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도섬산줄기 종주 및 구간나누기 5개산줄기 총10구간 120.8km
진도군 개관
진도군은 전라남도 서남쪽 끝에 있는
진도를 주섬으로 하는 면적430.7㎢, 인구 34000명,
제주도 거제도 다음으로 큰 전국 면적기준 3위의 섬이며
행정구역은 진도읍, 군내면, 고군면, 의신면, 임회면, 지산면, 조도면이 있으며
유인도45개 무인도185개 총230개 섬으로 이루어졌다
주요산으로는 삼대고봉인 첨찰산(482), 여귀산(458.7), 죽제산(424)이 있고
암봉으로 유명한 여귀산(458.7)과 동석산(250)
그리고 지력산(325)과 희여산(270) 금골산(198)이 있으며
세월호의 슬픈 이야기가 있는 팽목항도
바로 진도 임회면 연동리에 있다
진도대교를 건너자마자 있는 망금산 진도타워 전망대의 조망과
남쪽 의신면 접도 남망산 전망대에서
남쪽 망망대해를 바라보는 경관은 유명하다
매년 음4월 고군면 회동선착장에서
모도 사이에 바닷길이 열리는 모세의기적축제는 장관을 이룬다
천연기념물제53호 진돗개와 중요무형문화재제8호인 강강술래와
우리나라 대표민요인 진도아리랑의 발상지로도 유명한 곳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가기가 제일 어려운 곳이라
귀양객들이 삼수갑산보다 더 많이 내려와 살던 곳이기도 하여
찬란한 가사문학을 꽃피웠던 곳이다
우리나라의 남종화의 화맥을 잇고 있는 허백련 이후
소치 허유(련)에 의해 창설된 남종화의 산실 운림산방이
바로 첨찰산 아래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그의 손자 남농 허건이 전통을 이었고
미산 허형과 함께 운림산방의 삼대화가로 불리워지고 있다
....왜 남종화는 허씨들만이 세습처럼 이어갈까?.....
강한 붓터치와 거칠은 색조의 투박한 수묵화로 인간 내면의 모습을 그려내기란
허씨집안의 DNA가 없으면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를 일이다
섬산줄기에 지맥(枝脈)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가?
지맥이라면 가지지 가지칠지枝"라는 한문을 사용하는데
그 뜻은 원줄기에서 다른 가지가 자라나서 원줄기는 그대로 있고
별도의 가지를 이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어느 다른 산줄기에서
즉 母산줄기에서 갈라져서 별도의 산줄기를 이룬다는 말로 해석이 되는데
그러면 섬산줄기는 과연 어디서 갈라지는(분기하는) 것인가 하는 것이다
즉 갈라지는 모산줄기가 있어야 지맥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섬산줄기는 그 갈라지는 모산줄기가 없는 단독산줄기라는 것이다
즉 바다로 둘러쌓인 폐쇄곡선인 그 섬안에서만 흐르는 산줄기로
어느 곳에서 시작하든 바닷가 해발0m부터 시작하여
어느 곳으로 가든 다른 바닷가 해발0m에서 끝난다는 것이다
고로 육지에서 처럼 "지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래서 고민끝에 만들어낸 명칭이
지극히 평범한 "산줄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육지의 지맥급 산줄기 즉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는 "큰산줄기"
육지의 단맥급 산줄기 즉 10km이상 30km미만인 산줄기는 그냥 "산줄기"
육지의 여맥급 산줄기인 10km미만의 산줄기는 "작은산줄기"라고 하자고
정의를 하였습니다
※. 섬산줄기 중에서 100km이상되는 기맥급 산줄기는 없습니다
예를 들면 강화지맥은 "강화섬큰산줄기" 남해지맥은 "남해섬큰산줄기"
그렇게 부르자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섬산줄기에 지맥이란 말이 처음으로 사용하던 것을
후에 제가 이의를 제기한 것처럼 되었지만
저는 오래전부터 당연하게 써오던 용어였는데
불과 얼마전 섬산줄기에 대해서 어느 분이 종이책에서 소개를 하면서
육지하고 똑같은 잣대로 지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에 기인합니다
물론 앞으로 더 합당한 이름이 정부에서 발표가 된다면
거기에 따를 것입니다
섬산줄기 종주 방법
