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부비동염의 특징
소아는 부비동의 자연공이 상대적으로 넓어서 마치 비강과 부비강이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되어 있고, 급성 상기도염을 자주 앓기 때문에 비교적 축농증이 잘 생기고 또한 축농증에 의한 안와 합병증 등이 잘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성인에 비해 비교적 약물 치료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같은 상기도염 증상이 10일 이상 지속되면 축농증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또한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밤에 기침을 자주하면 콧물이 기도로 넘어가서 후두를 자극하여 생기는 경우에 생길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만성축농증을 의심할
- 소아 부비동염의 증상
소아는 성인과 달리 환자 자신이 직접 증상을 잘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대개 감기와 수 있습니다.
- 치료
치료는 약물 치료를 원칙으로 합니다. 약물치료는 급성일 경우 2주정도 시행합니다. 만성축농증의 경우 약 4주간의 약물치료를 시행하며 재발하는 경우 약 3주간의 약물치료를 시행합니다. 재발이 잦은 경우에는 평소 약물의 반 용량으로 6주간의 예방적 약물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 수술적 치료
소아 축농증 치료는 약물치료가 원칙이지만 안와합병증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약물치료로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 상악동 천자 및 세척술이나 부비동 내시경 수술을 통해 농성 분비물을 제거하고 부비동의 환기가 잘 되도록하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출성 중이명을 동반하고 축농증이 자주 재발하고 편도와 아데노이드가 비대되어 있는 경우는 비내수술의 전단계로 편도와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고려해 볼 수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