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사시대부터 원주민 조상 거주
1945년부터 농업 기계화로 농업 본격 발달
사스카치완은 캐나다 중부의 3개 주의 중심에 있으며 면적은 588,276.09km2 이다. 인구는 2008년 추정치로 1,015,895 명이며 대개 주의 남부지역에 살고 있으며 233,923명은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인 사스카툰에 거주하며 194,971명은 주도인 리자이나에 거주한다.
주의 이름은 사스카치완 강에서 왔는데 크리 원주민 말로 빨리 흐르는 강이라는 뜻이다.
고고학자들은 오래 전 선사시대부터 이 지역에 원주민의 조상들이 거주해온 사실을 보여 주었고 이 지역의 원주민들로는 치페위안, 크리, 솔토, 아시니보인, 아치나, 수 부족 등이 있다. 허드슨 베이 회사의 탐험가이며 모피 교역자인 헨리 켈시가 1690년에 이 지역에 도착하여 매니토바와 사스카치완 강 지역을 탐사 하였다.
이어서 많은 탐험가들이 허드슨 베이 회사와 노스 웨스트 회사를 통해 모피 교역을 위해 이 지역을 탐사 하였다.
이민 담당 장관 클리포드 시프튼은 캐나다 횡단 철도 주변의 중부 평원 지대에 유럽인 농업 이민을 유치 하였다. 이 지역은 루퍼트 랜드, 노스 웨스트 테리토리의 한 지역으로 정치적으로 명칭이 변경 되다가 1905년에 드디어 주로 되었다.
사무엘 헌은 딘 부족과 최초로 접촉한 탐험가중의 하나였다. 알공키안족은 고산 지대에 살고 크리는 초원지대에, 아시니보인, 아치나, 수족은 지금의 사스카치완 지역의 외곽에 살았다.
1670년 5월에 영국 왕실은 지금의 허드슨 베이 회사의 전신이었던‘허드슨만 무역을 위한 영국의 총독과 탐험가 회사’에 허드슨 만으로 배수되는 모든 땅을 양여하였다.
1774년에 이 회사의 최초 교역소인 컴벌랜드 하우스가 만들어졌다.
내륙으로는 노스 웨스트 회사의 교역자들이 다녔고 유럽의 모피상들과 미국의 모피상들이 교역소를 만들고 원주민들과 교역을 하였다.
원주민들은 초기의 방문자들이 적응 하도록 도왔고 포트게리가 노스 웨스트 테리토리의 최초의 수도가 되었다. 북서 기마 경찰대의 막사가 서쪽으로 전진하여 리빙스톤이 잠시 수도가 되었다.
1876년 10월 7일 노스 웨스트 테리토리 법이 부총독 레어드에 의하여 승인 되었다.
그는 1877년 여름에 리빙스톤을 떠나 배틀포드에 새 수도를 정했다. 1882년 5월8일에는 관리의 용이함을 위하여 여러 개의 임시 지역으로 나누어졌고 전신선이 북쪽의 공동체들을 이어 주었고 1871년과 1899년 사이에 원주민과 노스 웨스트 정부 사이에 1번에서 8번에 이르는 조약이 체결 되었다.
1882년에 노스 웨스트 테리토리 지역이 임시로 알버타, 아시니보이아, 아타바스카, 사스카치완으로 나뉘었다.
키와틴 지역은 노스웨스트 테리토리에서도 좀 더 자치권을 가졌기 때문에 정식으로 디스트릭트 였지만 나머지는 임시 디스트릭트였다. 노스 웨스트 테리토리는 광대한 지역이라 1885년에는 좀 더 많은 행정구역이 만들어져 프랭클린, 키와틴, 엉가바, 매켄지 지역으로 분할 되었고 아타바스카 임시 디스트릭트는 서쪽으로 더욱 확장 되었다.
1885년에는 메티스족의 지도자 루이 리엘의 북서 반란이 있었다. 연방정부의 서부 개척 정책에 의하여 캐나다 퍼시픽 철도, 허드슨 베이 회사 및 관련 토지회사들이 이민을 권장하였다. 이들 회사들의 다소 과장된 광고가 캐나다 중부지방을 마치 에덴동산처럼 생각 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농업 이민자들을 받아 들이는데 오히려 지장을 주었다.
서부는 축복 받은 땅으로 물, 나무, 금, 은, 철, 구리, 그리고 석탄이 풍부하여 즉시 얻을 수 있는 것처럼 광고가 암시했기 때문 이었다.
그러나 현실은 냉혹했다. 그러나 1913년까지는 동부의 돈이 유입되어 사스카치완의 농부들에게 장기 융자가 이루어진 금액이 6,500만 달러에 달했다.