모든 섬산줄기 답사는 연륙교나 연도교가 있으면 다리 근방에서 연륙교나 연도교가 없는 경우는 나루터 근방에서 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상당히 긴산줄기가 다른 곳에서 온다던지 큰산줄기와 산줄기 작은산줄기의 경계인 30km, 10km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 다른 곳으로 산줄기를 끌고 나가면 그 경계점을 넘길 수 있을 경우 그리고 특별히 인지도가 높은 유명한 관광지나 산 등이 있을 경우는 그리로 산줄기를 끌고 가는 것은 예외로 한다
또한 섬이라는 만고불변의 속성인 바닷물로 닫친힌 폐쇄곡선 내에서의 산줄기 흐름이므로 큰산줄기가 있는 섬일 경우 어느 곳에서 시작하던지 해발0m에서 시작하여 해발0m에서 끝나므로 육지에서처럼 분기점이란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어느 곳을 시작점으로 잡아도 관계는 없지만 나는 보통 연륙교나 연도교를 시작점으로 삼습니다 그런 연유로 인하여 육지에서 처럼 어느 지점에서 분기가 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기岐지枝 등 맥(脈)이란 글자를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큰섬일 경우(제주도 거제도 남해도 강화도 진도 등) 즉 큰산줄기가 존재할 경우 산줄기나 작은산줄기는 육지에서처럼 분기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분기점을 시작점으로 삼고 답사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2개이상의 산줄기 답사를 한번에 하고 싶으면 그럴 경우는 예외로 하는데 그럴 경우는 바닷가에서 시작하여 바닷가에서 끝게 될 경우 뿐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섬은 산줄기나 작은 산줄기만 있습니다
섬산줄기의 격
큰산줄기 : 30km이상인 산줄기 - 육지의 지맥급 산줄기에 해당함
산줄기 : 10km이상 30km미만인 산줄기 - 육지의 단맥급 산줄기에 해당함
작은산줄기 : 10km미만인 산줄기 : 육지의 여맥급 산줄기에 해당함
진도섬산줄기 종주 방법
대부분의 종주자들은 진도섬큰산줄기를 종주할 때 진도대교를 건너 망금산부터 시작한다
물론 나도 섬산줄기 종주 방법으로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고 길이가 비슷비슷하면
연륙교나 연도교 아니면 육지나 섬을 연결하는 항구 선착장부터 시작해
같은 여건이 되는 곳에서 끝내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처음과 끝이 특별한 상징성이 있거나 길이가 거의 몇km이상 많이 차이가 날 경우는
상징성이 있는 곳이거나 길이가 가장 긴 산줄기의 마루금을 따르는 것이
그 산줄기의 주산줄기로 한다고 정의를 했다
그건 섬이라는 폐쇄곡선 안에서만 존재하는 산줄기의 속성상
어느 곳에서 시작하든 해발0m부터 시작하여
어느 곳에서 끝나든 육지하고는 연결이 안되는 해발0m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제일 긴산줄기로 가야 그섬을 가장 잘 나타낼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에는 변함이 없다
연륙교 연도교에서 시작하여 그런 곳에서 끝나는 산줄기라는 것은 어느 정도 거리가 비슷하여
그 섬에 대한 산줄기의 길이나 지형 지세 생활권과 문화적인 면에서 별 차이가 없을 경우
산줄기의 접근 및 하산시 교통 등 답사자의 편리성을 생각해서 그렇게 하겠다는 것이지
반드시 그러자는 뜻이 아님을 밝힌다
혹자는 육지의 산줄기의 연장선상에서 연륙교로 가야하고
최북단 최남단 최동단 최서단 등 등에서 끝나야 전국토의 모양이 그려진대나 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섬이란 육지하고는 연결이 안되는 것이 지리적으로 엄연한 사실인데
연륙교로 연결이 된다는 이야기는 무엇인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물론 같은 지질 즉 땅속의 지질학적인 선이 같은 곳으로 연결이 되어
산줄기가 섬으로 이어진다는 해괴망측한 이야기도 들리는 것 같아
국토를 왜곡하는 현상이 극에 도달했다는 생각이 든다
이는 일제가 만든 산줄기나 진배없는 생각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물을 마음대로 건너다니는 산맥.............
