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의 마지막 수업임에도 많은 선생님들이 한자리에 모여 주셨습니다.
한 해 동안 물상명리 동아리를 위해 열정적인 강의를 준비해 주신 교수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늘 풍성한 다과로 수업 분위기를 돋워 주시는 회장님께도 깊은 고마움을 전합니다.
오늘은 특별히 위지선 선생님께서 정성스럽게 만들어 주신 맛있는 샌드위치까지 더해져, 따뜻하고 풍성한 연말 수업이 되었습니다.
배움과 나눔으로 가득했던 한 해를 돌아보며, 감사와 설렘 속에서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1교시 : 이지연교수님
이지연 교수님께서 진행한 이번 강의는 계수(癸水)를 중심으로 그 상징성과 천간·지지에서의 작용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계수를 샘물과 시냇물로 비유하며 자연의 섬세한 흐름과 인간의 삶에 연결 짓는 통찰을 제공하셨습니다.
세부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계수의 본질: 흐름의 상징
교수님은 계수를 "흘러야만 그 가치가 발휘되는 시냇물"로 비유하셨습니다.
시냇물이 제대로 역할을 하려면 다음의 조건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셨습니다:
제방(癸土): 계수의 흐름을 유지하는 경계선으로, 사회적 명예와 질서를 의미합니다.
햇빛(병화): 계수가 과습하지 않도록 하는 요소로, 재물을 상징합니다.
나무(갑목): 계수 주변에 있어야 할 조화의 대상이며, 이는 본인이 추구하는 가치관을 나타냅니다.
근원지(경금, 신금): 시냇물이 마르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금(金)은 활동성과 방향성을 뜻합니다.
계수는 이처럼 다양한 요소와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농업용수나 식수처럼 쓸모 있는 물로 역할을 다하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2. 계수와 천간·지지의 상호작용
* 계갑: 작은 시냇물이 큰 나무를 키우는 형국으로, 물과 나무의 조화가 핵심입니다.
다만 물의 양이 너무 적거나 많으면 갑목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거나 흡수당할 수 있습니다.
* 계병: 시냇물 위에 뜨겁게 내리쬐는 태양과 같은 조합입니다. 병화는 계수를 싫어하며, 계수가 병화를 재성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병신합, 무계합 같은 매개가 있으면 재성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계정: 시냇물 위로 비추는 달빛과 같아 조화롭고, 정화를 재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무: 튼튼한 제방이 있는 상태로, 천재적인 머리와 수려한 외모를 상징합니다.
* 계기(癸己): 적당한 제방이 시냇물의 흐름을 안정시켜 균형 잡힌 삶과 사회적 명예를 상징합니다.
* 계경(癸庚): 숙살지권을 형성하며 강한 결단력과 추진력을 발휘하지만, 지속적 지원이 없으면 한계에 봉착할 수 있습니다.
* 계신(癸辛): 숙살지권이 강화되어 섬세함과 치밀함이 더해지며, 정밀한 작업이나 분석적 능력에서 두각을 나타냅니다.
* 계임(癸壬): 시냇물이 강물로 확장되는 형국으로, 협력과 연대를 통해 영역을 넓히고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뜻합니다.
* 계계(癸癸): 물이 맑게 흘러가는 형국으로 준 처재적인 머리를 지니게 됩니다. 계수의 숙자가 많을 수록 더욱 머리가 뛰어나게 됩니다.
지지와의 관계:
합의 변화: 천간에서 합은 서로의 속성을 약화시키거나 길흉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신합은 물을 생성하지만 그 조합이 오히려 불안정한 관계를 만들기도 합니다.
지지의 방합과 삼합: 방합(예: 인묘진, 해자축)은 같은 오행이 결집된 조직을 의미하며,
삼합(예: 해묘미)은 각기 다른 요소가 모여 새로운 힘을 만들어냅니다. 이런 합의 성질에 따라 계수가 속한 환경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
3. 계수의 활용과 삶의 비유
교수님은 계수를 단순히 물로만 이해하지 않고, 이를 인생에 비유하여 설명하셨습니다. 계수는 흘러야 의미가 있습니다. 물의 흐름을 막거나 과하게 해도 안 되며, 각 조건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음을 배웠습니다.
