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황칠네 원문보기 글쓴이: 황칠나무
식물 이름의 유래(초본류)
가시연꽃 : 가시+연꽃 식물체에 가시가 있는 연꽃이라는 데서 유래 이명으로 개연 가시연, 가시련(북한)
각시수련 : 각시+수련 작고 귀여운 수련이란 뜻이다. 다른 이름에는 애기수련이 있다.
각시취 : 각시+취 작고 귀여운 나물 이란 뜻 다른 이름에는참솜나물, 나래솜나물,
가는 각시취, 홑각시취, 민각시취(북한)
감자난 : 뿌리와 줄기 사이에 달리는 비늘줄기 비슷한 부분이 둥근 감자를 닮아서.
개구리발톱 : 이식물이 많은 곳에서 개구리가 많이 살고 꽃이 매우 작은 매발톱꽃 모양을 이루고 있다는 데서 유래 다른 이름에는 개구리망, 섬개구리망, 섬향수풀,
섬향수꽃등이 있다.
개구리밥 : 개구리가 많이 사는 연못의 수면에 밀생하는 식물로 개구리들이 밥으로 먹는
식물이라는 데서 유래 다른이름 부평초(浮萍草)-浮(뜰부)+萍(개구리밥평)+草 (풀초) 15~16세기에는 머구리밥으로 표기
개구리자리 : 개구리가 많이 있는 물가에서 이식물이 많이 발견된다는 데서
다른 이름에는놋동이풀, 늪바구지(북한)
개미자리 : 이 식물의 서식처에 개미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과 함께 모양이 작은데서 유래 다른 이름에는 수캐자리, 개미나물(북한) 등이 있다.
개미취 : 개미+취 개미는 꽃대에 개미가 붙어 있는 것 처럼 작은 털이 있느 데서 유래된 것으로 취를 기본종으로 해서 붙은 이름이다.다른 이름에는자원, 들개미취 등이 있다.
개별꽃 : 개+ 별꽃 접두어 개도 산에서 자라며 별꽃에 비해 변변치 못하다는 의미를 나타낸것이다. 한편 별꽃은 작은 별모양의 꽃이 밤하늘의 은하수처럼 한꺼번에 피는 데서 유래다른 이름에는야생의 별꽃이라는 뜻에서 들별꽃(북한) 등이 있다.
개불알꽃 : 꽃의 모양이 개의 불알 같아서.다른 이름에는 요강꽃(꽃의 모양과 냄새 때문에), 까마귀오줌통(꽃에서 나는 지린내 때문에), 불알꽃, 복주머니, 복주머니난, 복주머니난초(북한) 등이 있다. 난(蘭)의 영어이름Orchideh 불알(睾丸)이라는 뜻에서 유래
갯무 : 바닷가에 자라서.
갯버들 : 개울가에 자라서.
갯완두 : 해변가에서 자라며 완두와 비슷하다는 데서 유래 완두(豌豆)는 <본초강목>에 모종(苗)이 부드럽고 (柔) 약(弱)해서 완완(婉婉)이며, 이것에서 완두(豌豆)라는 이름이 유래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거북꼬리 : 잎의 모양이 사각형이면서 끝이 뽀쪽하여 거북의 꼬리와 유사한데서 유래 다른 이름에는 큰 거북 꼬리가 있다.
고깔제비꽃 : 고깔+제비꽃 제비꽃의 종류로 꽃이필때 잎의 기부양측이 안쪽으로 말려서 고깔처럼 되는데서 유래 다른 이름에는 고깔 오랑캐가 있다.
고사리 : 원래 곡사리(曲絲里)라는 이름에서 ‘ㄱ'이 탈락되어 고사리로 된것이다. 곡사리는 고사리의 새순이 나올때 줄기가 말린 모양(曲) 과 실 같이 하얀 것(絲)이 식물체에 붙어 있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골무꽃 : 꽃이 골무의 모양과 비슷한데서 유래
곰취 : 곰이 뜯어먹는 나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둥글 넓적한게 곰처럼 미련 하게 생긴 나물 이라는 뜻에서 생겼다는 설이 있다. 다른 이름에는 큰곰취,왕곰취가 있다.
광대수염 : 꽃이 피는 잎자루와 줄기의 겨드랑이 사이에 긴 수염처럼 생긴 돌기를 비유하여.
다른 이름에는 산광대,꽃수염풀(북한) 등이 있다.
광릉요강꽃 : 광릉 +요강꽃 광릉에서 발견된 요강꽃이란 뜻에서 유래. 요강꽃이란 이름은 뿌리에서 지린내가 나며 합죽선 모양으로 2개가 마주난것 처럼 보이는 잎 사이에 신부방 병풍뒤에 숨겨둔 요강모양의 꽃을 피우는데서 유래한 것이다. 다른 이름에는 큰복주머니,광릉복주머니란, 치마난초, 부채잎작란화(북한) 등이 있다.
괭이눈 : 위에서 본 꽃의 모습이 고양이의 눈과 닮아서.
잎들이 뭉처 나 있는 가운데 노란 꽃이 매으 밝게 눈에 띄므로 마치 어둠 속에서 빛나는 괭이의 눈고 비슷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특히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그 모양이 고양이가 핵볕에서 눈을 지그시 감고 있는 모습과 같다고 해서 괭이는 이라는 설도 있다
다른이름에는 북한에서는 괭이눈풀이라하며 일본이름도 괭이눈풀이다.
광릉요강꽃: 광릉 +요강꽃 광릉에서 발견된 요강꽃이란 뜻에서 유래. 요강꽃이란 이름은 뿌리에서 지린내가 나며 합죽선 모양으로 2개가 마주난것 처럼 보이는 잎 사이에 신부방 병풍뒤에 숨겨둔 요강모양의 꽃을 피우는데서 유래한 것이다. 다른 이름에는 큰복주머니,광릉복주머니란, 치마난초, 부채잎작란화(북한) 등이 있다.
괭이밥 : 고양이가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 이 풀을 뜯어먹는다고 해서.
