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의미하는 단어인
wedding 의 어원은 우리말로 “(결혼식에) 왔데이”같습니다
아마도 "참석했다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로 보입니다
하지만 "(결혼식을) 봤데이"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경상도 버전이구요. 전라도 버전도 있습니다
"(결혼식에) 왔지어잉", "(결혼식을) 봤지어잉"이 되겠지요
g발음을 복귀시키면
"(결혼식에) 왔다는 거", "(결혼식을) 봤다는 거"도 될 것입니다
w는 곧잘 v(ㅂ) 발음으로 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이런 변천과정은 ㅂ ⇌ ㅍ ⇌ ㅎ(ㅇ)
이렇게 변해갔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순경음(脣輕音)이라고도 합니다
표음문자(表音文字) 계통에서는 흔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버부리 ⇌ 벙어리
일부러 ⇌ (일)부러
더워 ⇌ 더버
얄미워 ⇌ 얄미버
더러워 ⇌ 더러버
무서워 ⇌ 무서버
미워 ⇌ 미버
서러워 ⇌ 서러버
우스워 ⇌ 우스버
(무엇을) ⇌ 해 해삐
새우 ⇌ 새비
바보 ⇌ 어주리
몹시 ⇌ 몽창시리
비바리 ⇌ (제주도 방언) 아가씨
빼앗다 ⇌ 앗아가다
(바람이) 분다 ⇌ 인다
비겁하다 ⇌ 얍삽하다
volkswagon ⇌ 폭스바겐(독일어)
BMW ⇌ 비엠베(독일어)
* ㅂ ⇌ ㅍ ⇌ ㅎ(ㅇ)으로 변환되는 경우
예) 판타 ⇌ 환타,
판타지 ⇌ 환타지,
프라이 ⇌ 후라이
빠르다 ⇌ 速い ⇌ はやい(하야이) (일본어)
뻥튀기 ⇌ 吹かす⇌ ふかす(후카스) (일본어)
폭 ⇌ 幅 ⇌ はば (하바) (일본어)
빡세다 ⇌ 힘들다
뻘짓 ⇌ 헛짓
삐대다 ⇌ 빈둥대다
불통 ⇌ 풍선
그런데 유명인터넷에 wedding의 어원이
"[어원] 고대영어 weddian (서약하다)"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아마도 결혼(結婚)이라는 것이 “서약(誓約)”이기도 하지만
"부부의 가족들에게 결혼식에 참석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의미"로 보입니다
그러니 "결혼식에 왔데이"와 "결혼식을 봤데이"는 결국 같은 말이라는 것이지요
결혼식에 와도 못 봤을 수도 있어서 그러지 않았나 싶습니다
세계의 언어들을 보면서 과연 wedding이라는 말은
어떻게 표현했나 하고 들여다 봤습니다. 너무도 자신이 없던 단어였거든요
“(시집, 장가를) 들어”, “(시집, 장가를) 갔습니다”, “(결혼식 준비를 해) 놔삤다”,
“(결혼하는 것을) 보니까네”, “(결혼식을) 잡았다삐”, “(결혼식을) 볼라해삐”,
“(결혼을) 하다”, “(결혼했다) 말하지”, “(결혼을) 하라 해 줄까”,
“(결혼을) 해주다”, “(결혼식에) 불러서 가삐”, “(결혼식을) 치러삐”,
“(결혼식을) 볼라해삐”등으로 나옵니다
물론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영어는 우리말의 동사가 명사화한 언어라는 것이
제 결론이기에 이렇게 생각해 본 것입니다.
우리들이 영어문장을 외울 때 동사를 기준으로 외우듯이
아마도 우리말이 길어서 동사만 발췌해서 쓴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2403. wedding (웨딩, 결혼):
1. (결혼식에) 왔데이, (결혼식에) 오다가 어원
2. (결혼식을) 봤데이, (결혼식을) 보다
(* ㅇ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라틴어: nuptialem ((결혼식 준비를 해) 놔삤다)
* 남아프리카: troue ((시집을, 장가를) 들어)
* 카탈루냐: casament ((시집을, 장가를) 갔습니다)
* 중국: 婚禮
* 크로아티아: vjencanje ((결혼하는 것을) 보니까네)
(* ㅇ ⇌ ㅈ 호환 관계 적용 시)
* 체코: svatba ((결혼식을) 잡았다삐 ⇒ 잡았어)
* 덴마크, 노르웨이: bryllup ((결혼식을) 볼라해삐 ⇒ 볼려(고) 해)
* 네덜란드: huwelijk ((결혼을) 하라해줄까 ⇒ 허락해줄까 )
* 핀란드: haat ((결혼을) 하다)
* 프랑스: mariage ((결혼했다) 말하지)
* 독일: hochzeit ((결혼을) 해주다)
* 헝가리: eskuvo ((결혼을) 했을까봐)
* 아이슬란드: bruðkaup ((결혼식에) 불러서 가삐)
* 인도네시아: pernikahan ((결혼식을) 봐놓을까 하는)
* 아일랜드: bainise ((결혼식을) 봐 놨어)
* 이탈리아: nozze ((결혼식을 준비해) 놓지)
* 한국: 혼례
* 일본: 結婚式
* 말레이시아: perkahwinan ((결혼식을) 볼까하는)
* 폴란드: slub ((결혼식을) 치러삐) (* ㅅ ⇌ ㅊ 호환 관계 적용 시)
* 포르투갈: casamento ((시집을, 장가를) 갔습니다)
* 스페인: boda ((결혼식을) 보다)
* 스웨덴: brollop ((결혼식을) 볼라해삐 ⇒ 볼려(고) 해)
* 터키: dugun ?
* 베트남: le cuoi (내 꺼)

wedding = vedding = 결혼 = (결혼식에) 왔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