공 고비위전 잔반:전작은 술잔을 비안공
고비위전에 올리십시오)
22.奠爵 奠于 *(陽德公) 考搙位前 盞盤(전작 전우 양덕공 고비위전 잔반:전작은 술잔을 양덕
공의 고비위전 앞에 올리시오)
---각 초헌관은 모든 고비위전에 차례로 이와같이 술잔을 올린다.--
이후 위의 ( )名을 아래 순서에 따라 15회 바꾸어 부르고 초헌관은 이에 따라 각 고비 위
전에 술잔을 올린다.
1)忠翼公(諱 時讓), 2)陜川公(諱 殼), 3)監司公(諱 素),4)安州公(諱 繁), 5)判書公(諱 徽),
6)丞旨公(諱 龜萬), 7)副護軍(諱 南挺),8)通德郞公(諱 南採),9)通德郞公(諱 必光),
10)學生公(諱 鼎光),11)學生公(諱 東虎),12)學生公(諱 東吉), 13)學生公(諱 曅),
14)學生公(諱 會健),15)學生公(諱 由和).
23.奉爵 奉毛炙(肉炙) 授獻官 (봉작 봉모적 수헌관: 봉작은 모적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24.獻官 受炙 授奠爵(헌관 수적 수전작: 헌관은 적을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25.奠爵 奠于盞盤前(전작 전우잔반전: 전작은 육적을 술잔앞에 올리시오)
26.左右執事 各詣 考位前 搙位前 啓飯盖 正匙箸(좌우집사 각예 고위전 비위전 계반개 정시
저: 좌우 집사들은 각 고위와 비위 앞에 나아가 메뚜껑을 열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바르 게
놓으시오)
27.祝官 陞 墦于獻官之左(축관 승 궤우헌관지좌: 축관은 올라가 헌관의 왼쪽에 꿇어 앉으시
오)
28.在位者 皆俯伏(재위자 개부복: 자리한 모든 사람들은 엎드리시오)
28.祝官 讀祝(축관독축: 축관은 축문을 읽으시오)
29.獻官 及在位者 皆興(헌관 급재위자 개흥: 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일어서시오)
30.獻官 少退 再拜(헌관 소퇴 재배: 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31.贊引引 降復位(찬인인 강복위: 찬인은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32.執事者 撤酒(집사자 철주: 집사들은 술을 거두시오)
<亞獻禮>(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
33.行 亞獻禮(행 아헌례)
34.贊引 引亞獻官 詣香案前 墦(찬인인 아헌관 예향안전 궤: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고 헌관
은 향안전으로 나아가서 꿇어 앉으시오)
35.奉爵 奉出 (庇安公) 考搙位前 盞盤 墦于獻官之左右(봉작 봉출(비안공) 고비위전 잔반 궤
우 헌관지좌우: 봉작은 비안공 고비위전의 술을 받들어 헌관의 좌우에 꿇어 앉으시오)
36.司樽 斟酒以爵 授獻官(사준 침주 이작 수헌관: 사준은 술잔에 술을 따라 헌관에게 주시
오)
37.獻官 受以 授奠爵(헌관 수이 수전작: 헌관은 이를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38.奠爵 奠于 庇安公 考搙位前 盞盤(전작 전우 비안공 고비위전 잔반:전작은 술잔을 비안공
의 고비위전에 올리시오)
39.奠爵 奠于 *(陽德公) 考搙位前 盞盤(전작 전우 양덕공 고비위전 잔반:전작은 술잔을 (양
덕공)의 고비위전 앞에 올리시오)
이후 위의 ( )名을 아래 순서에 따라 15회 바꾸어 부르고 아헌관은 이에 따라 각 고비위전
에 술잔을 올린다.
1)忠翼公(諱 時讓), 2)陜川公(諱 殼), 3)監司公(諱 素),4)安州公(諱 繁), 5)判書公(諱 徽),
6)丞旨公(諱 龜萬), 7)副護軍(諱 南挺),8)通德郞公(諱 南採),9)通德郞公(諱 必光),
10)學生公(諱 鼎光),11)學生公(諱 東虎),12)學生公(諱 東吉),13)學生公(諱 曅), 14)學生公
(諱 會健), 15)學生公(諱 由和).
40.奉爵 奉羽炙(鷄炙) 授獻官 (봉작 봉우적 수헌관:봉작은 우적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41.獻官 受炙 授奠爵 奠爵 奠于盞盤前(헌관 수적 수전작 전작 전우 잔반전:헌관은 적을 받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이를 술잔 앞에 올리시오)
42.獻官 俯伏 興 少退 再拜(헌관 부복 흥 소퇴 재배:헌관은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
서 재배하시오)
43.贊引 引降復位(찬인 인강복위: 찬인은 헌관을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終獻禮>(세번째 술을 올리는 절차)
44.行 終獻禮(행 종헌례)
45.贊引 引終獻官 詣香案前 墦(찬인 인종헌관 예향안전 궤:찬인은 종헌관을 인도하여 향안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47.奉爵 奉出 庇安公 考搙位前 盞盤 墦于獻官之左右(봉작 봉출 고비위전 잔반 궤우 헌관지
좌우: 봉작은 비안공 고비위전의 술잔을 받들어 헌관의 좌우로 가서 꿇어 앉으시오)
48.司樽 斟酒以爵 授獻官(사준 침주이작 수헌관:사준은 술잔에 술을 따라서 헌관에게 주시
오)
49.獻官 受以 授奠爵 (헌관 수이 수전작:헌관은 이를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50.奠爵 奠于 庇安公 考搙位前 盞盤(전작 전우 비안공 고비위전 잔반: 전작은 이를 비안공
고비위전에 올리시오)
51.奠爵 奠于 *(陽德公) 考搙位前 盞盤(전작 전우 양덕공 고비위전 잔반:전작은 술잔을 (양
덕공)의 고비위전 앞에 올리시오)
이후 위의 ( )名을 아래 순서에 따라 15회 바꾸어 부르고 종헌관은 이에 따라 각 고비위전에 술잔을 올린다.