괴불주머니 : 곷이 괴불이라는 물고기와 닮은 모양인데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괴불 주머니는 끈 끝에 차고 다니는 노리개로 색 헝겊을 네모지게 접어서 속에 통통하게 솜을넣고 가장자리애 상침수를 놓으며 색끈을 접어서 다는 것을 가리킨다. 꽃이 바로 괴불주머니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다른 이름에는 산해주머니, 뿔꽃(북한) 이 있다.
구름국화 : 꽃잎이 잘고많아 하늘하늘한 솜털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 이름에는 산망초, 큰산 금잔화, 구름금잔화 등이 있다.
구절초 :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재액을 물리치고 불로장생하기 위하여 음력 9월9일 중양절에 곷을 꺾은 다음 꽃잎으로 국화주를 만들어 먹은 것에서 구절초(九折草)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다.
둘째는 음력 9월9일날 꽃과 줄기를 함께 잘라부인병 치료와 예방을 위한 한약재로
이용한 데서 구젗초 리는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다.
셋째는 5월단오에는 줄기가 다섯마디가 되고 9월9일이 되면 아홉마디가 된다하여 구절초(九節草)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다.
넷째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간약으로서줄기에 아홉마디의 능(稜)이 있으므로 구절초(九節草)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다.
구절초의 중국이름에는 산국(山菊), 자화야국(雌花野菊), 이 있으며 일본이름은 조선국(朝鮮菊)이다. 따라서 구절초의 한자이름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금강초롱 : 금강+초롱 1909년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된데서 유래 다른이름에는 금강초롱꽃이 있다.
금낭화 : 심장 모양의 꽃이 예쁜 비단 주머니처럼 생긴 데서 유래즉 옛날 여자들이 지니고 다니던 주머니와 모양이 닮아서.한자로는 錦(비단금)_ 囊(주머니랑)-花(꽃화) 어떤 책에는 꽃모양이 사내의 성기모양에 비유해 금낭화(錦郎花)라고도 표현 하는데 金囊花가 바른 이름이다.다른이름에는 며느리 주머니꽃, 등모란 이 있다. 중국에서는 금낭화(金囊花), 하포목단(荷包牧丹)이 있으며일본이름은 화만초(華鬘草)이다. 꽃이 많이 붙어서 아래로 늘어진 모양을 불전(佛典)의ㅏ 화만(華鬘)에 비유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기린초 : 이식물의 두꺼운 꽃과 잎을 기린(麒麟)의 뿔에 비유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여기서의 기린은 동물원의 목이긴 포유류동물이 아니라 중국의 옛문헌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이다. 이동물은 성인(聖人)이 출현 할 때 나타난다고 전해지고 전한(前漢)말(末)시대쓴 경방(京房)이 쓴 <역전(易伝) >에 의하면 기(麒)는 수컷을 , 린(麟)은 암컷을 가리킨다. 이동물의 몸은 사슴과 같고 꼬리는 소와 같으며 굽은 말과같다. 또 등에는 다섯가지 색깔의 털이, 배에는 황색의 털이 있으며 머리위에는 육질로 둘러 쌓인 1개의 뿔을 갖고있다고 기록 되너 있다. 중국명과 일본명도 기린초(麒麟草)이다.
기생꽃 : 기생들이 쓰는 것과 같은 화관을 가지고 있는데서 유래.
다른이름에는 기생초, 좀기생초가 있다.
까치수염 : 이삭의 털을 수염에 비유한 것 같으며 이삭의 전체 모양을 까치에 비유한 데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이름으로 꽃꼬리풀(북한) 이 있다.
깽깽이풀 : 바뿐 모내기철에 꽃을 한가로이 피우는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다
다른이름으로 황련, 산련풀(북한), 조황련(중국)이 있다.
꽃며누리밥풀 : 꽃며느리 밥풀은 아랫입술모양의 꽃잎 가운데 하얀 밥푸랕은 두 개의 무늬가 있어 마치 벌어진 입안에 밥알이 물려 있는 듯한 모양인데, 거기에서 이름이 유래된 듯 싶다. 시어머니와 며느리간의 갈등레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며느리 밥풀이란 이름이 없다. 며느리밥풀이라 불렸던 종이 수염며느리 밥풀이 되고 기본 종은 꽃며느리밥풀로 변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는 꽃며느리밥풀꽃을 꽃새애기풀이라 부르고, 수염며느리밥풀을 새애기풀이라고 부른다.
꽃창포 : 창포에 비해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ㅣ. 꽃창포는 붓곷과이고 창포는 천남성과이다. 다른이름으로 들꽃장포,들꽃창포(북한)가 있다. 일본이름은 화창포(花菖蒲)이다.
꿀풀 : 꽃잎을 뽑아 맛을 보면 달기 때문에 유래된 이름이다. 변종으로는 흰꾸풀, 붉은 꿀풀, 두메꿀풀이 있으며 다른이름으로는 꿀방망이, 가지골나물, 가지래기꽃이 있다.
꿩의다리 : 줄기에 드문드문 마디가 있고 자주빛이 돌아 꿩 다리와 비슷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이름에는 아시아꿩의다리, 가락풀(북한)이 있다.
끈끈이주걱 :끈끈한 액체를 내어 벌레를 잡아 양분으로 쓰는 특이한 식물이다. 잎의 모양이 주걱 같으며 잎의 표면에 이슬과 같은 끈끈한 점액이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나도옥잠화 : 나도+ 옥잠화옥잠화 속이 아닌데도 잎모양이 옥잠화와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이름에는 제베옥잠, 당나귀나물, 두메옥잠화(북한)가 있다.
나도하수오 : 나도+ 하수오 何(어찌하), 首(머리수), 烏(까마귀오)자로 쓰이는데 따j라서 하수오는 어찌하여 머리는 검은가?라는 뜻을 담고 있는데, 이는 이식물을 약초로 사용하였을때에 머리가 검머진다는 약효에서 유래된 것이다.
나비나물 :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생풀로 여름, 가을 에 적자색 나비모야의 꽃이 잎겨드랑이로부터 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큰나비나물, 봉올나바나물, 가지나비나물, 참나비나물등이 있다.
