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위장관 삽관과 특별 영양관리
Ⅰ. 위장관 삽관
위장관 튜브(Gastrointestinal intubation)
- 위장관 튜브는 유연한 고무나 플라스틱 튜브로 위나 장까지 삽입.
◈ 삽관의 목적
․ 위내 가스와 수분의 제거를 통한 감압(decompression)
․ 위장관의 운동기능 진단
․ 약물이나 음식물 공급
․ 폐쇄나 출혈부위 치료
․ 분석검사용 위 내용물 수집
1. 비위관(Nasogastric tube)
- 비위관은 길이가 짧은 관으로 코나 입을 통하여 위장으로 삽입함.
1) Levin tube
⇒ 내관이 하나이고 끝에 구멍이 있으며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되었음.
- 상부 위장고의 수분이나 가스를 제거
- 검사를 위한 위 내용물 흡인
- 위장관으로 직접 약물이나 음식물을 투여함
- 주사기를 사용하여 위 내용물을 흡인한 후 흡인물의 pH 를 검사함.
- 위장내 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X선 촬영을 함.
2) Gastric sump tube
⇒ 내관이 두 개인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망사선 불투과성 비위관.
- 위의 압력 감소하여 빈 상태로 유지함.
- Sump tube의 배출구의 흡인력은 모세혈관의 파괴 수준인 25mmHg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위 의 봉합선을 보호 할 있음.
- 배출구를 통하여 위 내용물이 역류 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배출구는 상자의 중심선에 둠.
- 세척은 중심 구멍이나 배출구를 사용.
- 배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구멍을 깨끗이 하기 위해 먼저 공기 10mL 주입.
3) Nutriflex tube
⇒ 길이가 76cm로 끝에 수은이 들어 있어 삽입이 용이.
Hydromer 윤활제로 코팅되어 있어 젖으면 윤활작용을 함.
3) Moss tube
⇒ 길이가 90cm로 내관이 세 개.
- 풍선을 위에 고정함.
- 감압카테터로 위세척 뿐만 아니라 위와 식도를 흡인 할 수 있음.
- 세 번째 구멍은 십이지장으로 영양 공급한다.
5) Sengstaken-Blakemore(S-B) tube
⇒ 내관이 세 개이고 풍선이 두 개 달려있음.
- 식도정맥류의 출혈을 치료하는데 사용.
- 내관 하나는 위의 풍선을 부풀리는데 사용함.
- 두 번째 내관은 식도의 풍선을 부풀리는데 사용함.
- 세 번째 내관은 출혈을 관찰하기 위해 위 세척시 사용함.
- 삽입전 풍선이 적절히 부풀려지는지, 공기가 새는지 확인함.
- 각 풍선의 압력은 25~30mmHg 정도가 적당함.
- 튜브는 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clamp를 잠가둠.
2. 비장관 (Nasoenteric tubes)
- 코, 식도, 위를 통하여 장에 삽입함.
- 감압이란?:가스나 수분으로 장이 팽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 내용물을 흡인하는 것. - 감압을 위한 튜브: Miller-Abbott tube, Harris tube, Cantor tube.
이 튜브는 소장의 폐쇄를 치료하기 위해서도 사용함.
복부 수술 수 장폐색을 예방 할 목적으로 수술전날 삽입하기도 함. 일반적인 튜브는 장음이 있고 연동운도이 돌아올 때가지 유지함.
◈ 수술 후 24~ 48시간 동안은 마취에 의해 연동 운동 감소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이유로 비위관이나 비장관 흡인을 시행함.
① 수분과 가스를 배출하여 구토를 방지.
② 절개 부위로 가는 압력을 감소.
③ 폐쇄를 야기하는 부종을 감소.
④ 수술봉합선 부위의 혈액고d급을 강화하여 그 부위에 영양을 공급.
1) 감압 튜브(Decompression tube)
(1) Miller-Abbott tube
- 길이 3cm , 내관이 두개
- 내관 하나는 수은을 삽입하거나 튜브 끝에 있는 풍선을 부풀리기 위해 사용.
- 다른 내관은 흡인하기 위해 사용.
- 관을 삽입하기 전 윤활제를 약간만 바르고 차갑게 하여 대장자의 코로 삽입.
- 삽입된 길이를 알 수 있도록 관에 표시.
2) Harris tube
- 내관이 1개(14F), 길이가 1.8cm
- 관의 끝은 매끄러운 금속이며, 수은이 담겨진 주머니가 달려 있음.