섬은 육지와는 산줄기가 연결이 안되는 섬은 섬일 뿐이다
그것은 영원한 진리일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과연 필자 혼자일까?
이 진도섬큰산줄기도 연륙교부터 시작을 하면
신기선착장부터 망금산까지 약9km가 진도섬 주산줄기에서 누락되게 된다
이런 정도의 길이가 다르다면
섬의크기나 지형 등 그 섬을 나타내는 주된 산줄기의 왜곡현상이 생길수가 있기 때문에
나는 신기선착장부터 기존의 산줄기 흐름을 정하는 대원칙에 따라 가장 긴곳으로 가기로 하였다
끝자락도 대부분의 종주자들이 서남쪽 끝 한복산으로 가지만
그리하면 그 길이가 10km이상 줄어들게 되고
그 섬을 나타내는 주된 지형과 지세 등에서 왜곡현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암릉으로 유명한 동석산을 지나 죽도 팽목방조제로 갔다
그래서 지금 진도지맥이라고 이름을 지어 답사를 하고 있는 산줄기는
원래 진도를 잘 나타낼수 있는 제일 긴 산줄기보다
무려 19km나 짧은 산줄기라 그리다만 산줄기가 되고 말았다
다른 산님들이 답사한 산줄기는
어느 선배님께서 진도지맥이라고 명명을 하고난 후
답사를 하였기 때문에 그리 그려진 것 뿐이며
내가 기존 옛날에 그려놓은 산줄기는
진도의 지세나 지형은 안정적인 높이가 낮은 항아리 또는 전골냄비 모양의 산줄기이지만
지금 대부분의 종주자들이 답사하고 있는 산줄기는 구부러진 채찍 모양으로
진도섬 전체의 윤곽을 표현하기에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순전히 내 개인적인 분석이므로 어느 산줄기를 선택하느냐는
순전히 선택권을 가진 개개인의 몫일 것이라
그에 대한 선택을 내가 권유하는 것이 아니므로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가지고 충분한 설명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그에 대한 어떠한 논란도 정중히 사절하는 바이다
바로 그 진도섬큰산줄기를 일차로 답사를 하고
그 후에 주산줄기보다 짧은 진도섬산줄기 3개를 마저 답사한다면
석교천 군내천 의신천의 물줄기까지 가름하게 되는 모든 산줄기 답사가 끝나고
진도섬의 지형과 지세 등을 어느 정도 상세히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진도섬산줄기 개관
구간별 | 주요산 | 시점 | 종점 | 길이(km) |
계 5개산줄기 10개구간 | 47산 | 전부도로 | 전부도로 | 120.8 |
진도섬큰산줄기제1구간종주 | 괴바위봉 수려봉 망금산 금골산 | 신기선착장 | 연산삼거리 | 14.1 |
진도섬큰산줄기제2구간종주 | 설매봉 철천산 용장산 상봉 출일봉 | 연산삼거리 | 오목재 | 7.7 |
진도섬큰산줄기제3구간종주 | 수리봉 남산 영매산 충재봉 | 오목재 | 붉은재 | 13.2 |
진도섬큰산줄기제4구간종주 | 대덕산 대학봉 용수봉 봉호산 옹골산 작은여귀산 여귀산 | 붉은재 | 귀성삼거리 | 10.8 |
진도섬큰산줄기제5구간종주 | 연대산 월출산 희여산 꼬깔봉 | 귀성삼거리 | 대판(관마)고개 | 12.9 |
진도섬큰산줄기제6구간종주 | 부흥산 동석산 석적막산 급치산 응봉 | 대판(관마)고개 | 죽도끝선착장 | 14.8 |
진도섬첨찰산줄기종주 | 첨찰산 기상대봉 덕신산 동기미산 송군앞산 당재봉 | 오목재위390봉 | 송군리 선착장 | 12.6 |
진도섬철마산줄기종주 | 철마산 지방뫼 철마산 북산 춘산봉 연대산 | 수리봉어깨 삼경점 | 쉬미선착장 | 13.8 |
진도섬지력산줄기종주 | 지력산 범호산 망뫼산 | 부흥산북측130봉 | 독수리부리 | 14.2 |
진도섬앞산작은산줄기종주 | 희여산 붉은오리봉 앞산 한복산 | 희여산어깨 | 백미도 건너편 | 6.7 |
진도섬큰산줄기종주(완) 및 구간나누기-총6구간 73.5km