낙지다리 : 줄기 끝에 달린 꽃 또는 열매모양이 낙지다리에 붙은 둥근 혹과 같은 데서 유래된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낙지다리풀(북한),오징어다리(일본)등이 있다.
노랑붓꽃 : 노랑+ 붓꽃 꽃이 노랑색인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노랑붓꽃은 꽃이 2개씩 달리고 1개씩 달리는 것은 금붓꽃이다.금 붓꽃은 한 화경에 두 개씩 달리던 꽃 중에 1개가 퇴화하고 나머지 1개만 남아있다.
노루귀 : 새로 나오는 어린잎의 모양이 노루의 귀와 흡사하여유래된 이름이다.큰 노루귀(섬노루귀)의 경우 잎에 털이 아주 많고 크기가 크며 꽃은 귀모양이다. 다른이름에는 뽀쪽누루귀가 있다.
노루발풀 : 이식물이 노루가 잘 다닐만한 산 속에 주로 서식하는 까닭에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추측된다. 다른이름에는애기노루발, 노루발,
일본녹제초(日本鹿蹄草_중국)등이 있다.
노루오줌 : 풀의 뿌리에서 누린내사 나믄데서 유래한 것이다.
다른이름에는큰노루오줌노루풀(북한)이 있다.
누린내풀 : 이식물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노린재풀, 구렁내풀 등이 있다.
다닥냉이 :다닥+ 냉이 다닥은 잎이 다닥다닥 붙는 냉이란 뜻에서 유래
다람쥐꼬리 : 줄기가 가늘고 바늘모양의 잔잎이 많이나서 다람쥐의 꼬리같이 보인다는 데서 연유한 것이다.다른이름에는 북솔석송이 있다.
단풍제비꽃 : 이식물의 잎시귀 모양을 단풍나무 잎에 비유한 데서 연유한다. 다른이름에는. 단풍오랑캐꽃, 단풍씨름꽃 등이 있다
단풍취 : 잎의 모양이 단풍나무잎과 비슷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괴발딱취,장이나물, 좀단풍취 등이 있다
닭의장풀 : 닭장옆에서 많이 생육하는 데서 유래 된 설이 있지만 그보다는 장마철이 되면 꽃이 닭의 벼슬처럼 피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닭의 밑씻개 ,
닭의꼮, 닭개비, 닭의씻개 등이 있다
닻꽃 : 꽃의 모양이 고깃배의 닻 모양 과 같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이름에는
닻꽃용담, 닷꽃, 닻곳풀(북한) 등이 있다
도깨비부채 : 그다지 큰풀은 아니지만, 잎의 지름이 50cm정도로 정상적인 잎보다 매루크다. 이러하 점에 착안하여 비정상저긴 ,엉뚱한 풀이라는 뜻으로 도깨비를 차용했고 여기에 넓은의미를 지닌 부채까지 붙인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독개비부채, 수레부채(북한) 등이 있다
도깨비사초 : 상상속에 등장하는 도깨비방망이 같은 이미지에다 같은 이미지의 암꽃 줄기를 가지고 있는 사초(莎草)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도개비사초,
뿔사초(북한) 등이 있다
도둑놈의갈고리 : 도둑놈+ 갈고리 열매의 겉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어 옷깃에 잘 붙는 특성을 도둑놈에 비유한 것 같다. 다른이름에는 도둑놈갈구리, 갈구리풀(북한)일본이름은 도둑쑥부갱이이다.
도라지 : 도랏의 준말이라는 옛말에 도라지를 돌아지(突兒芝)로 표현했다. 다른이름에는 길경이, 길경ㅇ른 길쭉하고 굵은 뿌리가 곧게 뻗으면서 굽지않아 귀하고 길한 풀뿌리가 곧다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돌나물 : 바위 틈에서 자라서.
돌단풍 : 잎 모양이 단풍잎과 비슷하고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자아장포, 돌나리 이 있다.
동자꽃 : 동자꽃은 전설에서 유래된 이름이란 설이 있다. 다른 이름에는 참 동자가 있다.
된장풀 : 된장+ 풀 된장에 이 식물을 넣으면 구더기가 새이지 않는 기능을 특징 삼아 이름을 붙인 것이다. 된장풀은 초본류가 아니고 낙엽관목이다 다른 이름에는 쉬풀, 쉽싸리풀등이 이다.
두루미꽃 : 잎과잎맥 모양을 두루미가 나래를 넓게 펼친 모양에 빙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일본 이름은 무학초(舞鶴草)이다
두메양귀비 : 두메+ 양귀비 산애서 자라는 양귀비라 할 수 있다. 한편 양귀비는 아편꽃이 양귀비 처럼 예쁘다고 한데서 유래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만 통용되는 이름이다. 일년초 가운데 가장 예쁜 이지만 하루밖에 못사는 하루살이 꽃이다 즉 양귀비처럼 예쁘지만 양귀비처럼 경계해야 할 꽃이라는 뜻이 담겨져 있다. 다른이름에는 양귀비, 앵속, 약담배, 아편꽃이 있다. 중국이름은 罌 ( 아리앵) 粟(조속)이다, 미낭화(美囊花) 두메양귀비의 다른이름에는 산양귀비, 두메아편꽃(북한 ) 등이 있다.
둥굴레 : 옥죽(玉竹), 괴무릇으로 표기되기도한다. 독일응 방울꽃을 둘글레싹, 둥구리싹이라고 하는데 그러므로 이식물의 이름은 잎이 둥글고 독일 은방울꽃과비슷힌 꽃을 피우는데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다른 이름에는 괴불꽃이 있다.
등대풀 :잎사이로 녹황색으로 피어난 꽃의모습이 어둠의 밤바다를 밝혀주는 등대같다고해서.
땅나리 : 땅+나리 땅은 꽃이 땅을 향해 피는데서 유래되었다는설과 키가 작은 데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땅나리는 꽃이 하향개화하고 키가 60~80cm로 참나리100~180cm보다는 작지만 솔나리 30~50cm 보다는 크고 하늘나리 60~80cm와는 캍다. 다른 이름에는 작은 중나리, 애기중나리가 있다.
말나리 : 마+나리 말은 chj형이 말 같이 큰 것을 나타내는데 실제로 말나리의 키가 70~120cm로 자생 나리중에서 도 큰편이다.