- 수은의 무게가 중력으로 작용하여 관을 움직임.
- 이 관은 흡인과 세척을 위해서만 사용.
- 관의 끝에 Y자 관을 연결하여 한 쪽 끝은 흡인 기구에 부착하고 clamp가 달린 출구는 세 척을 위해 사용함.
3) Cantor tube
- 내관이 1개(18F), 길이가 3m
- 다른 긴 관들보다 크며 고무 튜브의 가장 끝 부분에 4~5mL의 수은이 들어 있음.
- 수은 주머니 관에 윤활제를 바른 후 비강을 통해 식도로 삽입함.
- 대상자를 앉힌 후 튜브가 잘 통과되도록 물을 한 모금씩 마시게 함.
- 형광투시법으로 십이지장에 튜브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함.
2) 영양공급관(Feeding tubes)
- 영양공급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비장관은 Keofeed, Nyphus/Nelson, Dobhoff 튜브임.
- Keofeed,Dobhoff 튜브는 위를 거쳐 장까지 이르는데 24시간 정도 걸림.
- 대상자를 오른쪽 측위로 눕히면 도움이 됨.
- Nyphus/Nelson 튜브는 위의 감압과 감압과 장의 영양공급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2개의 풍선이 들어 있음.
- Nyphus/Nelson과 Moss 튜브는 모두 수술실에서 삽입하며, 대개 수술 후에 질소 불균형을 방지하고, 상처 회복 및 위의 운동기능과 연동운동을 증진시키며, 입원기간을 줄이기 위 해 사용함.
- 장에서 직접 흡수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소화시킨 음식인, 상품화된 튜브 식이 Vivonex 사용함.
-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나 실리콘으로 만든 고무 튜브는 직경이 작고(6~8Fr), 끝이 수은이 아니라 텅스텐으로 되어 있음.
- 관의 삽입과 제거를 쉽게 하도록 물에 적시면 작용하는 윤활제 처리가 되어 있음.
- 탐침(stylet)이 있거나 없는 여러 종류의 튜브들이 있음.
- 탐침이 없는 튜브는 대상자가 협조하지 않거나 삼키지 못하는 경우 꼬일 수 있음.
- 식도가 천동되기 쉬운 노인이나 조직이 약한 대상자에게 탐침을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함.
- 튜브 삽입시는 대상자를 반좌위로 앉히고 이 체위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눕힘.
3. 비위관 비장관 삽입 대상자 간호
1) 대상자 교육
- 관을 삽입하기 전, 관의 삽입 목적에 대해 설명함.
- 대상자가 불편한 시술에 대해 이해해야 더 잘 협조하고 참을 수 있음.
- 입으로 호흡을 해야 하고, 관이 구개 반사(gas reflex) 부위를 통과할 때 구토가 유발될 수 있음을 알림.
2) 관의 삽입
- 관을 삽입하는 동안 대상자는 대개 가슴에 수건을 대고 똑바로 앉게 됨.
- 휴지를 준비함.
- 스크린을 치고 충분히 밝게 함.
- 때때로 tetracaine(Pontocaine)을 비인두에 분무하여 비강과 후두개를 마취시켜 대상자가 견딜 수 있도록 도움.
- 액체로 된 진통제로 목을 헹구어 내거나 얼음 조각을 몇 분간 물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 가 있음.
- 물을 삼키거나, 입으로 호흡하거나, 숨을 빨리 쉬는 것이 도움이 됨.
- 폴리우레탄 튜브는 유연해지도록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음.
- 물을 적시면 작용하는 hydromer와 같이, 젖어서 윤활제 역할을 하는 코팅이 되어 있지 않 으면 수용성 윤활제(K-T 젤리)로 매끄럽게 해야 함.
- 튜브가 준비되면 관을 비강으로 넣을 수 있도록 대상자의 고개를 뒤로 젖힘.
- 관이 통과할 때 삼키도록 격려함.
- 관이 위에 도달하면 코나 뺨에 테이프로 비위관을 고정함.
- 비위관이 잘 붙도록 피부에 benzoin tincture를 바름.
- benzoin tincture를 바fms 부위에 알레르기 방지 테이프를 붙이고 그 위에 관을 놓고 다 른 테이프로 다시 붙임.
- 관은 앞 이마에 테이프로 고정함으로써 대상자가 움직이는 동안 관이 빠지지 않음.