1)忠翼公(諱 時讓), 2)陜川公(諱 殼), 3)監司公(諱 素),4)安州公(諱 繁), 5)判書公(諱 徽),
6)丞旨公(諱 龜 萬), 7)副護軍(諱 南挺),8)通德郞公(諱 南採),9)通德郞公(諱 必光),
10)學生公(諱 鼎光),11)學生公(諱 東虎),12)學生公 (諱 東吉), 13)學生公(諱 曅),
14)學生公(諱 會健),15)學生公(諱 由和).
52.奉爵 奉鱗炙(漁炙) 授獻官(봉작 봉린적 수헌관: 봉작은 인적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시오)
53.獻官 受炙 授奠爵, 奠爵 奠于 盞盤前(헌관 수적 수전작, 전작 전우 잔반전:헌관은 적을 받 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술잔 앞에 이를 올리시오)
54.獻官 少退再拜(헌관 소퇴 재배: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시오)
55.贊引 引降復位(찬인인 강복위:찬인은 헌관을 모시고 내려와 원자리로 가시오)
56.左右執事 各詣 考位前 搙位前 揷匙正箸(좌우집사 각예 고위전 비위전 삽시정저:좌우집사
는 각 고위와 비위전에 나아가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놓으시오)
<侑食禮>(유식례:첨작을 올리는 절차)
57.行侑食禮(행유식례)
★초헌관은 들어오시오
58.贊引 引初獻官 詣香案前 墦(찬인인 초헌관 예향안전 궤: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여 향안
앞 으로 나아 가게 하고 초헌관은 꿇어 앉으시오)
59.奉爵 取空盞 墦于 獻官之左(봉작 취공잔 궤우 헌관지좌:봉작은 빈 잔을 들고 헌작의 왼쪽
에 가서 꿇어 앉으시오)
60.司樽 斟酒于空盞 授獻官(사준 침주우공잔 수헌관:사준은 빈잔에 술을 따라 헌관에게 주
시오)
61.獻官 受以 授奠爵(헌관 수이 수 전작:헌관은 이를 받아 전작에게 주시오)
62.奠爵 奠于 庇安公 考搙位前 盞盤 滿斟(전작 전우 비안공 고비위전 잔반 만침:전작은 술을
비안공 고비위전의 술잔에 가득 채우시오)
<이후 양덕공 이하 : 좌우 집사는 주전자의 술로 각 고비위전의 잔을 가득 채우시오>
63.獻官及 諸執事 在位者 皆再拜(헌관급 제집사 재위자 개재배 : 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두
번 절하시오)
64.左右執事 各詣 考搙位前 揷匙正箸(좌우 집사 각예 고비위전 삽시정저 : 좌우집사는 각 고
비위전에 나아가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놓으시오)
<進茶禮>(진다례 : 숭늉을 올리는 절차)
65.行 進茶禮(행 진다례)
66.左右 執事 進于神位前 撤羹 進熟水(좌우 집사 진우신위전 철갱진 숙수:좌우 집사들은 신
위 앞에 나아가 국을 철하고 숭늉을 올리시오)
67.點茶(점다:좌우 집사들은 숭늉에 밥을 세 번 떠서 말으시오)
68.獻官及 在位者 皆俯伏--興(헌관급 재위자 개부복-흥:헌관 및 모든 사람들은 엎드리시
오.--일어서시오)
<辭神禮>(신위에서 물러나는 예를 올리는 절차)
69.行 辭神禮(행 사신례)
70.左右執事 進于神位前 撤匙箸 合飯盖 退盞盤(좌우집사 진우신위전 철시저 합반개 퇴잔반:
좌우집사들은 신위앞에 나아가 숟가락과 젓가락은 철하고 메뚜껑을 덮고 술잔을 물리시
오)
71.閉寢龕(폐독감: 위패의 덮개를 닫으시오)
72.初獻官 西向立 祝官 東向立 告 禮成(초헌관 서향립 축관 동향립 고예성: 초헌관은 서쪽으
로 서고, 축관은 동쪽으로 서서 '예성'이라고 고하시오)
73.獻官 及諸執事 在位者 皆再拜(헌관 급제집사 재위자 개재배: 헌관 및 집사와 모든 사람들
은 재배하시오)
# 여자는 四拜.
74.祝官 陞焚祝 訖(축관 승분축 흘: 축관은 축문을 사르시오)
75.左右 執事 撤饌(좌우 집사 철찬: 좌우의 집사들은 제수를 내리시오)
<福飮禮>(음복하는 절차)
76.行 福飮禮(행 복음례)
77.獻官 及執事 飮福(헌관 급 집사 음복: 헌관 및 집사는 음복하시오)
----------------終-----------
카페 게시글
선조들 저서,작품 유적
안동김씨가의 각종 제례법(기제사, 차례, 시제)소개
김창식
추천 0
조회 719
03.02.06 19:31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