특히, 계수를 흐르게 만드는 조건들이 명리학에서 개인의 환경, 노력, 주변 상황 등을 상징한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 제방(癸土): 안정된 사회적 기반과 명예
* 햇빛(병화): 재물을 통해 삶의 윤택함을 더함
* 근원지(경금, 신금): 지속적인 방향성과 추진력
이번 강의의 핵심은 조화와 균형입니다. 계수가 너무 많거나 부족하면 흐름이 왜곡됩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지나친 욕심이나 부족한 노력은 결과적으로 좋은 방향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다시금 깨닫게 해 준 강의였습니다.
이외 육합, 충, 형등도 배웠습니다.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기에 다음 강의가 더 기대가 되는 것 같습니다.
2교시 : 김계림교수님
이번 강의는 사주의 구조를 심도 있게 파악하고, 용신의 설정과 대운의 작용을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사주 원국의 균형, 대운과 세운의 흐름, 그리고 그에 따른 인생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매우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주요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로 십간 월별 용신법 책을 가지고 설명해 주시기에 이 책을 참고하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P35)
그리고 아래 명조를 가지고 정리한 것입니다.
병 갑 계 병
인 자 사 오
1. 용신 설정과 조화의 중요성
용신의 역할
용신은 사주의 균형을 잡는 핵심 요소입니다. 사월에 출생한 갑목일주가 화왕 계절에 태어나 병화의 뿌리인 사화가 있고 인과 오화도 있어 병화가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 화를 조절하는 계수(癸水)가 용신이 됩니다. 이는 지나치게 왕성한 화를 억제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갑목이 병화에 의해 강하게 생조되어 신약해질 경우, 계수라는 용신이 자수(子水)에 뿌리를 내려 화의 기운을 적절히 통제합니다. 특히, 대운에서 신자진(水)국을 만나게 되면, 화의 기운이 약화되며 좋은 운으로 전환됩니다.
2. 대운과 세운의 작용
대운과 용신의 상관관계
대운은 사주 원국의 부족한 요소를 보완하거나, 과도한 요소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병신대운에 갑진년이 왔다면 세운에 진토와 대운의 신금 그리고 원국에 자수가 만나 신자진(水)국이 형성되니
용신인 계수가 강해지고, 이를 통해 원국의 화(병화)를 조절하여 운이 좋아지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세운은 대운을 거쳐 원국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입니다. (★★★★★)
* 술대운에서는 오술화국(火)이 강하게 형성되어 화의 기운이 너무 강해지면 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확장보다는 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건강과 환경의 영향을 주의해야 합니다.
바닷가에 머물면 좋지만, 화를 강화하는 지역(예: 제주도)이나 활동(살생, 낚시 등)은 피해야 합니다.
* 특정 대운에서는 바다와 같은 수(水)를 상징하는 장소에 머물면 운이 좋아질 수 있지만, 지나치게 화(火)를 강화하는 환경은 피해야 합니다.
예: 경기도나 서울과 같은 수(水)를 상징하는 지역은 좋지만, 제주도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무술대운에서는 무계합으로 화가 더욱 강해질 경우, 화의 기운을 통제하지 못하면 큰 손실이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관성과 재성의 역할
* 관성(관星)의 유무
사주에 관성이 없으면 재물을 지키는 힘이 약해지며, 특히 비겁이 많은 경우 돈을 모으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관성이 대운이나 세운으로 들어오면 재물을 지키고 안정적인 삶을 이룰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 임신대운에서 신금(관성)이 들어오며 일지 자수와 신진 수(水)국 즉, 용신과 되어 재물을 모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재성과 식신의 관계
식신과 재성이 연결되지 않으면 돈이 쉽게 모이지 않습니다.
식신이 재성을 생조하지 못하거나, 오중기토(己土)가 지나치게 건조해 바람이 불면 날아가 재물이 쌓이지 않습니다.
- 습토 : 辰, 丑 ( 생잘함, 그러나 丑는 봄, 여름, 가을에만 생을 함. 겨울은 추어서 힘듬)
- 조토 : 戌, 未 ( 생못함)
4. 특정 격국과 특징
격은 하나로 정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격이 많으면 직업이 다변화되며, 한 가지 분야에 집중하기 어렵습니다.