- 비장관은 장까지 도달하는데 24시간 정도 걸리므로 바로 테이프로 고정하지 않음.
3) 비위관의 위치 확인
- 처음에는 대개 X-선으로 확인함.
- 액체를 주입하기 전에 한번 더 확인함.
- 과거의 청진방법은 위와 장의 관 위치, 위와 호흡기의 관 위치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함.
- 최근에는 더 정확한 방법으로 튜브에서 흡인한 체액의 pH를 확인함.
- 위 흡인물의 pH는 3정도이고 장액의 pH는 6.5정도이며 호흡기의 pH는 7이상임.
4) 비장관의 진행
- 관의 유문괄약근을 통과한 후에 매 시간 5~ 7.5 cm씩 진행하여 장으로 삽입됨.
- 중력이나 연동운동으로 관이 들어갈 수 있도록 대상자를 2시간 동안은 오른쪽, 다음 2시 간 동안은 똑바로 그리고 2시간은 왼쪽으로 눕게 함.
- 보행하는 것도 관이 아래로 내려가는데 도움이 됨.
- 관이 너무 빠르게 들어가면 위에서 꼬이거나 말리기 쉬움.
5) 대상자 관찰
- 비위관은 직접 배액시키거나 간헐적인 낮은 압력의 흡인기에 부착함.
- 영양공급을 위한 경우에는 관의 끝을 거즈로 싸서 묶어 놓거나 막아둠.
- 수분을 공급하기 전에 항상 튜브의 위치를 확인해야 함.
- 대상자가 침대나 방에서 움직일 때 잘못하여 관이 당겨지거나, 기침을 하거나, 기관이나 비강을 통한 흡인 또는 기관삽입 등으로 관의 위치가 바뀔 수 있음.
- 수액과 음식의 섭취량, 세척한 양을 정확하게 기록해야 함.
- 위 배액으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 세척시에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함.
- 모든 배액물의 양, 색깔, 종류를 8시간마다 기록함.
- 내관이 2개 혹은 3개인 관을 사용할 때는 흡인, 영양공급, 풍선 팽창을 위한 각 관을 구 별하여 표시해 둠.
- 튜브가 당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코에서 배액기구까지의 튜브 부분을 안전핀이나 반창고 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환의나 가운데 잘 고정함.
- 당겨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헐겁게 고정해야 함.
6) 구강과 비강 간호
- 관을 며칠 동안 삽입해 두는 경우네는 구강과 비강을 규칙적으로 세심하게 간호해야 함.
- 코를 깨끗이 하기 위해 적신 면봉으로 닦은 후 수용성 기름으로 닦아 부드럽게 해줌.
- 잦은 구강 간호는 대상자를 편안하게 함.
- 비강에 붙인 테이프는 격일로 바꿔주고 피부부자극이 있는지 관찰함.
- 비강이나 인두 점막이 건조한 경우 스팀이나 찬 수증기를 흡입시키면 도움이 됨.
- 함당정제(throart lozenges), 얼음칼라, 잦은 움직임도 불편감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됨.
- 위의 방법들은 점막을 촉촉하게 하게 이하선(parotid glands)의 감염 방지에 도움이 됨.
7) 합병증 사정
- 비위관이나 비장관을 삽입한 대상자들은 체액결핍, 폐 합병증, 관에 의한 자극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키기 쉬움.
◈ 합병증을 위한 사정
(1)체액결핍
- 증상은 피부와 점막 건조 ․ 소변량 감소 ․ 기면(lethargy)등.
- 탈진 ․ 체온 하강 ․ 체액결핍 등을 사정하기 위해 정확하게 기록해야 함.
⇒ 탈진, 체온 하강, 체액결핍 사정을 위한 내용
․ 8시간마다 배액물의 양, 색깔, 종류 등을 확인함.
․ 비위관 세척을 위한 주입한 수분량과 구강으로 섭취한 물의 양 : 세척시는 위 배액을 통해 전해질이 상실되지 않도록 생리식염수와 가은 등장약을 사용.
․ 토물의 양과 특징을 살핌
․ 24시간 동안의 수액 균형(섭취량 및 배설량)을 사정.
․ 영양공급을 하는 동안 주입한 물의 양을 사정.
․ 흡인기가 작동하지 않은 기간을 확인.
․ 치료의 효과 등을 사정.