매발톱꽃 : 꽃잎 뒤쪽에 있는 ‘꽃뿔’ 이 매의 발톱처럼 안으로 굽은 모양이어서.(꿀주머니가 안쪽으로 말려진 모양이 매의 발톱을 오므린 듯한 모양인데서)매발톱꽃의 속명 Aquilegla가 라틴어의 aquila에 서 유래 한 말로 독수리를 뜻하기 때문이다. 영어이름은 비들기라는 뜻의 coumbarium이다. 거꾸로 피는 꽃의 모습을 날개를 편 비들기에 비유한 것이다.
며느리밑씻개 : 줄기가 사각형이고 잎자루와더불어 붉은 빛이 도는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화장지가 귀하던 시절에며느리에게 부드러운 풀잎대신 가시가 있는 잇ㄱ물을 사용하게 한 대서 유래했다는 설과 며느리 밑씻개에는 멍든 피를 풀어주고 해독을 하는 Iso quercitrin성분이 있다. 이 때문에 한방에서는 이식물을 진하게 달인 물로 치질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좌욕을 하도록 처방하고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문헌이 없다. 더욱이 며느리밑씻개라는 이름이 문헌에 등장한 것이 1937년이다. 이러한 점들은 며느리밑씻개라는 이름이 일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이름에는 가시모밀, 가시덩굴여뀌(북한)가 있다.
며느리배곱 : 며느리배꼽꽃의 둥근턱잎 안에 열매가 들어 있는 모양이 배꼽을 연상하기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이름으로는 사광이풀, 북한의 참가시덩굴이 있다
모데미풀 : 남원군 운봉면 모데미란 마을의 개울가에서 처음 발견되어서.
물레나물 : 물fp+나물 물레나물은 꽃이 피면 꽃잎이 바람개비처럼 옆으로 휘어지는데
이것을 물레에 비유한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추정된다.
물매화풀 : 습지에서 자라고 꽃이 매화 같은 모양에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 이름에는
물매화, 풀매화.가 있다. 중국이름은 매화(梅花)초이다.
물봉선 : 물+ 봉선 물가에서 자라는 생육특성을 반연한것이다. 봉선(鳳扇)은 봉선화(鳳仙花)를 가리키는 것으로 <군방보(群芳譜 )>에 의하면 이식물의 모습이 머리와 날개 꼬리와 발이 우뚝 서있는 봉황새의 형상과 같다는데서 봉선화라는 이름이 유래 되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물봉선은 물가에 피는 봉선화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물봉숭, 물봉숭아 (북한) 등이 있다.
미꾸리낚시 : 미꾸리+ 낚시미꾸라지가 잘 살 만한 개울가에 나는 풀이라는뜻에서 , 낚시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는데서 유래되었다. 다른 이름에는 여대, 낚시여뀌,
늦미꾸리낚시) 등이 있다.
미나리아재비 : 미나리+아재비 미나리는 미+나리형태로 미는 믈(水)이 변한말이며, 나리는 풀과나물(草菜 )의 뜻을 지니므로 물에서 자라는 채소라는 뜻이다. 아재비는 본래의 으미는 숙질간을 가리키는 것으로 결국 미나리 아재비는 미나리와 비슷하지만 다르다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 이름에는놋동이, 바구니(북한) 등이 있다.
미치광이풀 : 맹독이 있어서 잘 못 먹으면 미친 사람처럼 행동을 하거나 인사불성이 되는 데서 유래. 실제로 미치광이풀은 atropine 및 Scopolamine,등의 약리작용이 강력한 알카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성분들은 부교감신경 마비 등의 독 작용을 일으켜서 과량복용하면 죽음을 초래한다. 다른 이름에는미친풀, 광대작약, 초우성 낭탕, 독뿌리풀(북한) 등이 있다.
민둥제비꽃 : 양지에서 자라는 제비꽃 종류의 다년초로 털제비꽃과 달리 털이없고 연보라색 꽃을 피우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대둔산오랑캐, 털제비꽃, 민둥산제비꽃(북한) 등이 있다.
민들레 : 사립문둘레에서도 흔히 볼 수있는 꽃으로 문둘레라고 하던 것이 민들레로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바람꽃 : 잎이나 꽃의모양이 매우 가늘어 바람에 쉽게 산들거리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조선바람꽃이 있다.속명은 Anemone로 바람, 또는 바람의 딸이라는 뜻이다.
바위돌꽃 : 바위돌꽃은 고산의 바위 위에서 자라는 것으로 그 잎이 마치 꽃과 같이 생겨서 이러한 명명이 가능했다. 다른이름으로 큰돌꽃, 홍경천(중국), 고산홍경천(중국)이 있다.
바위떡풀 : 바위위에 떡차럼 달라붙어 자라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지리산바위떡풀, 털바위떡풀, 섬바위떡풀이 있다.
우리나라 나무중에는 떡갈나무, 떡느릅나무, 떡오리나무, 떡신갈나무떡소리나무...
등 재미있는 것은 떡자가 붙은 나무의 잎들이 한결같이 넓고 그 나뭇잎으로 떡을 쩌먹었다는 사실이다.
바위솔 : 바위솔은 송방울처럼 생긴 식물로 바위 위에서 자란 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와송, 넓은잎지붕지기, 넓은잎바위솔(북한)가 있다.
바위취 : 바위위에서 자라는취라는 데서 유래. 중국이름은 호이초(虎 耳草)로 잎의 모양이 호랑이 귀를 생겼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때문에 바위취를 범의귀로 잘 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두 식물은 별개의 식물이다
방울새란 : 방울새의 부리모양을 하고 있는 것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방울새난초, 방울새난 등이 있다.
백리향 : 초본 같지만 실은 높은산 정상의 바위틈이나 바닷가의 바위 옆에 자라는 낙엽활엽소관목이다. 백리향의 식물체에는 Thymol, P-Cymene, Linalo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백리향 특ㅇ의 향기를 내품는데 그 향기가 백리까지 간다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 다른 이름에는 섬백리향, 산백리향, 일본백리향 등이 있다.
