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1,[201]
(황) 누르다 |
자원 : {象形字, 假借字} 본래 사람이 허리에 둥근 옥을 두르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허리에 차는 옥인 패옥(佩玉)을 의미했었는데, 후에 패옥 색깔이 노란 것으로 인해 '노란색'의 의미로 가차됨. 또한 본래 패옥의 의미는 '玉(옥)'을 더해 '璜(황)' 글자를 별도로 만듬. {形聲字} 흙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田'과 '田'을 제외한 위아래 부분의 글자{풀초(艸) 밑에 불화(火)를 쓴 자-'光(광)'의 고자(古字): 발음을 나타냄}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로, 누런 흙 색깔에 의미를 부여해 '노랗다'는 뜻을 만듬. 부수의 활용은 거의 작용하지 않고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함. [ 예) 橫(횡)가로 - 木부수, 廣(광)넓다 - '엄호'부수, 擴(확)넓히다 - 手부수, 璜(황)서옥(瑞玉) - 玉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 자 0) 黃 (황) 누렇다 : 天地玄黃, 黃昏 |
12-2,[202]
(서) 기장 |
자원 : {會意字} 위 부분은 곡식의 의미인 禾(화: 벼)이고, 아래 부분은 '雨(우: 비)'자를 간략하게 표현한 글자로 보거나 '水(수: 물)'로 보아 둘이 결합하여 만든 글자인데, '禾'의 의미는 벼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곡식 가운데 이삭이 흩어져 자리는 곡식인 '기장'을 의미한 것이고, '雨'나 '水'가 더해진 것은 기장으로 술을 담그기 때문이라고 보거나 '기장'이 곡식 가운데 가장 물기와 찰기가 많기 때문임. 부수의 활용은 기장이나 다발성과 접착성이 있는 기장의 성질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는데, 속한 글자가 많지 않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해당 기초한자 없음. |
12-3,[203]
(흑) 검다 |
자원 : {會意字} 아래 부분은 '炎(염: 불꽃)'으로 불을 지피는 모양이고 위 부분은 '窓(창: 창문)'의 고자(古字)로, 둘이 결합하여 불이 타올라 나가는 창을 굴뚝으로 보아 굴뚝에 연기가 나가거나 거멓게 그을려 있다는 데서 '검다'는 의미를 도출해 냄 부수의 활용은 검정색이나 검은 것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고 발음부호[音符]로도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함. [ 예) 墨(묵)먹 - 土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 자 0) 黑 (흑) 검은빛 : 近墨者黑, 黑心, 漆黑 0) 默 (묵)잠잠하다 : 默殺, 默念
|
5) 點 (점) 점,켜다,조사하다 ; 汚點, 點檢, 點心 0) 黨 (당) 무리 : 黨利黨略, 偏黨, 政黨 |
12-4,[204]
(치) 바느질하다 |
자원(字源) : {象形字} 바늘에 꿴 실로 천이나 옷감[布(포: 베)]에 무늬를 수(繡)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자수(刺繡)놓다', '바느질하다', 바느질한 옷감' 등의 뜻을 지님. 부수의 활용은 '바느질하는 것'이나 '자수(刺繡)'와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해당 기초한자 없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