(2) 폐 합병증
- 비위관은 기침과 인두의 청결 작용을 방해하여 수술 후 폐 합병증을 증가시킴.
- 간호사는 폐울혈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청진함.
- 대상자에게 규칙적으로 심호흡과 기침하도록 함.
- 수액을 주입할 때는 언제든지 튜브의 위치를 확인함.
(3) 관과 관련된 자극
- 구강간호 시 자극이나 건조한 증상이 있는지 점막을 조사함.
- 이하선 부위를 촉진하여 통증, 덩어리, 피부나 점막의 자극이나 괴사가 있는지 확인.
- 비강, 구강 점막, 식도, 기관은 쉽게 자극을 받아 괴사됨.
- 보이는 부분은 자주 관찰하고 수분 상태가 적절한지 사정함.
- 목의 통증이나 쉰 목소리와 같은 식도염이나 기관염(tracheitis) 증상이 있는지 사정함.
8) 관의 제거
- 풍선의 바람을 빼고 관의 끝이 식도에 이를 때까지 10분 간격으로 15~20cm씩 천천히 부드 럽게 빼고, 관의 끝이 비강에 이르면 빠르게 뺌.
- 관이 잘 나오지 않으면 힘을 가하지 말고 의사에게 보고함.
- 관을 제거하면서 대상자가 불쾌해 하거나 h하지 않도록 관을 수건으로 감쌈.
- 관을 제거한 후 구강 간호를 시행함.
Ⅱ. 비위관과 비장관을 통한 영양공급
- 경구섭취가 어려운 대상자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에는 정맥으로 공급하는 총 비경구 영양법(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과 소화기능을 이용하는 경장영양(enteral nutrition)이 있음.
- 위장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2가지 방법을 병행함.
◈ 영양공급을 위해 영양사애를 파악하는 내용.
․ 체중과 신장
․ 상박둘레 : 말초지방 저장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삼두박근 둘레를 측정함.
․ 피부반응 검사 : 특이항원에 대한 알레르기 검사
․ 질소균형
․ 혈청 알부민, 총 림프구 수, transferrin 수치 : 내장단백질 상태 및 면역상태 측정.
24시간 소변 내 Creatinine량 |
이상적인 24시간 소변 내 Creatinine 량 |
․ CHI(creatinine height index) : 골격근의 단백질 측정에 중요한 지표.
CHI =
- 영양상태를 충분히 상정한 후 위장관(GI tract)이 안전하면 경장영양(enteral nutrition) 을 실시함.
- 구강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경관급식(tube feeding)을 실시함.
◈ 경관급식을 위한 유동식 준비 시 원칙
․ 농도는 1kcal/1cc를 기준으로 하며 대상자의 영양 요구에 따라 조절함.
․ 각 영양소(특히 비타민과 무기질)가 부족하지 않도록 균형있게 배분함.
․ 당분류(설탕, 포도당)는 삼투압을 높이므로 다량 사용하지 않음.
․ 필수 지방산을 공급하기 위해 식물성 기름을 첨가함.
․ 수분 제한이 없는 경우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함.
․ 설사를 유발하지 않도록 위생문제, 주입 속도(20cc /분), 횟수(6회/일 이상), 온도(체온 온도) 등에 유의하여 처음에는 묽은 농도로 소량씩 시작하며 적응상태를 보아 점차양을 늘림.
- 많은 대상자들은 관을 통한 영양공급, 특히 비위관을 통한 영양공급을 힘들어 함.
- 플라스틱이나 고무관보다 중간 정도나 구멍이 있는 실리콘 튜브를 더 편안해 함.
- 가는 구멍이 있는 관을 사용할 때는 관이 막히지 않도록 잘 섞인 식이를 사요d.
- 관을 통한 영양을 공급할 때는 다양한 유형의 용기, 공급관과 카테터, 전달체계, 펌프 (Kangaroo 2, IMED-30, Dobhoff, Keofeed Ⅱ, Flexiflo Ⅱ)등을 이용할 수 있음.
- 대상자에게 가장 적절한 식이와 전달체계가 무엇인지 고려하여 관의 종류를 결정함.
- 음식, 농도, 삼투압, 점도, 식이의 무기질 성분뿐만 아니라 주입 방법과 속도, 대상자의 능력, 저장 공간과 냉장고 공간, 식이와 보호 장비의 비용 등도 고려함.
