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자모(한글 맞춤법 제2장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모두 24자이다.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모음자는 소리 자체가 글자의 이름이 된다.
자음자의 첫소리는 해당 자음자에 모음 ‘ㅣ’를 붙이고
두 번째 소리는 모음 ‘으’ 아래 해당 자음자를 받침
으로 쓴다.
그래서 자음자의 이름은 ‘니은, 리을, 미음, 비읍’ 등으로 규칙성
을 띤다.
그러나 ‘ㄱ’, ‘ㄷ’, ‘ㅅ’은 ‘기윽, 디읃, 시읏’으로 쓰지 않고 ‘기역, 디
귿, 시옷’이라고 쓰니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24자로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는다.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참고] 사전순서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ㅠ ㅝ ㅞ ㅟ ㅠ ㅡ ㅢ 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