백양꽃 : 백양꽃은 상사화, 석산 등과 같은 속에 속하며 전남 백양산에서 자생하는 꽃이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가재무릇, 타래꽃무릇 등이 있다.
뱀딸기 : 뱀+딸기 뱀이 먹는 딸기라서. 다른이름에는 배암딸기, 큰배암딸기,
홍실뱀딸기가 있다. 일본이름도 뱀딸기 이다.
벌개미취 : 벌+개미취 접두어 벌은 보통 벌판을 나타내므로 이 식물은 벌판에서 자생하는 개미취라는 뜻이다. 다른 이름에는 별개미취,고려쑥부쟁이 등이 있다.
벌노랑이 : 잎겨등이에서 나온 꽃대 끝에 나비 같은 생김새의 노란 꽃이 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 이름에는 노랑들콩, 털벌노랑이, 잔털벌노랑이 등이 있다.
벌깨덩굴 : 잎 모양이 깻잎을 닮았다고 해서.
범꼬리 : 꽃차례의 모양이 호랑이 꼬리를 닮아서
범부채 : 부채살 모양에 주황색을 띈 꽃잎에 범가죽처럼 알록달록한 무늬가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생약재로 부를때의 이름인 사간이 있다.
범의귀 : 풀잎에 난 털이 호랑이 귀털 같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주걱잎범의귀, 범의귀풀(북한)등이 있다.
벼룩이자리 : 잎이 작으며 오밀조밀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벼룩나물이라 불리기도 하며
다른 이름에는 좁쌀뱅이, 모래별꽃(북한) 등이 있다. 일본이름은 벼룩철이다.
별꽃 : 꽃 모양을 작은 별에 비유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성성초라고도 한다.
속명 Stellaria도 별이라는 뜻이다.
병꽃나무 : 꽃 모양이 병처럼 생겨서.
병아리다리 : 아주 작은 풀로 축축한 꼿에서 자라는데 그 크기가 작아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다른이름으로 원지가 있다.
보춘화 : 報(알릴보)+ 春(봄춘) + 花(꽃화)로 봄을 알리느 꽃이라는 뜩세서 유래된 이름이다. 보춘화를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춘란(春蘭)이라하는데 이 역시 도 봄에 꽃을 피우는 특성에서 유래된 것이다.
복수초 : 일본이름 복수초(福壽草)에서 유래된 것으로 복수는 행복과 장수를 뜻한다. 이것은 이식물의 꽃이 부와 영광, 그리고 행복을 상징하는 황금색인데서 유래된 이름이다.다른 이름에는 가지복수초, 눈색이꽃, 복풀(북한)등이 있다. 중국이름은 측금잔화(側金盞花)이다. 일본에서는 복수초로 많이 불리며 새해에 행복과 장수를 기원하는 선물로 믾이 이용하는 데서 원일(元日)초라는 이름도 있다.
봄맞이꽃 : 꽃이 이른봄에 피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봄마지꽃, 봄맞이가 있다.
부들 : 꽃가루받이가 일어날 때 부들부들 떤다는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한다. 부들보다 작은 것으로 애기부들이 있고 더 작은 것으로 좀부들이 있다. 북한에서는 큰부들이라 한다.
붓꽃 : 꽃봉오리의 형태가 먹물을 머금은 붓과 같아서.북한에서는 란초라고 부른다.
비비추 : 옛이름이 비비취로 비비+취로 비비는 비비듯이 여러번 꼬이거나 뒤틀린 모양을 나타내며 취는 시금치, 상치, 소래채, 곰취, 참취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나물이나 푸성귀를 나타내는데 쓰인 옛말이다.
사위질빵 : 사위+질빵(줄) 덩굴이 질빵처럼 길게 뻗어나가기는하나 연약하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산괴불주머니: 또는열매모양이색헝겊에솜을넣고수를놓아예쁘게만든조그만노리개인괴불주머니를 닮아서.
산마늘 : 산+마늘 야생마늘이라는 뜻에서 유래 다른이름에는 맹이, 맹이풀, 신선초,
서수레(북한) 등이 있다.
산오이풀 : 산+오이풀 높은 산에서 자라며 다홍색 꽃이 초가을에 피고 잎에서 오이냄새가 나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삼백초 :잎,꽃, 뿌리가 흰색이고 윗부분에 달린 2~3개의 잎도 저마 희어지기 때문에 삼백초(三白草)라 한다
삼지구엽초 : 줄기의 가지가 3개로 갈라지고 그 가지 끝에 각각 3개씩, 모두 9개의 잎이 달려서.
따라서 석三(삼),가자 枝(지), 잎 葉(엽), 풀 草(초)로 三枝九葉草(삼지구엽초)라 부르는데 한방에서는 淫羊藿(음양곽)이라는 이름으로 , 양의 음부작용에 좋은 미역풀이란 뜻을 담고있다.
상사화 : 잎과 꽃이 함께 존재하지 못하는 생태적 특성에서 유래된 이름이다.중국이름으로 자화석산(紫花石蒜)일본이름은 하수선(夏水仙)으로 여름에 피는 수선이란 뜻이다.
새귀노루귀 : 새끼+ 노루귀 노루귀에 비해 전체가 소형이고꽃받침 또한 5개로 짧은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새우난초 : 뿌리줄기의 마디가 많아 새우등처럼 생겨 있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석산 : 중국이름 석산(石蒜)을 차용한 것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석산의 인경에 함유된 전부을 구황식량으로 이용하였는데 이 구근이 마늘과 닮았고 마늘처럼 식용으로 이용한 데서 석산 이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다른이름으로 피안화(彼岸花), 가을가재무릇, 꽃무릇이 있다.
솜방망이 : 전체에 솜털이 깔려 있고 전혀 가지를 치지 않은 줄기 모습 때문에.
섬초롱꽃 :섬에서 자생하는 초롱꽃이란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손바닥난초 : 뿌리의 일부분이 손바닥처럼 굵어지는데서 붙은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손뿌리난초, 뿌리난초, 손바닥난(북한) 등이 있다.