- 수분을 제한하는 대상자에게 밀도가 높은 식이(1.5mL)가 이상적이며 이산화탄소 생성도 감소키기도록 만들어야 함.
- 대상자의 전체 영양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경우도 있음.
- 영양사는 각 대상자에게 가장 적절한 식이를 결정하기 위해 의사, 간호사와 긴밀하게 접 촉하도록 함.
1. 삼투와 삼투성(Osmosis and osmolarity)
- 농도가 짙은 용약과 특정 음식은 체내의 정상적인 수분 균형을 깨뜨릴 수 있음.
- 체내 수분 균형은 사무과정에 의해 유지됨.
- 삼투는 삼투압이 낮은 묽은 용액에서 삼투압이 높은 짙은 용액으로 삼투압이 거의 같아질 때까지 막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과정임.
- 체액의 정상 삼투압은 약 300 mOsm/kg임.
- 인체는 위와 장 내용물의 삼투압을 이 수준으로 유지함.
- 단백질의 입자는 상당히 커서 삼투압의 효과가 거의 없음.
- 반면, 아미노산과 탄수화물의 입자는 적어 삼투압 효과가 크게 나타남.
- 지방은 수용성이 아니므로 물에서 용해되지 않아 삼투압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
- 소듐이나 포타슘과 같은 전해질은 비교적 입자가 작아 삼투압 효과가 크게 나타남.
- 삼투압은 유문을 지나 영양을 공급받는 대상자에게 매우 중요함.
- 삼부압이 높은 진한 용액을 많이 주입하면 물이 조직과 혈관에서 위나 장으로 이동함.
- 대상자는 충만감(fullness), 오심, 설사가 나타나 탈수가 되며, 경우에 따라서 저혈압과 빈맥을 경험하는데 이를 급속이동증후군(dumping syndrom)이라 함.
- 이 문제는 더 희석된 용약을 공급하고 며칠에 걸쳐 점차 농도를 증가시키면 경감됨.
- 대상자에 따라 삼투압 효과를 견디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
2. 경관영양 대상자 간호
- 비위관이나 비장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 대상자는 우선 체중변화, 우유나 유당 (lactose)에 대한 내성, 식이력,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배변과 배뇨양상, 혈청 알부민 치, 질환에 대해 대상자와 가족의 지식 정도 및 대응능력 등을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 함.
1) 영양균형
- 관으로 영양을 공급할 때는 모든 면에서 청결한지 관찰해야 함.
- 음식의 온도, 양, 주입 속도, 충분한 수분 섭취도 매우 중요함.
- 정해진 양을 시간에 따라 주입함.
- 전기펌프는 끈끈한 액체를 주입할 때 주로 사용하며 주입 속도와 압력을 조절함.
- 전기펌프는 무거운 편이므로 정맥 수액대에 부착하여 사용함.
- 경관영양공급을 위해 고안된 펌프들은 다루기 쉽고 가벼우며 사용법을 배울 수 있음.
- 음식물을 주입하기 전에 항상 남아 있는 위 내용물을 확인해야 함.
- 흡인된 양이 150mL 이상이면 2시간 후에 다시 사정하는데 다시 같은 현상이 나타나면 의 사에게 보고함.
- 약물이나 음식물을 주입하기 전과 후, 그리고 계속 주입하는 경우에는 4~6시간 마다 50mL 정도의 물을 주입하여 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고, 세균 성장의 기회를 감소시킴.
유형 |
준비 |
․ 액체
․ 단순한 알약
․ 입 안이나 설하에 투여하는 알약
․ 장에서 흡수되도록 코팅된 알약 |
․ 특별한 준비 불필요
․ 갈아서 물에 용해
․ 의도한 대로 제공
․ 부술 수 없으므로 다른 약으로 바꿔야 함 |
◈ 관을 통하여 주입하는 준비방법
- 음식물 주입 주머니와 튜브는 병원지침에 따라 대개 24시간마다 교환함.
- 세균 감염을 줄이기 위해 식이는 4시간마다 신선한 것으로 주입함.
- 음식은 중력을 이용하여 한 방울씩 떨어지게 하거나 주사기에 넣어 밀어넣거나 또는 지속 적인 조절펌프를 이용하여 시간당 일정량을 주입함.
- 중력으로 영양을 공급할 때는 위보다 높게 매달아 속도를 조절함.
- 주사기에 넣어 밀어넣을 때에는 4 ~ 6시간 마다 300 ~ 400mL 정도의 양을 주입함.
