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조 선수 이후 한국마라톤의 대들보 역할을 하고 있는 이봉주 선수가 지난 17일 새벽(한국시간) 제105회 미국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2시간 9분 43초의 기록으로 승리하여 영예의 월계관을 머리에 쓰는 영광에 앉았다. 한국인으로서 보스턴 마라톤 제패의 역사는 서윤복 씨(1947년), 함기용 씨(1950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이다. 이날 보스턴 상공에는 51년 만에 애국가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이봉주 선수의 장한 모습을 보는 이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하였고 필자도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이날 처음부터 선두그룹을 이룬 이봉주 선수는 40km 지점부터 탄력을 실어 독주하기 시작, 2위 실바오 구에라(에콰도르)를 24초 차이로 제치고 결승선을 통과하여 승리의 월계관을 차지, 케냐의 대회 11연패를 저지하였다. 이리하여 지난해 일본의 후쿠오카 마라톤 2위의 부진을 말끔히 씻고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보스턴 대회를 제패한 것이다.
보스턴 마라톤이 한국과 특별히 인연이 깊은 것은 이번이 보스턴 마라톤을 세 차례나 우승한 데다 한 번의 세계 최고의 기록과 두 번의 한국최고 기록이 모두 이 대회에서 수립되었고 또 나라가 수립되기 전 1947년 51회 대회에서 서윤복 씨가 2시간 25분 39초로 당시 세계최고기록으로 우승한데 이어 1950년 신생독립국이 된 후 가난하고 어려운 시절 이 대회에서 또다시 함기용, 송길윤, 최윤철 씨 등이 1~3위를 휩쓸어 국제사회에 신생독립국인 한국의 위상을 드높여 주었기 때문이다.
이봉주 선수의 마라톤 제패 후 외신들은 ‘이봉주 쾌거’를 앞 다투어 보도했다. 특히 뉴욕타임즈는 ‘이봉주, 케냐의 10년 아성 깨다’와 워싱턴 포스트의 ‘보스턴 마라톤의 페이스 변화’, 보스턴 글로브의 ‘51년 만에 한국에 우승 안겨’ 등의 제목으로 크게 보도하였다.
이중 보스턴 글로브는 ‘1950년(4월) 당시 한국은 북한과 긴장상태에 놓여 있어 밤엔 보통 전기를 끊었지만 보스턴 마라톤이 열리던 날 밤엔 미국의 소리 라디오 중계를 들을 수 있도록 전기를 공급했다’는 일화를 소개할 정도로 이 대회가 한국과 깊은 인연이 있음을 암시했다.
태극문양이 그려진 머리띠를 두르고 당당히 승리한 이봉주 선수의 승리를 한국에서도 김대중 대통령을 비롯하여 각계각층에서 축하하여 주어 감개가 무량하다. 그간 이봉주 선수가 오늘에 있기까지 지도하고 보살펴 준 분들과 기관에 감사하고 앞으로 이봉주 선수의 끊임없는 노력과 유종의 미를 위해 더한층 노력할 것을 당부하며 오늘을 있게 하신 은총에 감사의 기도를 드린다. (2001.4. 26.)
김상태 칼럼집 "연지탑" 7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