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이씨는 조선왕실과 같은 성씨를 쓰는 이씨(李氏)인 관계로 왕실과 직접적인 혼인관계는 없었으나, 2-3대를 거쳐 선조임금과 연결되었고, 선조 서9남 경창군의 3남 평운군의 3녀가 이한명 교리공과 혼인하였다.
1. 흐름도
이집→이인손 2자 (우의정)→이극감 2자(형조판서)→이세걸 3자 (첨중추)→1녀 정세호 (판중추)→2녀 덕흥대원군 이초→선조→서4남 신성군, 서9남 경창군→3남 평운군→3녀 이한명(교리, 문익공 이원정 2자)
2. 참고 자료
1) 이세걸(李世傑 1463~1504)
2) 복성군은 중종후궁 경빈박씨소생
3) 신성군은 복성군 양자로 입적
4) 평운군은 신성군 양자로 입적
3. 종실 가족관계도
1) 신성군 (선조 서4남)
증조부 : 중종
조부 : 덕흥대원군
아버지 : 선조(宣祖, 1552년 - 1608년)
어머니 : 생모 인빈김씨
부인 : 군부인 평산 신씨(郡夫人 平山申氏, 1578년 -1622년),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평산(平山) 신씨 신립(申砬)의 딸.
장남(양자) : 능창대군 이전(綾昌大君 李佺,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 추존왕 원종의 3남, 파양.
차남(양자) : 평운군 이구(平雲君 李俅, 1624년 - 1662년), 경창군(慶昌君)의 3남.
딸 : 죽산 안씨(竹山安氏) 안홍량(安弘量, 1590년 - 1616년)에게 출가.
외백부 : 김공량(金公諒)
2) 경창군 (선조 서9남)
증조부 : 중종
조부 : 덕흥대원군
아버지 : 선조(宣祖, 1552-1608)
어머니 : 정빈 홍씨, 생몰년 미상
누나 : 정정옹주 1595-1666
부인 : 창녕 조씨 ? ~ 1639
장남 : 창원군 준, 생몰년 미상)
임해군에게 양자로 입적
차남 : 양녕군 경, 생몰년 미상
임해군에게 양자로 입적
3남 : 평운군 구, 생몰년 미상
신성군에게 양자로 입적
4남 : 창성군 필, 생몰년 미상
장녀 : 용인 이씨 이후걸(李後傑)의 처
차녀 : 진주 유씨 류연(柳㝚)의 처
3녀 : 청송 심씨 심약하(沈若河)의 처
서장남 : 창임군 일, 생몰년 미상
서차남 : 창흥군 , 생몰년 미상
서장녀 : 구취형의 처
서차녀 : ?
카페 게시글
역사이야기
광주이씨와 조선왕조 연계도
알타리김치
추천 0
조회 145
15.03.03 20:25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