- 지속적인 조절펌프를 이용해 작은 양을 장시간에 걸쳐 계속 주입하는 방법은 흡인, 팽만 (distention), 오심, 구토, 설사 같은 위험이 적어 가장 많이 사용함.
-양성 질소 균형을 유지하고 체중의 점진적 증가는 시간당 100 ~ 150mL(2,400~3,000kcal/24 시간) 정도가 효과적이며 이는 설사와 복부 통증을 일으키지 않는양임.
-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200 ~ 350mL를 10 ~ 15분 동안 주입함.
◈ 경관영양 공급 시 필요한 간호중재
․ 튜브의 위치, 대상자의 체위, 주입 속도를 사정함.
․ 식이를 잘 견디는지 관찰함. 충만감, 고창, 두드러기,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
․ 혈액검사로 임상적인 반응을 확인함 : 혈중 요소 질소 (blood urea nitrogen, BUN), 헤모글로빈, 혈청 단백질, 헤마토크리트
․ 피부 상태를 사정함 : 탄력성, 건조, 색깔
․ 대상자의 일반적인 상태를 사정 : 점막, 소변량, 탈수 상태, 체중 감소나 증가 등
․ 탈수 증상을 관찰함 : 건조한 점막, 갈증, 소변량 감소 등
․ 대상자가 실제 섭취한 식이를 기록함.
․ 구토, 설사, 팽만에 대해 기록함.
․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에 주의함.
․ 요당(+3 혹은 +4), 요량 감소, 갑작스런 체중 증가, 안구 주위의 부종이나 의존성 부 종을 보고함.
․ 4시간마다 신선한 식이를 공급함.
․ 24시간마다 용기와 주입선을 교환함.
․ 식이를 주입하기 전에(계속 주입하는 경우에는 4시간마다) 남아있는 양을 사정함.
․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함.
․ 일주일에 3회 체중을 잼.
․ 가능한 합병증을 사정함.
합병증 |
원인 |
위장관 설사 |
삼투압이 높은 식이, 빠른 주입 속도, 식이의 세군오염, 유당 분해효소 결핍, 약물, 혈청 삼투압 감소, 음식 알레르기 |
오심 |
속도 변화, 심한 냄새, 삼투압이 높은 식이, 불충분하게 위를 비운 경우 |
가스, 고창, 보공, 급속이동증후군 |
튜브 내의 공기
계속 주입이 아니라 한꺼번에 주입, 빠른 속도, 찬 식이 |
무기폐와 폐렴 |
구토와 흡입 |
기계적 관의 위치 불량 |
심한 기침, 구토, 튜브의 당김, 고정하지 않은 튜브, 기도 흡입, 기도 삽관 |
튜브 폐쇄, 찌꺼기 |
불충분한 관 세척, 부적절한 식이, 약물을 충분히 부수지 않은 경우 |
비인두 자극 |
튜브의 위치, 큰 튜브 |
대사성 탈수와 질소혈증 |
불충붕한 수분 섭취와 삼투성이 높은 식이 |
Tube feeding증후군 |
고단백, 저지장 식이로 인한 과다한 요소(urea) |
전해질 불균형 |
식이의 내용물, 대상자의 질병 |
◈ 경관영양공급시 합병증
2) 배변양상 조절
- 비위관이나 비장관으로 영양을 공급받는 대상자들은 설사를 자주 함(24시간 동안 3회 이 상 물 같은 변)
- 치료에 사용되는 식이는 대부분 섬유질이 없기 때문에 대개 변이 묽게 나옴.
- 급속이동증후군도 설사를 유발함.
- 아연(zinc) 결핍(정상적인 혈청 아연 농도인 50 ~ 150 mg/dL를 유지하기 위해 24시간마다 식이에 15mg 첨가할 것은 권장), 오염된 식이, 양양결핍(장의 흡수 부위의 감소는 설사를 야기), 약물 치료 역시 설사를 유발함.
- 급속이동증후군은 고장액을 빨리 주입할 때(10~ 20분 동안)공장의 급속 팽창으로 일어남.
◈ 급속이동증후군과 연관된 설사나 오심 등의 위장관 증상을 조절하는 방법.
․ 탄수화물과 전해질이 희석될 수 있는 시간을 주기위해 주입 속도를 늦춤.