솔나리 : 솔+나리솔은 이식물의 잎이 솔잎처럼 가늘어서나리는 이식물이 나리의 한종류인데서 유래된 것이다.
솔나물 : 솔+나물 잎이 솔잎처럼 선형인 나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솔붓꽃 : 옛날에 이 식물의 뿌리로 솔을 만들어 이용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으로 가는 붓꽃이 있다.
솜나물 : 잎자루와 잎뒷면에 흰털이 덮여있어 솜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까치취, 부시깃나물이 있다.
솜다리 : 식물 전체에 고운 흰색의 솜털로 감싸고 있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영오ㅓ이름 에델바이스Edelweiss는 고귀한 흰빛이라는 독일어에서ㅏ 유래된 것이다.
쇠뜨기 : 소가 잘 뜯어먹는다고 해서.
쇠서나물 : 잎 가장자리에 뽀쪽한 톱니가 있고 양면이 거친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모련채,조선모련채(북한)가 있다.
수련 : 물에서 자라는 영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수련의 한자는 수련(水蓮)이 아니라 수련(睡蓮)이다. 아침햇빛과 함께 피고 저년놀과 함께 잠든다고 해서 잠길 수(睡)자를 써서 수련(睡蓮)인 것이다.그런가 하면 한 낮에 핀다하여 자오련(子午蓮)이란 이름도 있다.
일본이름은 미초(未草)로 역시 미시(未時: 오후1~3시)에 꽃이 피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
수선화: 중국이름 수선(水仙)에서 유래된 으름으로 중국의 h서에 “히늘에 있는 것은 천선(天仙), 땅에 있는것은 지선(地仙), 물에 있는것은 수선(水仙)”이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설중(雪中花- 눈이 녹기전에 눈속에서 꽃이핀다), 금잔은대(金盞銀臺-흰꽃잎의 중심부에 노란 부관(副冠)이 있는 꽃모양이 마치 은대에 금으로 된 술잔을 올려 놓은 것처럼 보인다)가 있다.
수염가래꽃 : 꽃의 생김새가 턱에 난 수염같기도 하고 흙을 떠서 던지는 가래 같기도 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수염가래(북한)가 있다.
술패랭이꽃 : 술+패랭이, 꽃잎이 술처럼 갈라지는 패랭이꽃이라느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 수패랭이꽃이 있다.
실꽃풀 :꽃의 모양이 흰실을 풀어놓은 것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실마리꽃이 있다.
쓴풀 : 맛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식물체에 쓴맛이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당약이 있다.
씀바귀 :나물의ㅏ 맛이 쓰다고 ‘씀’이라는 부가어가 결합한 것으로 쓴맛이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씸배나물, 씀바기, 쓴귀물이 있다.
알록제비꽃 : 알록+제비꽃 알록은 이식물의 잎표면에 흰색의 얼룩반점이 있는데서 유래된 것이다. 제비꽃의 이식물이 제비꽃의 한종류이인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청자오랑캐, 알록오랑캐가 있다.
애기똥풀 :애기+똥풀 ,줄기에 상처를 내면 나오는 노란색 즙이 애기 똥과 비슷하다고 해서.다른 이름에는 젖풀, 까차다리, 씨아똥이있다.
애기마름 : 애기 + 마름 마름보다 잎이 작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좀마름이 있다.
앵초 : 중국의이름 앵초(櫻草)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꽃 모양이 앵도나무 꽃과 비슷해서.
다른 이름에는 취란화, 깨풀, 연앵초가 있다.
양지꽃 :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서.다른이름에는 소시랑개비,왕양지꽃이 있다.
어리연꽃 : 어리+연꽃 연꽃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금은연이 있다.
어수리 : 식물체가 좀 미련하게 생겼으며 또 야만적으로 전체에 털이 많은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얼레지 : 잎에 어루러기 같은 핏빛 무늬가 있는데서 유래되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가재무릇이 있다.
여름새우난초 : 여름+새우난초여름은 개화시기를 나타낸 것으로 여름에 꽃이 피는 새우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여름새우난이 있다.
여우꼬리사초 : 여우꼬리+사초 여우꼬리는 잎의 모양이 여우꼬리오 닮은데서 유래된 것이며, 사초는 모래에서 잘 자라는 풀이란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섬사초가 있다.
여우주머니 : 꽃이 잎겨드랑이에 동그란 모양으로 조그맣게 줄지어 달려 있는데
이를 특징삼아 이름을 붙인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연꽃 : 중국이름 연(蓮花)에서 유래된 이름이다.연(蓮)은 연뿌리의 마디마다 실 뿌리를 내리고 진흙속을 기면서 계속 이어지느 연(連)모양을 갖는 식물(艸)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오이풀 : 잎을 꺾어서 냄새를 맡으면 오이향이 나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수박풀, 외순나물, 지우초가 있다.
옥잠화 : 중국이름 옥잠(玉簪)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군방보(群芳譜)>에는“ 한(漢)나라의 무제(武帝)가 총애한 이부인이 옥잠을 꺽어서 머리를 장식 하였다. 이것을 보고 후궁들이 모두 흉내내기 시작 하였느데 그로 인해 옥잠화(玉簪花)라 하게 되었다. ”고 기록되어 있다.
다른이름에는 옥비녀와 백학선이 있다. 옥비녀는 꽃봉오리가 옥비녀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으며, 백학선(白鶴仙) 은 고고한 학을 연사하게 한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올챙이자리 :수초로서 개구리밥처럼 인접성에 의해 명명된 것이다.
다른이름에는 올챙이풀, 물챙이자리(북한)이 있다
왜솜다리 : 왜+솜다리 식물에서 왜는 키가 작거나 일본이 원산인 것을 나타내는데
왜솜다리는 키가 작은 것을 나타낸것이다 다른이름에는 북솜다리(북한)가 있다.
외대바람 :외대+ 바람꽃 외대는 꽃대1개기 나와 그 끝에 한송이 꽃을 피우는 데서 , 바람꽃은 바람에 쉽게 산들거리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용담 : 용(龍)의 쓸개(膽)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에 의하몀 뿌리의 쓴맛이 용의 쓸개와 같으므로 그 쓴맛의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다른 이름에는 초룡담, 과남풀, 선용담, 초용담이 있다. 중국과 일본 이름도 용담이다.
