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논쟁과 주요 견해를 통해 “자유의지”를 가장 체계적으로 분석한 R. C. 스프로울의 『자유의지 논쟁』!
[출판사 서평]
믿음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인가?
인간의 의지가 필요한 것인가?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엡 2:8)
에베소서 말씀에 나와 있듯이 구원은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는다. 이 사실은 많은 그리스도인이 익히 알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 그분의 은혜가 없다면, 어느 누구도 구원받을 수 없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그 구원은 또한 믿음으로 말미암는다. 많은 사람이 “믿음”을 이야기할 때, 그 주체는 “인간”이라고 생각한다. 믿음이란 “우리”가 믿는 것이지 다른 누군가, 심지어 “하나님”이 대신 믿어주시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믿음을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라고 할 수 있는가? 믿음에는 인간의 의지가 필요한 것이 아닌가? “우리”가 믿음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면, 믿음은 어떻게 생겨나는 것인가?
역사적 논쟁을 통해 “자유의지”를 명확히 이해하다!
이 질문과 함께 구원의 시작에서 가장 중요한 논쟁점이 바로 “자유의지”다. 이것은 4세기의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신학자와 그리스도인들이 고민한 주제다. R. C. 스프로울은 이 책 『자유의지 논쟁』에서 자유의지를 둘러싸고 벌어진 치열하고 팽팽한 논쟁을 살펴보고 있다. “자유의지”에 대한 주요 신학자들의 견해뿐 아니라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논쟁, 칼빈과 아르미니우스의 대립 등 역사적인 논쟁을 체계적이고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펠라기우스주의, 칼빈주의, 아르미니우스주의, 개혁주의, 세대주의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의지를 둘러싼 논쟁은 단순히 “믿음과 자유의지”의 관계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구원에서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예정과 선택, 즉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더 큰 주제와도 관련된다. 결국 구원의 시작과 관련하여 민감한 질문인 이 주제는 구원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역사하심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길이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복음전도와 고대의 이단
이 시대의 바벨론 유수ㆍ이 시대의 인간관ㆍ중생과 믿음ㆍ자유의지와 선택
1장 우리는 순종할 수 있다_ 펠라기우스
열여덟 가지 전제ㆍ·논쟁 과정
2장 우리는 순종할 수 없다_ 아우구스티누스
타락 전 인류의 도덕적 능력ㆍ타락의 결과ㆍ아우구스티누스가 이해한 자유의지ㆍ은혜와 자유
3장 우리는 협력할 수 있다_ 반펠라기우스주의자
카시아누스의 반펠라기우스주의ㆍ반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저항ㆍ트리엔트 공의회에서 드러난 모호성ㆍ얀센의 아우구스티누스주의ㆍ교리문답 속의 반펠라기우스주의
4장 우리는 죄에 속박되어 있다_ 마르틴 루터
하나님의 뜻과 예지ㆍ강요되지 않는 필연성ㆍ유의지의 의미ㆍ“당신이 ……하고자 한다면”·“……하는 자들에게는 ……하는 권세를 주셨나니”
5장 우리는 자발적인 노예다_ 존 칼빈
이교적 견해와 기독교적 견해ㆍ타락의 결과ㆍ파리 신학자들에 대한 대응ㆍ바울의 가르침ㆍ프랑시스 튀르탱이 말하는 자유의지
6장 우리는 자유롭게 믿을 수 있다_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타락의 결과ㆍ결정적 이탈점ㆍ부자와 거지의 비유ㆍ항변파ㆍ도르트 교회회의ㆍ현대의 아르미니우스주의
7장 우리는 죄를 짓는 경향이 있다_ 조나단 에드워즈
원죄의 증거ㆍ성경이 말하는 원죄ㆍ왜 그것을 선택하는가?ㆍ무엇이 선택을 결정하는가ㆍ도덕적 무능
8장 우리의 본성은 부패하지 않았다_ 찰스 피니
칭의_법정적인 것이 아니다ㆍ속죄_대속적인 것이 아니다ㆍ성화_칭의의 조건이다ㆍ도덕적 타락_사악한 본성이 아니다ㆍ중생_우리의 결정에 의존한다
9장 우리는 믿을 수 있다_ 루이스 채퍼
전적 타락?ㆍ조건적 중생ㆍ하나님의 성품을 받다ㆍ불가항력적 은혜?ㆍ무조건적 선택?ㆍ다른 세대주의자들
내용출처. 생명의 말씀사 lifeboo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