․ 극단적인 온도는 연동운동을 자극하므로 실온으로 음식물을 주입함.
․ 장의 갑작스런 팽만을 방지하기 위해 주사기로 단시간 내에 일정 간격으로 주기보다는 계속 주입방법을 사용함.
․ 대상자에게 식후 30분 동안은 반좌위를 취하도록 한다(이 자세는 중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주입액이 천천히 내려가게 함)
․ 음식과 함께 물을 주입하면 음식의 이동시간이 빨라지므로 영양공급 전 ․ 후에는 최소한 물만 주입함.
3) 기도 간호
- 위 내용물이나 음식이 역류되어 흡인되거나 비위관의 위치가 잘못되어 음식물이 인두나 기도로 주입되면 기도가 폐쇄됨.
- 비장관 특히 위와 식도, 십이지장을 감압하기 위해 사용하는 관(Nyphus/Nelson, Moss)은 역류와 흡인의 빈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됨.
- 비위관을 사용할때는 역류와 폐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줌.
- 비장관으로 주입할 때는 대상자의 머리를 적어도 30도 정도 올려야 함.
- 흡입(aspiration)이 의심되면 공급을 중단하고 필요한 경우 인두와 기관은 흡인함.
4) 적절한 체약상태 유지
- 고장성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매 4 ~ 6시간과 식이 주입 후에 물을 공급함.
- 주입 초기 식이는 적어도 두배로 희석하고 한번에 50 ~ 100mL 이상을 주입하지 않음.
- 계속 주입하는 경우에는 시간당 40 ~ 60mL를 주입함.
◈ 적절한 체액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간호 중재
․ 점막건조, 갈등, 소변량 감소 등의 탈수 증상을 관찰함.
․ 수분을 정기적으로 주입하거나 필요시 주입함.
․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함.
5) 대응 능력 증진
- 치료계획을 따르도록 대상자를 격려함.
- 가능한 활동수준에게 자가간호를 격려함 : 침상 정리, 체중과 섭취량/배설량 기록
- 체중 증가, 전해질 균형, 오심과 설사 중단 등의 진전을 나타내는 증상 및 징후를 규명하 여 긍정적인 생각을 강화함.
6) 대상자 교육의 가정간호
- 가정에서의 양양간호는 입원기간 동안 준비해야 함.
- 음식물 주입하는 동안 절차를 관찰하도록 교육함.
- 퇴원 전에 필요한 기구, 식이 구입과 저장, 주입방법(빈도, 양, 속도)등에 대해 가르침.
- 대상자가 가정에 가면 가정간호사는 대상자의 상태(체중, 활력징후, 활동수준, 절해질)와 합병증(급속이동증후군, 오심, 구토, 체중감소, 기면, 혼돈, 심한 갈등)을 사정함.
Ⅲ. 위루술(gastrostomy)
- 음식물과 수분을 주입할 목적으로 위에 구멍을 만드는 수술임.
- 무의식 대상자의 경우는 위- 식도괄약근(gastrophageal spincter)이 정상이므로 비위관보 다는 위루술을 통한 영양공급을 선호하는데 이 방법은 역류도 보다 적게 일어남.
- 영양공급을 사용하는 위루술은 Stamm(일시적 혹은 영구적), Janeway(영구적), 피하 내시 경 위루술(일시적)등 임.
1. 영양요구
- 수술 후 바로 관을 통해 양양을 공급함.
- 처음에는 대개 물과 10%포도당을 사용하여 한번에 30 ~ 60mL를 주입하고 양을 점차 늘림.
- 수술 후 이틀째는 대상자에게 영양주입으로 이상 증상이 없고 관 주위에서 누출이 업다면 한번에 180 ~ 240 mL를 주입함.
- 영구적인 위루술에서는 24시간 후에 물과 우유를 줄 수 있음.
- 점차 열량이 높은 유동식을 첨가함.
- 유동식에서 반유동식 그 다음 일반식이로 점차 식이를 바꾸어 나감.
- 유당 분해효소 결핍(lactase deficiency)대상자에게는 우유는 주입하지 않음.
2. 관의 간호와 감염관리
- 관은 좁은 반창고로 한 번 감은 다음 복부에 잘 부착함.
- 식사 후에는 새지 않도록 카테터 마개나 고무로 끝을 싼 겸자를 사용한 관을 막음.
- 관입구 주위를 드레싱하여 그 위에 관을 둥글하여 몽고메리 띠나 단단한 복대로 고정함.