용머리 : 식물체의 끝에 달려 있는 화려한 자주빛의 꽃이 용머리 같다하여 붙인 이름이다.
우산나물 :식물체의 모양이 우산과 같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삿갓나물이 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찢어진 우산 (破傘)이라 한다.
나무 이름에 우산 고로쇠의 우산은 울릉도의 옛지명 宇山이다.
우산이끼 : 우산 모양이어서.
원추리 : 원추리란 말은 <산림경제>에서 처음나온다. 훈몽자회에는 훤(萱) 또는 업나물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니까 원추리의 고유 이름은 넘나물, 또는 엄나물이다 다른 이름에는 의남초(宜男草)가 있다.주나라의 <풍토기(風土記)>에는 임신한 부인이 원추리를 몸에 지니고 다니면 아이를 낳는다고 하여 의남초(宜男草)라는 별명이 붙여 쪘다고 한다.의남이란 아들을 많이 낳는 부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편 동양화를 보면 바위 옆에 원추리를 그린 그림이 더러 있는데 이런 그림의 의미는 생남장수(生男長壽)를 비는 일종의 부적(符籍)과같은 것이다. 원추리가 의남(宜男)을 상징하고 바위가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長壽)를 상징하기 때문이다.따라서 이런 그림은 보통 여자의 방에 거는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은방울꽃 : 꽃 모양을 작은 은방울에 비유해서붙여진 이름이다.꽃이 하얗고 방울모양이기 때문이다.일본에서는 은방울꽃을 영란(鈴蘭.)이라하나 난과는 아니고 백합과이다.
이른범꼬리 : 이른에 그 생태적 특성이 나타나 있다. 즉 7~8월에 피는 범꼬리에 비해 이른범꼬리는 4~5월에 꽃이 피는데 서 유래. 다른 이름에는 봄범의꼬리가 있다.
이질풀 : 이풀을 달여 먹으면 이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쥐손이풀, 개발초, 거십초, 붉은 이질풀, 민들이풀, 분홍이질풀 등이 있다.
익모초 : 부인들 특히 산모와 어머니(母)를 이롭게(益) 하는 풀(草)로 부인병을 다스릴 때 쓰이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임모초, 육모초 등이 있다
인동덩굴 : 겨울에도 잎의 일부가 남아 푸르게 겨울을 이겨낸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한편 꽃이 흰색(은색)으로 피었다가 노란색(금색)으로 변한후 진다해서 금은화라고도 부른다.다른이름에는 인동이 있다
자라풀 : 잎이 둥글고 반들반들하여 마차 자라의 등껍질과 같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또는 잎 뒷면에 있는 공기주머니가 자라등 같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수련아재비가 있다
자란 : 일본이름 자란(紫蘭)을 차용한 것으로 자색의 란(蘭)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대암풀이 있다.
작약 : 중국이름 작약(芍藥)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작약은 “적(癪)을 그치는 약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적(癪)은 배나 가슴에 발작적으로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병을 말한다.
실제로 한방에서는 작약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달여 먹으면 복통, 신경통 등의 진통제에 효과가 있더고 알려져있고 통풍이나 부인병에도 이용된다.
다른 이름에는 함박꽃이 있는데 , 꽃모양이 크고 풍부함이 함지박처럼 넉넉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잠자리난초 : 꽃이 잠자리가 앉은 것 처럼 피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해오라바 아재비, 십자란(북한) 등이 있다
장구채 : 줄기에 비하여 꽃이 비정상적으로 큰편이다.꽃은 통부가 불룩하고 긴 타원형으로 전체적으로 장구를 치는 채와 닮은 모양인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제비꽃 : 남쪽에서 제비가 올 때쯤 꽃이 피고, 그 모양이 제비와 비슷해서.
다른 이름에는 오랑캐꽃, 씨름꽃, 장수꽃, 병아리꽃, 외나물꽃,반지꽃 여의초(如意草)등이 있다.
제비난초 : 제비+ 난초 꽃이 제비가 나는 모양과 닮은 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향난초, 제비난이 있다.
제비붓꽃 : 제비가 물을차고 솟아오르는 아름다운 모습 그것이 바로 제베붓꽃의 모습이다 다른이름애는 푸른붓꽃이 있다. 중국에서는 연자화(燕子花)라 하는데 이역시 꽃 모습이 제비와 같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족도리풀 : 꽃 모양이 시집갈 때 색시가 머리에 쓰는 족두리와 비슷해서.
다른이름에는 세신, 족도리,족두리풀 등이 있다.
쥐오줌풀 : 통통한 뿌리애서 냄새가 난다. 하여 명명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길초, 긴잎쥐오줌풀, 줄댕가리, 은댕가리, 바구니나물(북한) 등이 있다.
지네발란 : 줄기가 뻗어 나가는 모야이 지네가 기어가는 모양이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지네난초가 있다.
지리터리풀 : 지리+ 터리출 지리는 지리산을 가리키며 터리풀은 이식물이 터리풀의 일종임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니까 이식물은 지리산 특산의 터리풀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질경이 : 잘 끊어지지않는 잎의 성질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다른이름에는 길장구,
빼부장, 뿌부쟁이, 배부장이 등 이 있다.중국의 <본초강목>에는 차전채(車前菜), 차과로초(車過路草),로도 기록되어 있다. 차전채는 ‘소 발자국에서 난다’는 데서 유래 되었으며 차과로초는‘수레바퀴가 지나다녀도 끈질기게 자란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한다.
차풀 : 옛날에는 이풀의 줄기와 잎을 말려 차(茶)로 대용으로 끊여 마셨는데여기에서 차풀
이라는 이름이 유래 되었다.다른이름에는 며느리감나물, 눈차풀이 있다. 중국이름은 두다결명(豆決茶明) 이다.