진도섬큰산줄기제1구간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자하 신경수
언제 : 2018. 1. 20(토) 맑음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하의, 화원, 진도
영진5만지도 : 594, 595쪽
[제1구간] 신기선착장-수려봉-망금산-금골산-연산삼거리 구간 : 14.1km
진도군 군내면 나리 신기선착장(0)-괴바위(30, 0.2)-△50.8봉(0.6/0.8)-803번지방도로 무조리고개(30, 0.4/1.2)-레이다기지 정문안부(50, 0.3/1.5)-수려봉(범바위, 1/2.5)-건배산 갈림지점(90, 0.7/3.2)-도로(30, 0.2/3.4)-죽전1호저수지 뒤(10, 0.8/4.2)- 4차선도로 고개(10, 0.5/4.7)-2차선도로 고개(10, 0.4/5.1)-△68.2봉(0.7/5.8)-4차선도로고개(30, 0.3/6.1)-구18번국도 잿등고개(10, 1.8/7.9)-신18번국도 녹진고개(30, 0.7/8.6)-망금산어깨 삼거리(50, 0.1/8.7)-신구18번국도 덕개굴치삼거리(30, 1.8/10.5)-도암산 갈림지점(50, 0.7/11.2)-거대암봉(150, 1.2/12.4)-금골산(198, 0.5/12.9)-금골고개(30, 0.4/13.3)-군내면 덕병리 10번군도 연산삼거리(10, 0.8/14.1)로 내려선다
진도섬큰산줄기제1구간종주지도
진도섬큰산줄기제2구간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紫霞 申京秀
언제 : 2018. 1. 21(일) 흐림 맑음 교차하나 황사 미세먼지로 조망 광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화원, 진도
영진5만지도 : 595쪽
[제2구간] 연산삼거리-설매봉-챙재-용장산-오목재 구간 : 7.7km
[제2구간]진도군 군내면 덕병리 10번군도 연산삼거리(10, 14.1)-신18번국도 연산IC 연산교(0.2/14.3)-高頭산(△252.2) 갈림지점(210, 0.8/1/15.1)-237봉-雪梅봉(250, 0.4/1.4/15.5)-둔전재(170, 0.8/2.2/16.3)-챙재사거리(50, 1.5/3.7/17.8)-철천산(△161.2, 0.8/4.5/18.6)-장개재(90, 0.2/4.7/18.8)-용장산(262, 1/5.7/19.8)-용장산성이별봉(230, 0.3/6/20.1)-상봉(270, 0.3/6.3/20.4)-임사재(150, 0.5/6.8/20.9)-출일봉(△227.7, 0.4/7.2/21.3)-진도군 고군면 고성리 18번국도 오목재(50, 0.5/7.7/21.8)로 내려선다
진도섬큰산줄기2구간종주 지도
진도섬큰산줄기제3구간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연구 및 답사가 紫霞 申京秀
언제 : 2018. 6. 26(화)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도
영진5만지도 : 595, 611쪽
[제3구간] 오목재-수리봉-왕무덤재-남산-영매산-붉은재도로 : 13.2km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 18번국도 오목재(50, 21.8)-도로 이별점(70, 0.7/22.5)-임도(370, 1.7/2.4/24.2)-390봉(0.1/2.5/24.3)-임도삼거리안부(350, 0.9/3.4/25.2)-임도이별점 수리봉어깨(350, 0.1/3.5/25.3)-수리봉(388.5, 0.5/4/25.8)-철마산줄기 분기점, 진도읍 군내면 의신면의 삼경점(330, 0.3/4.3/26.1)-∩턴하는 임도(210, 1/5.3/27.1)-절재 십자안부(130, 0.3/5.6/27.4)-U턴하는 임도 안부(170, 0.5/6.1/27.9)-남산저수지 갈림 안부(130, 1.5/7.6/29.4)-9번군도 왕무덤재(왕고개, 110, 0.8/8.4/30.2)-남산어깨 (230, 0.6/9/30.8)-282.2봉(1/10/31.8)-천방재(침계고개, 110, 1.6/11.6/33.4)-영매산(170.2, 0.3/11.9/33.7)-무지개재(수투재 70, 0.3/12.2/34)-충재봉(110)어깨(90, 0.5/12.7/34.5)-붉은재도로(50, 0.5/13.2/35)로 내려선다