예: 이 사주에 인성과 시지에 식상은 있지만 관성이 없어 사립학교의 선생님 같은 직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관이 튼튼하게 있다면 공립도 가능합니다.
기신(忌神)이 강하면 초반 운은 힘들지만, 용신이 대운에서 활성화되면 하반기로 갈수록 좋아집니다.
특히 천간에서 수(水)가 투출하고 지지에서 이를 뒷받침하면 큰 성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인간관계와 내면세계
일지는 개인의 내면세계를 상징하며, 배우자의 성향도 드러냅니다.
예를 들어, 용신이면서 욕지도화(欲支桃花)가 있는 경우 배우자와의 관계가 매우 좋고 사랑스러운 관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김계림 교수님의 강의는 사주를 통해 삶의 흐름과 환경을 조화롭게 설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용신을 중심으로 원국과 대운, 세운의 조화를 살피고, 삶의 선택에서 무엇을 주의하고 준비해야 할지 깊이 있게 배우는 기회였습니다. 이러한 통찰을 통해 자신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3교시 주역타로 : 26번 산천대축 ~ 35. 화지진
🌟 26번 산천대축(山天大畜)
축적과 준비를 강조.
성급하게 행동하기보다는 인내심을 가지고 자원을 모으고 준비하는 과정이 중요함.
지혜롭게 축적한 노력과 자원은 결국 큰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
🌟 27번 산뢰이(山雷頤)
양육과 섭생을 상징.
자신과 타인의 정신적, 육체적 양식을 채우는 것이 중요함.
과도한 욕망을 버리고 균형 잡힌 섭생과 절제가 요구됨.
🌟 28번 택풍대과(澤風大過)
위기의 극복을 상징.
큰 짐을 짊어지거나 과도한 부담이 주어진 상태를 나타냄.
기존의 방식으로는 해결이 어려우니, 유연한 태도와 혁신적인 접근이 필요함.
🌟 29번 감위수(坎為水)
험난한 시험과 극복을 상징.
끊임없는 어려움 속에서도 두려움에 휩쓸리지 않고, 의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함.
위기는 곧 새로운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음.
🌟 30번 이위화(離為火)
명료함과 밝음을 상징.
자신의 본질과 내면의 진실을 깨달아야 함.
불은 타오르며 빛을 밝히지만, 과도하면 스스로를 태워버리니 조절이 필요함.
🌟 31번 택산함(澤山咸)
감응과 이끌림을 상징.
사람과 상황에 자연스럽게 끌리며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함.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서로의 마음을 공감하며 균형을 맞춰야 함.
🌟 32번 뇌풍항(雷風恒)
항상성과 지속성을 상징.
한결같이 꾸준히 나아가며, 변하지 않는 내적 신념이 필요함.
인내와 끈기로 긴 여정을 이어나가면 결국 좋은 결과를 얻게 됨.
🌟 33번 천산돈(天山遯)
물러남과 절제를 상징.
억지로 상황을 밀어붙이기보다는, 적절한 시점에서 물러나며 힘을 비축해야 함.
무리하지 않는 지혜로운 선택이 큰 결과를 가져옴.
🌟 34번 뇌천대장(雷天大壯)
강한 추진력과 성공을 상징.
강력한 에너지가 발휘되는 시기로, 용기와 결단력으로 나아가야 함.
하지만 지나친 자신감은 오히려 실패를 부를 수 있으니, 조심성과 균형이 중요함.
🌟 35번 화지진(火地晉)
진보와 발전을 상징.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며,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맞이하는 시기.
순조로운 발전을 위해 주변의 도움과 협력을 소중히 여겨야 함.
수업을 마친 후 뒷풀이에서는 맛있는 닭볶음탕을 나누며 한 해 동안의 추억과 배움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함께 웃고 이야기 나누는 동안 서로에 대한 감사와 애정이 더욱 깊어지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2024년을 이렇게 따뜻하게 마무리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가 함께해 주셨기에 가능했습니다.
다가오는 2025년에도 변함없는 열정으로 더 많은 배움과 성장의 시간이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새해에도 많은 분들이 자리를 함께해 주시고, 동아리가 더욱 풍성하고 활기찬 배움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새해에도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하며, 다음 수업에서 반가운 얼굴들로 다시 만나길 기대하겠습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