참나리 : 참+ 나리나리 중에서도 크고 화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나리의 중국이름은 백합(百合)인데 , 백합은 구황식량으로 이용되었던 뿌리(鱗莖)가 일백개)百의 조각으로 합(合)해져 이루어졌다는 뜻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과, 젊은 여자가 멍청해지는 백합병(百合病)에 치유 효과가 있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동상(凍傷)후에 생기는 백합병(百合病)에 치유효과가 있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등이 있다 어느것이나 꽃보다는 효용성에 중점을 두고 붙인 이름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참새피 : 산과들의 양지바른 풀밭에 나는 것으로서 그 서식지에 인접한 곳에 살고있는 새 이름을 식물명 구성요소로 차용한 것이다. 다른 이름에는 털피, 납작피가 있다.
참취 : 참은 진짜라는 뜻의 우리말이고 다른이름에는 나물취, 암취, 취가 있다.
처녀치마 : 꽃이 활짝 피었을 때의 모양이 마치 처녀들이 입는 치마 같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치마풀(북한)이 있다.
체꽃 : 꽃모양이 체의구멍처럼퐁퐁 뚫려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초롱꽃 : 꽃 모양이 청사초롱을 닮아서.
촛대승마 : 촛대+ 승마 촛대는 꽃이 피면 기다란 꽃차례(화서(花序)에 여러 개의 꽃이 모여서 위로 곧게 피어니는데서 유래된 것이다. 승마는 중국이름으로 “약성(藥性)이 상승하고 잎의 모야이 마(麻)와 비슷해 승마(昇麻)라고 한다” 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다른 이름에는 초때승마, 섬촛대승마, 산촛대승마, 외대승마, 나물승마, 섬승마, 대승마(중국) 등이 있다
층층둥굴레 :잎이 층층으로 돌려나며 긴통 모양의 꽃이 층층으로 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층층이꽃 : 짙은 보라색의 꽃이 층층을 이루어 피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층꽃, 층층꽃이 있다.
콩짜개덩굴 : 잎의 모양이 콩을 반쪽으로 짜갠 모양을 하고 있어서.
타래난초 : 꽃차례(花序) 모양이 실타래를 닮은 모양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타래란(북한)이 있다.
타래붓꽃 : 타래+ 붓꽃 이 식물의 잎이 뒤틀린 것을 타래에 비유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터리풀 : 터리+풀. 터리는 털의 옛말이다.이식물의 꽃이 실오라기를 묶어 가지 끝에 맨 것처럼 보인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털중나리 : 중나리에 비해 전체에 잔털이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토끼풀 : 토끼가 즐겨먹는 풀이라서.
톱풀 : 잎의 거치가 톱날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가새풀이 있는데 톱날과 같이 생긴 잎의 거치를 가새에 비유한 데서 유래된 것이다.
투구꽃 : 꽃의 모양이 옛 병사들의 투구 모양과 닮은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꽃의 옆모습은 투구모습 그대로다. 신기한것은 매년 조금씩 움직인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자라온 뿌리는 썩어 버리고 다음해에는 옆에 달린 뿌리에서 새싹이 나와 자란뒤 뿌리의 굵기만큼 움직인다. 괴근은 부자라고도 불리우며 사약의 재료로도 사용될 만큼 맹독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이름에는 지아바꽃, 진돌쩌기풀 등이 있다.
파리풀 : 파리풀은 그 뿌리를 찧어 종이에 먹인 다음 파리를 잡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패랭이꽃 : 패랭이를 거꿀오 한 것과 같은 모양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석죽(石竹)이 있다. 석죽은 중국이름을 차용한 것으로 패랭이 꽃을 대나무에 비유한 데서 유래된 이름인데 이이름 때문에 동양화 소재로 자주 쓰여 왔다. 한편 동양화에서 대나무와 바위를 함께 그리면 대나무 죽(竹)은 축(祝)과 음(音)이 같고 바우ㅣ는 수(壽)를 뜻하기 때문에 회갑을 축하하는 그림인 축수도(祝壽圖: 장수를 축하하는 그림)가 된다. 왜냐하면 옛날에는 대나무가60년 만에 꽃을 피운다고 알았기 때문에 회갑수를 의미했던 것이다.
풍란 : 중국이름 풍란(風蘭)을 차용한 것으로 산중의 나무위에 착생하면서 바람(風)을 맞으며 생육하는 난(蘭)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원예종은 소엽풍란이라 부르며 나도풍난은 대엽풍난이다.
풍선난초 : 꽃이 둥근 주머니가 매달린 것처럼 보여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주건난초, 애기숙갈난초, 풍선난(북한) 등이 있다.
피니물 : 줄기를 잘라보면 피와 비슷한 황적색의 유액이 나오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노랑매미꽃, 선매미꽃, 매미꽃이 있다.
하늘나리 : 하늘+나리. 접두어하늘은 꽃이 곧추서 피는 데서 유래 되었다는 설과 하늘과 가까운 높은 지역에 자생하는 데서 유래 되었다는 설이 있다.
하늘말나리 : 말나리의 종류로 꽃이 깔대기 모양으로 곧추 서는 특성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할미꽃 : 할머니를 묻은 자리에 이 꽃이 피어서, 혹은 열매의 모습이 할머니 머리카락 모양과 비슷하여.
해오라비난초 : 해오라비+난초. 해오라비는 온몸이 희고 목과 다리가 유난이 긴 새인데 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식물의 꽃모양이 해오라기가 하늘을 힘차게 날아가는 형태와 유사하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해오라비난초, 해오라난(북한)이 있다.
헐덕이약풀 : 헐덕이 약풀은 천식을 앓는 이들에게 효과가 있는 약풀로 천식 환자들에게 요긴하게 쓰이는 풀이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이름에는 산바위귀,헐떡이풀, 천식약풀(북한) 등이 있다.
홀아비꽃대 : 꽃잎 없이 꽃술만 핀다고 해서, 혹은 한 개의 꽃이삭이 촛대같이 홀로 서있기 때문에.
꽃대가 하나만 있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다른 이름에는 홀애비꽃대, 홀아비꽃대, 홀꽃대(북한)일본이름은 일인정(一人淨)이다.
홀아비바람꽃 : 한 개의 꽃대에 한 송이의 꽃이 외로이 피어있는 모습 때문에.
자료출처 : 허북구. 박선근 지은<우리꽃 이름의 유래를 찾아서 >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