진도섬큰산줄기제3구간 지도
진도섬큰산줄기제4구간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紫霞 申京秀
언제 : 언제 : 2019. 4. 17(수) 비 맑음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도, 조도
영진5만지도 : 611, 610쪽
[제4구간] 붉은재도로-대덕산-대학봉-봉호산-여귀산-귀성삼거리 : 10.8km
붉은재 도로(50, 1/35)-대덕산(219.7, 1.8/36.8)-8번군도 돌박재 삼거리(70, 0.6/2.4/37.4)-대학봉(190.4, 0.6/3/38)-용수봉(170, 0.7/3.7/38.7)-매듭재삼거리(50, 0.3/4/39)-봉호산(193, 0.8/4,8/39.8)-무지개재 사거리(110, 0.3/5.1/40.1)-옹골산(211.5, 1.1/6.2/41.2)-90안부(0.4/6.6/41.6)-317.2봉(암봉, 0.5/7.1/42.1)-죽림ㅓ자갈림길(310, 0.6/7.7/42.7)-작은여귀산(410, 0.6/8.3/43.3)-밀매실재 ㅓ자안부(370, 0.1/8.4/43.4)-18번국도 강품미재 ㅓ자길 삼거리 (430, 0.3/8.7/43.7)-여귀산(458.7, 0.1/8.8/43.8)-국립남도국악원 갈림길 ㅓ자안부(330, 0.5/9.3/44.3)-390봉(0.5/9.8/44.8)-구암사갈림길(330, 0.2/10/45)-18번국도 귀성삼거리(90, 0.8/10.8/45.8)로 내려선다
진도섬큰산줄기제4구간종주 지도
진도섬큰산줄기제5구간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자하紫霞 신경수申京秀
언제 : 2019. 11. 25(월) 흐림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조도
영진5만지도 : 610쪽
[제5구간] 귀성삼거리-연대산-희여산-민재고개-대판고개 구간 : 12.9km
18번국도 임회면 상만리 귀성삼거리(국립남도국악원고개)(70, 45.8)-160.1봉(0.7/46.5)-정금고개 도로(70, 1.5/2.2/48)-연대산(190, 0.3/2.5/48.3)-짝별고개 도로(50, 0.5/3/48.8)-△150.9봉(0.6/3.6/49.4)-신동고개 삼거리 도로(30, 1.2/4.8/50.6)-월출산(110, 1.4/6.2/52)-희여산어깨(250, 0.6/6.8/52.6)-희여산(269.3, 0.2/7/52.8)-△248.2(0.4/7.4/53.2)-민재고개 도로(90, 0.7/8.1/53.9)-150봉어깨(150, 0.6/8.7/54.5)-샌새나골재(90, 0.8/9.5/55.3)-173.2봉어깨(170, 0.6/10.1/55.9)-꼬깔봉(110, 0.4/10.5/56.3)-임도삼거리(90, 0.5/11/56.8)-독짐재 사거리 도로(70, 0.2/11.2/57)-4번군도 대판(관마)고개(50, 1.7/12.9/58.7)로 내려선다
진도섬큰산줄기제5구간종주 지도
진도섬큰산줄기제6구간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紫霞 申京秀
언재 : 2019. 4. 16(화) 맑음
부흥산 어름에서 바라본 동석산 암릉과 봉암저수지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조도
