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Preventing won’s rise uphill battle
환율방어, 어려운 싸움이 될 것으로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is moving to rein in the local currency’s strength,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Seoul is likely to cave in to the market reality and the U.S. pressure for a stronger won.
Experts say that local financial authorities’ intervention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to stem the won’s ascent will be limited, considering the trend of a weakening U.S. dollar on the global currency market.
To make matters tougher for the Korean government, U.S. Federal Reserve Chairman Alan Greenspan’s comments have been putting increasing upward pressure on Asian currencies.
Even under the unfavorable circumstances, the local financial authorities say they are firmly determined not to let short term speculative overseas funds “attack” the won.
The government has already warned so called “hot money” currency speculators that it would intervene in the currency market to prevent the won’s rise.
It has also raised the legal ceiling on the maximum amount of foreign currency stabilization bonds to 9 trillion won ($7.6 billion) from 5 trillion won in order to allow it to better cope with the fluctuating foreign exchange market.
A steep rise in the value of the Korean won would negatively affect Korea’s exports, which have been propping up the flagging local economy amid sluggish domestic demand.
The won, which was traded at 1,193 won against the U.S. dollar at the end of last month, strengthened to 1176.70 won per dollar as of Wednesday, after hitting a five month high of 1,176 won Tuesday.
The Korean won is not alone in coming under mounting upward pressure. The euro rose 6.1 percent against the greenback during the first 15 days of this month, while the Japanese yen gained 1.5 percent, and the Thai baht 3.6 percent.
But the Chinese yuan’s value changed little, as it has been tightly pegged to the dollar in a thin range of 8.276 to 8.280 since 1994.
Experts say that Washington’s shift to a “weak dollar” policy, aimed at exporting its way out of an economic slump, has touched off a global currency war.
The Fed’s Greenspan said Tuesday that it would be beneficial for China to alter the yuan’s exchange rate if it was undervalued relative to the dollar. A group of U.S. lawmakers added to the pressure, arguing that China had deliberately undervalued its currency to drive down the price of its exports and urging the Bush administration to take “appropriate action.”
Korea has managed to prevent its currency from gaining significantly against the greenback. But despite its determination to prevent the won’s sudden surge, the government is facing an uphill battle, as hot money is believed to have bet on a further strengthening of the won.
In late 1997, when the local currency was rapidly weakening against the dollar, the government chose to intervene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to curb the won’s slide, only to exhaust its dollar reserves.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in the currency market is offering a good opportunity for currency speculators,” said Chung Young shik, a senior researcher at the privat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He and many other currency experts forecast that the won would ascend to 1,100 won versus the dollar later this year.
한국정부가 원화강세를 막으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시장의 현실과 원화강세를 원하는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리라는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금융당국이 원화강세를 저지하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이 미달러 약세가 세계 외환시장에서의 공통된 추세인 점을 감안하면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상황이 한국정부에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앨런 그린스펀 의장의 발언이 아시아권 통화에 절상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국내 금융당국은 외국의 투기성 단기자금의 원화에 대한 “공격”을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고한 의지를 표명했다.
정부는 소위 “핫머니” 통화 투기꾼에 대해 원화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통화시장에 개입할 것이라고 이미 경고한 바 있다.
정부는 또한 외환시장의 요동에 보다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외평채의 법정발행한도를 5조원에서 9조원(760억불)으로 인상했다.
원화의 가파른 상승세는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흔들리는 경제를 그나마 지지해 온 한국의 수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원화는 전월말 현재로 미달러화에 대해 1,193원에 거래되었었는데 화요일에 5개월 이래 최고인 1,176원을 기록한 뒤 수요일에는 달러당 1,176.70원까지 올랐다.
수위를 점점 더해가는 절상압력에 시달리는 것은 원화만이 아니다. 이달 들어 15일 동안 유로화는 달러대비 6.1퍼센트 상승했고 일본엔화는 1.5퍼센트, 그리고 태국의 바트화는 3.6퍼센트 상승했다.
그러나 중국의 위안화는 1994년부터 달러화에 8.276에서 8.280이라는 근소한 범위 내에서 엄격하게 페그되어 있어 거의 변동이 없었다.
전문가들은 수출로 경기부진을 탈피고자 하는 미국의 “약한 달러” 정책으로의 전환이 세계적인 통화전쟁을 촉발했다고 말하고 있다.
지난 화요일 미연준의 그린스펀 의장은 중국 위안화가 달러에 비해 저평가되었으면 환율제도를 변경하는 것이 중국에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의 미의회 인사들도 중국이 수출가격을 내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위안화를 저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부시행정부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면서 압력을 더했다.
한국은 미달러화에 대해 원화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해 왔다. 그러나 원화급등을 막겠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힘든 싸움을 벌이고 있는 것은 핫머니가 원화의 추가상승을 점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원화가 달러대비 급락했던 1997년말에 원화하락을 막기 위해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달러 보유고만 탕진했던 일이 있다.
“정부가 통화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통화투기꾼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된다”고 삼성경제연구소의 정영식 선임연구원이 말했다.
그 외에도 많은 통화 전문가들이 금년말까지 원화가 달러에 대해 1,100원까지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