정착민의 지배적인 그룹은 캐나다 동부와 영국에서 온 사람들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까지는 이 지역 인구의 50%에 달해 사회, 경제,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여러 민족들의 공동체가 노스 웨스트 테리토리 도처에 만들어 졌다.
프랑스인들이 화이트우드에 롤랑드리 목장을 만들고 1880년대에는 에드워드 피어스가 캐닝튼 장원을 만들었고 바 정착민들이 1903년에 북으로 가서 로이드민스터에 정착했고 북서지역에 피터 바실리에비치 베리진이 러시아에서 이주해온 두코보들의 공동체를 만들었다.
남녀의 역할이 분명히 달라서 남자는 주로 농사하고, 집 짓고, 기계를 운용하고 수리하고 재정문제 등을 담당하였다. 처음에는 독신자들이거나 부인을 동부에 두고 와있는 남편들이 많았다.
1901년에 19,200가구의 가족이 있었으나 15년 후에는 150,300가족으로 증가 되었다. 부인은 거친 환경에 적응하는 잔일, 기능적인 일 등을 하였다.
사스카치완의 초창기 역사는 원주민 부족간의 투쟁의 역사이다. 유럽인들이 정착하기 전에는 블랙푸트, 아치나, 크리, 아시니보인, 솔토, 수와 딘 부족들 사이의 끝없는 싸움이 있었다. 많은 지역의 이름들이 초기의 분쟁의 흔적들을 지니고 있다.
메티스 부족의 등장은 이 지역의 분쟁을 또 다른 차원으로 이끌고 간다. 메티스는 수 족을 비롯한 여러 부족과 충돌을 하였고 1885년 메티스 부족의 사스카치완 반란을 마지막으로 캐나다내에서의 전투는 종료 되었지만 영국계, 프랑스계, 메티스사이의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1600년대에서 1800년대의 초기까지 모피교역에서 도로도 없고 철도도 없는 당시에 내륙으로의 여행은 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원주민 부족과 프랑스 모피 교역자들은 자작나무 카누를 이용해서 강을 건넜고 허드슨 베이 회사는 요크 보트를 이용해서 여행했다.
1800년대 후반에는 증기선이 사스카치완 강에서 이민자와 상품을 운송하는데 사용되어 1896년까지 운행 되었다. 겨울 동안은 강에 얼음이 떠내려오고 폭 좁은 곳은 모래톱으로 증기선 사용이 비실용적이라 중단 되었다. 이후 지금까지도 계절에 따라 페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북부의 호수에서는 바지선이 사용되고 있다.
1905년에 아시니보이아, 사스카치완, 아타바스카가 사스카치완 주로 통합되었다. 초기의 정부는 평원지대에 화재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골 지역에 공동체를 건설하고 도로와 다리를 만들었다. 지속적으로 농업정착이 장려되고 재정지원으로 학교, 교회, 묘지, 건강보험 등이 만들어졌다.
사스카치완은 수출을 위한 밀 생산과 영국계 캐나다 문화를 발전 시키는 노력을 경주하여 미국, 독일, 스칸디나비아로부터의 농업 이민으로 1901년에 91,000명이었던 인구가 1911년에는 492,000명이 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애국심으로 적극 참전 하였고 경제적 부흥도 있었다. 밀 가격이 3배가 되고 농토가 2배 늘었다. 사스카치완은 1916년 여성 참정권을 허용 했으며 국민투표로 알코올 판매를 금지 하였다.
전쟁후의 경제위기는 농사꾼들의 항의를 일으켰으며 이들은 오랫동안 자신들을 토론토와 몬트리올에 기반을 둔 거대한 곡물 회사, 은행, 철도회사들의 희생양으로 생각 하였고 농사꾼들을 희생시켜 제조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높은 관세를 매겨 값싼 미국 농기구를 못 사게 한다고 생각 하였다.
연방 정부는 농민 자제를 군대징집에서 면제 하겠다고 약속 하였으나 곧 취소해 버렸다.
정부는 밀 가격에 상한선과 하한선을 두었다. 농민들은 그들의 정치적 권익을 대변하기 위해 진보당을 결성하여 1921년 총선에서 연방의회에 64의석을 확보하였다.
밀의 가격을 통제하기 위하여 46,000명의 농민들이 1923-24년에 밀 생산자 협동조합을 결성하였다. 밀을 수매하여 최고가격을 받을 때까지 엘리베이터에 저장하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생산자 연합은 1931년에 재정적으로 파탄되어 연방 정부가 적자를 보전 하였다. 엘리베이터를 소유한 농민들의 협동 조합은 계속 되었다.
