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입향기
조선조 선조때 이조판서(吏曹判書)인 옥계(玉溪)선생 노진(盧禛)은 슬하에 아들 7형제를 두었다. 진의 본향은 경남 함양군 개평으로 선대로부터 여러 대를 살아온 곳이다.
공의 처가(妻家)는 순흥안씨(純興安氏)로 남원에 살고 있었으며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인 사제당(思齊堂) 처순은 장인(丈人)이 된다. 진(禛)은 한 때 사제당(思齊堂) 문하(門下)에서 잠시 수학한 일이 있어 남원과는 연맥(緣脈)이 통하는 곳이다.
진(禛)의 여섯째 아들인 처사공(處士公) 사첨(士詹)은 선조때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의 사위가 되었으나 불행히도 1581년(선조 14년) 향년 19세로 타계하여 처가(妻家)가 살고 있는 광주(光州) 삼양동(三陽洞)에 장사(葬事)하게 되었다.
처사공(處士公)의 미망인(未亡人) 박씨부인은 본관(本貫)이 음성(陰城)으로 명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재조(才操)가 남달리 뛰어나 일찍이 학문을 배우고 가사범절(家事凡節)과 부덕을 갖추었음은 물론 이인으로 이름이 났다. 새소리, 제비소리와 쥐소리를 듣고 무슨 소리인지를 해득하였으며 또한 풍수지리에도 밝았다.
어느날 한 사람이 박씨부인을 시험해 보기 위하여 제비 한 마리를 잡아 도포(道袍) 속에 넣고 지금 제비가 무어라 지저귀고 있느냐 하고 물었다.
이에 박씨부인은 우불용 피불용 사지사지(羽不用 皮不用 赦之赦之-털도 쓸모가 없고 가죽도 쓸모가 없으니 놓아 주시오. 놓아 주시오.)라 하였다고 한다.
모두가 박씨부인의 기이함에 감탄하였다. 부인은 청상(靑孀)으로 슬하에 아들이 없어 둘째 시숙(媤叔) 익산공(益山公) 사회(司誨)의 둘째 아들 철을 입계(入系)하여 선조 때 사간을 지낸 미능재(未能齋) 최상중(崔尙重)의 딸을 며느리로 맞이하였다.
그러나 오랜 역사가 흐르는 동안 여러 번의 병화(兵禍)와 난세(亂世)로 많은 문적(文籍)들이 소실되어 문헌상으로 고증할 수가 없고 다만 선대 때부터의 구전에 따르면 박씨부인은 광주에서 400여리가 되는 함양 개평의 시댁을 자주 왕래하면서 자손(子孫)발복지지(發福之地)를 늘 찾고 있었다.
한때 남원의 주촌방(朱村坊)에서 3개월 동안 머물면서 주촌방 동편에 병풍(屛風)처럼 둘러 있는 월봉산(月峯山)을 이모저모 관찰하였다. 월봉산은 지리산의 한가닥 줄기로 그 밑에는 용담(龍潭)과 범실(虎谷)의 두 마을이 있었는데 풍수지리학적으로 볼 때 용담(龍潭)은 부(富)는 있어도 귀(貴)와 벼슬이 없고 원천은 부(富)는 없으나 귀(貴)와 벼슬이 있음에 이곳 원천에 새터를 잡아 정착하게 된 것이다.
그후 자손들이 번창하고 사마시(司馬試)와 문과에 급제하여 입신양명(立身揚名)한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이로 인하여 함양 개평에 살고 있던 시댁 식구들이 남원으로 이사를 하고 종가와 옥계선생 사당도 이 시기인 숙종4년(1678년) 현손 전에 의하여 원천으로 이사하게 되었다. 입향조 철의 후손들은 전국에 천 가구에 이르며 세거지인 범실에는 5형제 후손들이 효제돈목의 유풍을 지키면서 선조의 얼이 서린 용연(龍硯),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홍패(紅牌) 및 임술보(1682년) 판각 등을 소중히 간직하며 살아왔다. 또한 전라, 충청, 경상 3도의 유림들이 남원 고룡(古龍)에서 서원(書院)을 세워 지난날 옥계선생의 높은 학덕(學德)과 효행(孝行)을 추모하고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그리고 그후 처사공(處士公) 후손 일부는 순창의 아천(阿川)에 새 터를 잡아 살게 되었고 일곱째로 막내인 사과공(司果公) 사심(士諗)의 후손들은 임실 옥전(玉田)을 거쳐 뒷내(後川)에 새터를 잡아 300여년이 지난 오늘까지 세거(世居)하고 있다.
이곳 노씨들의 원향(原鄕)은 풍천(豐川)이나 주로 옥계선생(玉溪先生) 후손들만이 원천(元川), 아천(阿川), 후천(後川) 등 내천(川) 자가 붙은 곳을 찾아 살며 모두 번창하는 것도 기이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또한 1873년(고종10년)에 익산공(益山公) 사회(士誨) 묘소는 함양 주곡(酒谷)에서 처사공(處士公) 사첨(士詹) 묘소는 광주(光州)에서 고룡(古龍-금지면) 옥계선생의 옛 사당터에 이장(移葬)하여 사과공(司果公) 사심(士諗)의 묘소와 함께 3형제의 분묘(墳墓)가 있다.
용연(龍硯) : 삭녕최씨부인(朔寧崔氏夫人)이 부 최상중(崔尙重)으로부터 상으로 받은 벼루(최상중(崔尙重)이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중국(中國)에서 가져왔음)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홍패(紅牌), 백패(白牌), 옥촉태(玉燭台) ; 지평공(持平公) 휘(諱) 형하(亨夏)에게 효종(孝宗)이 내린 하사품(下賜品) 및 급제합격증(及第合格證)-종손(宗孫) 상옥(相玉) 소장(所藏)
임술보(壬戌譜) 판목(板木) : 1682년 임술년(壬戌年)에 휘(諱) 환성공(喚醒公) 형망(亨望)께서 수사공(水使公) 휘 전(銓)의 도움으로 발간한 임술보의 판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