영진5만지도 : 610, 609쪽
[제6구간] 대판고개-부흥산-동석산-석적막산-급치산-응봉-죽도끝 구간 : 14.8km
4번군도 대판고개(50, 58.7)-암봉(170, 0.9/59.6)-지산고개 도로(90, 0.4/1.3/60)-부흥산(171, 0.5/1.8/60.5)-십자안부(90, 0.6/2.4/61.1)-지력산줄기분기점(130, 0.2/2.6/61.3)-와우고개 도로사거리(50, 0.5/3.1/61.8)-암봉(130, 2.1/5.2/63.9)-가치고개 도로(10, 0.5/5.7/64.4)-헬기장(190, 1.2/6.9/65.6)-동석산갈림점(230, 0.5/7.4/66.1)-석적막산(235.1, 0.9/8.3/67)-803번지방도로 성재삼거리(70, 0.5/8.8/67.5)-급치산 전망대(190, 0.8/9.6/68.3)-급치산(군부대, 223.5, 0.3/9.9/68.6)-십자안부 도로(70, 1/10.9/69.6)-수양리고개 도로(70, 0.7/11.6/70.3)-응봉(138.5, 0.7/12.3/71)-마사고개 도로(30, 0.9/13.2/71.9)-팽목항(진도항) 건너편 죽도끝(0, 1.6/14.8/73.5)
진도섬큰산줄기제6구간종주 지도
진도섬큰산줄기종주(완)
제7구간 : 진도섬첨찰산줄기종주-12.6km
글쓴이 : 우리산줄기연구 및 답사가 紫霞 申京秀
언제 : 2018. 6. 24(일) 맑음
진도군 고군면 회동나루터에서 모도로 이어지는 신비의 바닷길(모세의 기적)을 보려는 인파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도
영진5만지도 : 595, 611쪽
진도섬큰산줄기 15번군도 오목재에서 올라간 임도위 등고선상390봉에서 남동방향으로 분기하여 의신면과 고군면의 경계를 따라 진도의 최고봉인 첨찰산(△482, 0.7)-기상대입구 삼거리(430, 0.3/1)-기상대(470, 0.2/1.2)-두무골재(두목재, 1.2/2.4)-덕신산(398.9, 1.1/3.5)-동기미산(△57.3)갈림봉(370, 0.3/3.8)-장학봉 갈림점(390, 0.4/4.2)-353.4봉(0.6/4.8)-18번국도 양두골재(▣94.6, 1.8/6.6)-등고선상130m안부(0.8/7.4)-194.9봉(0.3/7.7)-군포재 도로(30, 1.8/9.5)-송군앞산(141.5, 0.9/10.4)-당재봉(70, 1.6/12)을 지나 의신면 송군리선착장(0, 0.6/12.6)에서 끝나는 약12.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진도섬첨찰산줄기지도
제8구간 : 진도섬철마산줄기종주주-13.8km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자하紫霞 신경수申京秀
언제 : 2020. 5. 1(금) 맑음
북산어름에서 내려다본 진도읍 전경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진도, 조도, 하의
영진5만지도 : 595, 594쪽
진도섬큰산줄기가 신기선착장부터 시작하여 망금산 금골산 설매봉 용장산 첨철산어깨 수리봉(388.5)을 지나 진도읍, 군내면, 의신면의 삼경점(330)에서 북서방향으로 분기하여 진도읍과 군내면의 경계를 따라 임도삼거리(190, 0.6)-구18번국도 정거림재-신18번국도 정거림재(50, 2,2/2.8)에서 포장도로따라 오르며 추모공원(90, 0.7/3.5)입구-지방뫼(150)어깨(보배숲, 124.4, 0.2/3.7)을 지나 지방뫼재 임도 삼거리 십자안부(110, 0.3/4)에 이른다 철마산 능선으로 오르기 싫으면 우측 사면으로 난 임도를 따라도 되지만 이 산줄기의 이름이 있게 한 산봉우리는 반드시 올라가야 할 것 같아 지독한 가시 밀림을 치고 오른다 철마산(303.9, 1/5)-망재 임도 십자안부(250, 0.7/5.7)-북산(299.9, 