농업개발을 위한 개혁, 교육, 보험 등이 개선되어 비테라라는 이름으로 계속 활동을 하면서 2007년에는 매니토바에 본부를 둔 아그리코 유나이티드를 인수하였다. 치솟는 밀 가격 덕분에 비테라의 2008년도 수입이 1분기에 이미 전년 수입의 3배에 달하는 13억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광란의 1920년대에는 정착민들간의 여러 가지 다른 생각이 충돌하기는 했지만 경제적으로는 풍요로운 시대였다. 밀주제조와 알 카포네 같은 갱들이 북쪽의 죄악의 도시, 작은 시카고로 불리던 사스카치완의 무스죠로 연결되는 수라인 철도와 사이프레스힐스 근처의 동굴들을 술을 미국으로 밀반입 하는데 사용 하였다. 1930년대의 대 가뭄과 대공황이 맞물려 사스카치완을 거의 황폐하게 하였다.
가난과 급진 노동운동이 사스카치완 비안훼의 탄광 노동자와 기마 경찰대의 충돌인 1931년 9월29일의 에스테반 폭동과 1935년 7월1일의 리자이나 폭동으로 이끌었다. 수 천명이 더 이상 가족을 부양할 수도 없고 공동체를 유지할 수도 없어 농장을 떠났다.
대공황은 중부의 평원지대에 가장 강한 영향을 주어 세계 밀 시장이 붕괴하고 일인당 소득이 75% 떨어졌다.
1939년 주의 전체 예산이 2천3백만 달러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1937년의 사스카치완 주를 구제 하기 위한 경비가 4천만 달러를 넘는 지경이었다.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주는 교사봉급을 지급 하기 위해 발행 했던 어음을 결제 하려고 2% 판매세를 부과하였다.
1930년에 사스카툰은 미숙련 노동자를 공급하기 위해, 임금을 벌기 위해 근로 해야 한다는 일련의 정책을 실시 하였다. 시, 주, 연방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시가 주관하던 이 프로젝트는 처음에는 어느 정도 실업을 통제 하였다.
1932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대공황이 일시적 현상이고 단기간의 비상 조치이면 해결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하였다.
1932년까지 대공황은 더욱 악화되어 끝이 보이지 않았다. 1932년 봄까지는 연방과 주 정부는 수입이 부족하여 현금이나 음식을 제공하는 보다 싸고 효율적인 방법을 선호하여 돈이 많이 드는 공공사업을 포기했다. 1939년이 지나고 다시 번영이 돌아와서 제2차 세계대전에 총력을 집중하였다.
1940년 까지도 사스카치완 주는 많은 작은 마을들이 여기 저기에 널려있는 농업 지역으로 3분의 2의 인구가 농장에 거주하며 10분의1 정도는 1,000명 이상의 마을에 거주 하였다.
15%정도인 인구 5,8000명은 주도인 리자이나에, 20,000명은 리자이나에서 40마일 떨어진 무스죠에, 대학도시인 사스카툰에는 43,000명이, 북쪽의 프린스 알버트에 13,000명이 거주 하였다. 이 4개의 도시는 주로 시골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철도와 도소매업이 대부분의 고용을 하고 있다. 도시 지역에는 전문가들과 전국 규모의 회사와 은행의 관리자들이 거주하며 이튼과 허드슨 베이 회사등 전국적 사업체들은 동부의 사업자들을 상징하여 사스카치완 사람들의 정치적 두려움의 대상이다.
1945년 이후의 농업의 기계화는 사스카치완을 바꾸어 놓았고 농장이 규모가 더 커지고 더 많은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고 학교도 규모가 커지고 성장과 개술 개발이 사스카치완을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정치단체인 협동국민연합 (CCF)이 1932년에 창설 되었고 1933년 당 선언에 캐나다에서 자본주의를 없애고 사회주의를 수립해야 한다고 약속 하였다.
토미 더글라스라는 침례교 목사 출신의 지도자가 1944-61년 사이에 최초의 주 정부를 구성하여 캐나다 사회주의 아버지로 불리었다.
더글라스는 1946년에 원주민 대표들과 원주민의 이해를 대표하기 위하여 대표단을 구성하여 3개의 기존 조직이 사스카치완 원주민 연합으로 통합되어 사스카치완 원주민 부족 연합(FSIN)으로 발전 하였다.
1959년에 더글라스는 선지급하면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가 관리하는 의료보험제도를 정책으로 약속했고 의사들은 이에 반대 하였으나 CCF 가 선거에 승리 하였다.
2005년에는 주 인구의 3분의 2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며 다양한 경제, 문화 활동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주 경제의 미래는 유전과 밀농사에 달려 있다.
사스카치완은 현재 미국에 대한 9번째로 큰 원유 공급자이며 12억 배럴의 원유와 15억 배럴로 추정되는 오일샌드 매장량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