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란 기업 전체를 경영자원의 효과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
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수단이다. 쉽게 말해 정보
의 통합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최적으로 관리하자는 개념으로
기업자원관리 혹은 업무 통합관리라고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는 통합적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회사의
자금, 회계, 구매, 생산, 판매 등 모든 업무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자동 조절해 주는 전산 시스템을 뜻하기도 한다.
기업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 경영상태를 실시간으
로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빠르고 투명한 업무처리의 실현
을 목적으로 한다.
ERP는 MRP(자재소요량관리) MRPII(생산자원관리) MIS(경영정보시스템)
등의 자원관리 기법의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했으며, 지난 90년대 유
럽 미국, 일본 등 선진기업들이 다국적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종합적인
정보망을 구축하면서 도입됐다.
ERP가 구축되면 기업의 생산, 영업, 구매, 재고관리, 회계부서 모두
가 기업에 필요한 정보를 동시에 갖게돼 기업의 전 부문이 통합적으로
돌아가게 된다.
기업은 생산시간의 손실을 최소화하게 되며, 시스템상에서의 재고
정확도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거둘수 있다. 특히 제조업체들은
제품가의 60-70%를 차지하는 부품조달을 합리적으로 기획하고 긴급히
발생한 새로운 생산수주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다.
ERP시스템이 구축되면 또 기존에 1년에 한두번 또는 분기별로 시행하
던 총실사방식에서 탈피, 순환실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언제든지 투명한
회계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주기적으로 재고부족이나 과잉순
환 등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게 돼 오류를 해결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ERP패키지로는 SAP R/3, 오라클 Application, BPCS 등이 있으
며 국내 패키지로는 삼성 SDS의 UniERP, 영림원의 K시스템, 한국기업
전산원의 탑 ERP 등이 있다.
ERP란 용어는 미국의 "ERP벤더" 라는 소프트웨어 개발회사가 자사의 소
프트웨어 제품에 붙인 명칭에서 유래했다. 그 후 미국의 시장조사, 컨설
턴트 회사가 그것들을 ERP패키지라고 부른 것이 발단이라고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전사적자원관리'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SAP코리아라는 회사가 독일 본사에서 ERP 제품을 국내에 들여오면
서 번역한 것이 그대로 굳어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