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09. 11. 19
■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생졸년] 1287년(충렬왕 14)∼1367년(공민왕 16).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문인, 초명(初名)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 역옹(饑翁). 시호(諡號)는 문충(文忠).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고려 건국 초의 삼한공신(三韓功臣) 이금서(李金書)의 후예로, 검교시중(檢校侍中) 진(瑱)의 아들로, 고려 후기의 문신 ·학자 ·시인. 외교가이다.
백이정(白蓬正)의 문인으로서 15세 되던 1301년(충렬왕 27) 성균시(成均試)에 장원하고, 같은해 이어서 문과(文科)에 급제, 1303년 권무(權務)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 ·연경궁 녹사(延慶宮錄事)를 거쳐 1308년 예문춘추관에 선발되고, 다음 해에 사헌 규정(司憲糾正)에 발탁됨으로써 본격적인 관리생활을 시작하였다.
1311년 전교시승(典校寺丞)과 삼사 판관(三司判官)에 나아가고, 이듬해에 서해도 안렴사(西海道按廉使)에 선발되었다. 1314년부터 1323년까지는 원나라를 세번에 걸쳐 국사(國事)로 다녀오고, 원(元)나라 수도 연경(燕京)의 만권당(萬卷堂)에 머물며 활동하면서도 때때로 고려에 와서 관리로 복무하여, 성균 제주(成均祭酒)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선부전서(選部典書)등을 역임하였고, 1320년에는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가 되면서 단성익찬공신(端誠翊贊功臣)의 호를 받았고,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재하였다.
1324년 밀직사(密直司)를 거쳐 1325년 첨의 평리(僉議評理) ·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전임됨으로서 재상(宰相)의 지위에 올랐다. 1339년 조적(曺使)의 난이 일어난 끝에 충혜왕이 원나라에 붙잡혀 가자 연경에 가 사실을 해명하고, 다음 해 귀국하여 시골에 은거했다.
1344년 충목왕이 즉위한 직후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임명되면서 정치표면에 등장,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하자 정승(政丞)에 임명되었다. 이때부터 네번에 걸쳐 수상(首相)이 되는 기록을 세웠다.
1353년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으로서 두 번 째로 지공거(知貢擧)가 되었다.
그는 뛰어난 유학자로 성리학의 수용 ·발전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하였으며, 문학 부문에서는 많은 시문(詩文)을 남겼는데 시(詩)는 전아(全我)하고 웅혼(雄渾)하다는 평을 받았고, 많은 영사시(詠史詩)가 특징을 이룬다. 한편, 빼어난 유학지식과 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사학(史學)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민지(閔漬)의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을 중수(重修)하는 일을 맡았고,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의 실록을 편찬하는 일에도 참여하였다. 저서로는 《익재난고(益齋亂藁)》 10권과 《역옹패설(饑翁稗說)》 2권이 있다. 흔히 이것을 합하여 《익재집(益齋集)》이라 한다.
경주의 구강서원(龜岡書院)과 금천(金川)의 도산서원(道山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공민왕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되었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묘는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 서원촌(黃海北道 長豊郡 十灘里 書院村)이다.
●고려문과방목(文科榜目)
◇1301년[충렬왕 27년 신축방(忠烈王 二十七年辛丑榜)]
◇15세(歲) 문과 등과
●가족사항
◇부(父) : 이진(瑱)
◇조부(祖父) : 이핵(李 翮)
◇증조부(曾祖父) : 이득견(李得堅)
◇외조부(外祖父) : 박인육(朴仁育)
◇처부(妻父) : 권부(權溥)
◇처2(妻二) : 박거실(朴居實)
◇처3(妻三) : 서중린(徐仲麟)
◇자(子) : 이서종(李瑞種))
◇자(子) : 이달존(李達尊)
◇자(子) : 이창로(李彰路)
----------------------------------------------------------------------------------------------------------------------------------------
●가계도(家系圖)
이핵(李翮 : 贈左僕射)
∥
배(配) : 김해김씨(金海金氏)
ㅣ
이진(李瑱 : 檢校政丞)
∥
초취(初娶) : 미상(未詳)
∥
∥----이관(李琯)
∥
제취(再娶) : 월성박씨[月城朴氏(朴仁育의 女)]
∥
∥-----체원(體元) ※스님이됨(반룡사, 해인사 주지)
∥
∥-----이제현(李齊賢)
∥ ∥
∥ 안동권씨(安東權氏 : 權溥의 女) 都僉議政丞
∥ ∥
∥ ∥-----이서종(李瑞種) 宗簿寺副令
∥ ∥
∥ ∥-----이달존(李達尊) 寶文閣 直提學
∥ ∥
∥ ∥-----여(女)
∥ ∥ ∥
∥ ∥ 임덕수(任德壽) 判司僕寺事
∥ ∥
∥ ∥-----여(女)
∥ ∥ ∥
∥ ∥ 이계손(李係孫) 典農正
∥ ∥
∥ ∥-----여(女)
∥ ∥ ∥
∥ ∥ 김희조(金希祖) 樞密院事
∥ ∥
∥ 춘천박씨(春川朴氏) 司僕正 朴居實의 女
∥ ∥
∥ ∥-----이창로(李彰路) 開城尹
∥ ∥
∥ ∥-----여(女)
∥ ∥ ∥
∥ ∥ 박동생(朴東生) 判事
∥ ∥
∥ ∥-----여(女)
∥ ∥ ∥
∥ ∥ 송무(宋懋) 判典校寺事
∥ ∥
∥ ∥-----여(女) 혜비(惠妃)
∥ ∥
∥ 평당서씨(平當徐氏) 서중린(徐仲麟/知徐州事)의 女
∥ ∥
∥ ∥-----여(女)
∥ ∥ ∥
∥ ∥ 김남우(金南雨) 典書 光州人
∥ ∥
∥ ∥-----여(女)
∥ ∥ ∥
∥ ∥ 이유방(李有芳) 전의부정(典醫副正)
∥ ∥
∥ 측실(側室)
∥ ∥
∥ ∥-----여(女)
∥ ∥
∥ 임부양(林富陽) 중랑장(中郞將)
∥
∥-----이지정(李之正) 대호군(大護軍)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李齊賢(高柄翊, 인물한국사 Ⅱ),
◇益齋 李齊賢의 史學에 대하여(金哲埈, 동방학지 8),
◇李齊賢의 歷史意識(鄭求福, 진단학보 51),
◇益齋 李齊賢의 政治活動(閔賢九, 진단학보 51),
◇益齋小樂府와 高麗歌謠(徐首生, 동양문화연구 11),
◇李齊賢論(車溶注, 韓國文學作家論, 1977),
◇李齊賢論(李炳赫, 韓國文學作家論, 1991)
편집 > 李在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