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MU International School(KIS)은 21세기 글로벌 디지털 경제를 선도하는 International Business(IB)와 Information Technology(IT) 교육 분야의 전문기관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혁신적인 교육비전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교육비전으로 GED(Globalization, Entrepreneurship, Digitalization) 모형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즉, Globalization 교육비전은 세계경제와 글로벌 산업과 시장환경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구비하는 것입니다. Entrepreneurship 교육비전은 급변하는 세계경제 환경에서 기업가의 도전정신과 역량을 함양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Digitalization 교육비전은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 환경에서 뛰어난 IT기술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
International Business (IB) 전공 |
International Business 전공은 학생들이 폭넓은 경영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혁신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첫째, International Business 전공과정을 학부기초 6과목(18학점)과 전공필수 7과목(21학점)만 이수하면 나머지 전공 과목은 각 학생 개인의 선호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습니다.
둘째,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자격증 취득을 위한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인회계사 (Certified Public Accountant : CPA), 공인재무분석가(Certified Financial Analyst : CFA), 공인 손해보험언더라이터(Chartered Property Casualty Underwriter : CPCU), SAP ERP Specialist등 자격증 취득에 따른 적합한 지도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셋째, 교수ㆍ학생 간의 대면관계를 통한 사제동행세미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신감, 열정과 역량 그리고 도전의식을 집중 배양할 수 있으며, 다양한 특별활동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업계획서(Business Plan)대회, 홈페이지 경연대회, 글로벌 에티켓대회, 전문 프레젠테이션 대회, 사이버투자대회, 모의TOEIC대회가 그것입니다.
|
|
Information Technology (IT) 전공 |
Information Technology 전공에서는 팀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 철저한 실습에 기반한 실무지향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커리큘럼을 운영합니다.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언어, 임베디드 시스템, 컴퓨터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개발, 디지털 융합, 정보시스템관련 컨설팅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교과과정 운영에 있어서 전 과목 영어 강의를 진행하고, 모든 교재는 원서를 사용하게 됩니다. IT 분야의 특성상 새롭게 개발되는 지식이 대부분 영어로 발표되는데, International School 학생들의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바탕으로 신 지식을 보다 쉽게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수 있게 되어, 졸업 후에도 자신의 전공 경쟁력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IT 전공 지식 측면에서 학생들은 4학년 때 Capstone Design Project를 수행하여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상용 소프트웨어에 근접한 성능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하게 되어 자신의 현업적응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본 전공에서는 학부 과정에서의 실무 경험을 중시하는데, 대표적으로 3,4학년 학생들을 위주로 여름 방학이나 겨울 방학 2개월간 IT 전공과 연계된 회사에서 인턴을 할 수 있는 인턴쉽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특히 International School의 특성에 맞게 해외 인턴쉽에 대한 기회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공합니다. 또한 학생들은 국민대학교 컴퓨터 관련 교수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개최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경진대회나 ACM-ICPC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등 다양한 국내 및 국제 경진대회에서 자신의 실력을 다른 학생들과 비교해 보는 기회도 가지게 됩니다. |
 |
|
International Business (IB) 전공 |
International Business 졸업자는 세부 경영 분야의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되며 다양한 공?사 기업의 해당 분야로의 취업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재무나 회계 전공자는 일반 기업의 재무나 회계 부서로의 진출이 가능하며 특히, 은행이나 증권회사와 같은 금융기관으로의 진출이 활발합니다. 또한 MBA 경영대학원 및 Law School 진학, 정부와 정부기구, 국제기구 및 다국적 기업, 언론사, 컨설팅 관련 기업체로의 진출도 가능합니다. |
|
Information Technology (IT) 전공 |
IT 전공의 졸업자는 IT 기술에 대한 전문지식과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글로벌 엔지니어로 인정받으며, 대기업의 엔지니어, 공공기관의 정보화 업무 담당자, 시스템 개발 업체 전문가, 또는 IT 관련 벤처기업 사업가로 활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국제 학부 내의 International Business 전공과의 교류를 통해 점차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IT 컨설팅 분야에서 컨설턴트로 활약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박대현 |
부교수 |
경영학박사(성균관대학교) |
 |
02)910-5531 |
 |
 |
|
 |
아놀드정 |
조교수 |
경영학석사(미국 Columbia Univ.) |
 |
02)910-5484 |
 |
 |
|
 |
장요 파슨스 |
조교수 |
문학석사(미국 California State Univ. Long Beach) |
 |
02)910-5485 |
 |
 |
|
 |
주재우 |
조교수 |
경영학박사(캐나다 Univ. of Toronto) |
 |
02)910-5523 |
 |
 |
|
 |
최대헌 |
조교수 |
경영학박사(Univ. of Washington) |
 |
02)910-5529 |
 |
 |
|
International Business
|
|
|
|
|
|
|
|
|
|
 |
아놀드정 |
조교수 |
경영학석사(미국 Columbia Univ.) |
 |
02)910-5484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