0.3/6)-유향사 십자안부(90, 1.1/7.1)-송현고개 경운기길 십자안부(70, 0.2/7.3)-92.6봉(0.5/7.8)-10번군도 매향마을입구(10, 0.4/8.2)-11번군도 등성이(30, 0.4/8.6)-춘산봉(224, 1.2/9.8)-월평고개 ㅏ자안부(170, 0.7/10.5)-연대산(257, 0.8/11.3)에서 우측 망치산으로 가는 산줄기가 약1.5KM정도 더 길게 흐르지만 나는 진도섬 제1하천인 석교천을 더 중히 여기어 석교천 환종주코스로 이어가 쉬미선착장으로 가는 산줄기를 본산줄기로 삼고자 한다 맵재(70, 1.3/12.6)-큰재(90, 0.4/13)를 지나 등고선상130봉에서 지력산줄기 끝지점인 독수리부리를 바라보며 내려가야 정확한 환종주코스가 되지만 현실적으로 내려갈수 없으므로 대흥포구 쉬미항 쉬미선착장(0, 0.8/13.8)으로 이어가 끝내고자 하는 약13.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진도섬철마산줄기지도
제9구간 : 진도섬지력산줄기종주-14.2km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자하紫霞 신경수申京秀
답사한날 : 2020. 4. 15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조도, 하의
영진5만지도 : 610, 594쪽
진도섬큰산줄기 부흥산 북측 분기봉(130)-801번지방도로 와우재(70, 0.5)-십자안부 도로(70, 0.6/1/1)-지력산(암봉, △327,6)어깨(290, 0.9/2)-310봉(0.5/2.5)-271.4봉(암봉, 빼족산 갈림봉, 0.8/3.3)-∩턴임도(130, 0.3/3.6)-비석재 임도(70, 0.6/4.2)-177.3봉(0.4/4.6)-803번지방도로 보화터고개(30, 0.6/5.2)-50안부(0.7/5.9)-범호산(145.4, 1.2/7.1)-삼각점(0.2/7.3)-803번지방도로 길은고개 사거리(30, 0.5/7.8)-망뫼산(167.8, 0.9/8.7)-거제고개 도로(50, 0.5/9.2)-181.5봉(1/10.2)-133.2봉(1.6/11.8)-어룡골 뒷산(130, 1.3/13.1)-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대흥포구 독수리부리(0, 1.1/14.2)에서 끝나는 약14.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진도섬]지력산줄기지도
제10구간 : 진도섬앞산(서망, 팽목)작은산줄기종주(완)-6.7km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자하紫霞 신경수申京秀
답사한날 : 2020. 4. 16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조도
영진5만지도 : 610쪽
진도섬큰산줄기가 진도군 군내면 나리 신기선착장에서 시작하여 망금산 금골산 용장산 첨찰산어깨 여귀산을 지나 희여산으로 오르면서 등고선상250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붉은오리봉(130)어깨(130, 0.6)-백동재 석성삼거리(무궁화동산, 세월호기억의숲, 0.2/0.8)-남도석성고개 도로(70, 1/1.8)-△176.3봉(0.5/2.3)-앞산(236.5, 0.7/3)-한복산(231.6, 0.6/3.6)-임도 고개(70, 0.3/3.9)-130봉(0.7/4.6)-18번국도 서망삼거리(30, 0.5/5.1)-173.1봉(0.5/5.6)을 지나 백미도를 바라보는 바닷가(0, 1.1/6.7)에서 끝나는 약6.7KM의 진도섬작은산줄기를 말한다
진도섬앞산(서망, 팽목)작은산줄기지도(모든 사진은 클릭하면 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