- 드레싱은 2 ~ 3일마다 교환하고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교육함.
3. 피부간호
- 관 주위를 물과 비누로 매일 닦고 zine oxide나 바셀린 같은 연고를 발라 피부를 보호함.
- 장기간 위루술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관 주위 피부 통합성을 유지하고, 위 분비물로부 터 피부를 보호하고, 카테터 주위를 보존하기 위해 stomahesive wafer를 붙임.
4. 신체상에 대한 적응
- 위루술의 목적과 식사 방법에 대해 조용하게 상의하는 것이 도움이 됨.
- 위루술을 시행했던 사람과 이야기 하는 것도 기대하는 변화를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됨.
- 현재의 가족 지지체계를 평가함.
5. 대상자 교육과 가정간호
- 식이를 준비하는 방법과 관을 통한 영양법을 자세하게 교육함.
- 자가간호를 돕기 위해 가능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함.
- 식이를 주입하기 전에 실온의 물을 주입하여 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방법과 관에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청결하게 하는 방법을 교육함.
- 주사기 주입 방법은 깔때기나 주사기를 이용해 카테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을 보여줌.
- 처음 액체를 주입할 때는 공기가 빠져 나가도록 용기를 기울임.
- 주사기나 깔때기에 액체가 차면 복부에서 직각으로 들어 올려 중력에 의해 음식물이 위로 들어가게 함.
- 주입 속도는 용기를 들어올리거나 낮추어 조절하는데 45cm이상 올려서는 안됨.
- 주입 방법은 식사때 마다 300~500mL를 10 ~ 15분 동안 주입함.
- 식후 침상 머리부분을 적어도 30분 동안 올려 소화에 도움을 주고 흡인가능성을 줄임.
-식후 약물주입 후 에는 항상 30mL정도의 물로 관을 씻어 막히지 않도록 함.
Ⅳ. 총 비경구영양법(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의 일부 혹은 전체를 위장관을 거치지 않고 대정맥이나 말초혈관을 통해 공급하는 방법으로 중심정맥영양법(central parenteral nutrition)과 말초정맥영양(peripheral parental nutrition)이 있음.
1. 적응증
- 입으로 음식을 먹을 수 없거나 먹어도 흡수가 안되는 경우 : 소장절개, 소장질환, 장폐 색, 만성적인 구토, 만성 설사, 흡수장애 증후군
- 입으로 영양분을 공급해도 양양불량이 예상되는 경우: 심한 화상, 항암치료, 방사선 요법
- 치료목적으로 장관이나 췌장을 쉬게 하는 경우: 궤양성 대장염, 급성 췌장염,담도계 질환
- 위장관이 거의 작용할 수 없는 경우 : 극심한 영양결핍증 등
2. 성분 및 종류
- 대부분의 TPN 영양은 포도당과 아미노산의 혼합물이며 지질은 따로 공급함.
성분 |
특성 |
포도당(dextrose) |
TPN용액내 포도당 농도는 40 ~70%, 열량은 1g당 3.4kcal.
수분 제한시 농도가 높은 포동당 사용, 호흡부전시 농도가 낮은 포도당 사용 |
아미노산 |
40 ~50%의 필수아미노산과 50~60%의 불필수아미노산 혼합물.
질소 균형을 위해 공급, 질소 필요량은 신진대사율에 따라 다름. |
지질(lipids) |
TPN에 사용되는 유상화 지질은 10%나 20%, 등장성으로 삼투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열량을 증가시킴. |
무기질과 비타민 |
비타민은 흡수성과 유용성이 경장영양과 다름.
정맥으로 주입하는 비타민은 불안정하므로 TPN공급 직전에 혼합함. 비타민 K는 항응고제 치료를 제외하고 1주일에 5~10mg공급함. |
3. 주입방법
- 총 비경구 영양액은 혈액보다 5~6배 정도 더 농축되어 있으므로(약 2000mOsm/L) 말초 정 맥의 내벽에 손상을 줄 수 있음.
- 정맥염이나 다른 혈관 합병증 예방을 위해 구멍이 큰 바늘이나 카테터를 흐름이 빠른 커 다란 정맥(대개 쇄골하정맥)에 삽입하여 순환계로 주입함.
- 농도가 짙은 용액은 이 혈관에서 혈액에 의해 매우 빠르게 등장액으로 희석됨.
- 쇄골하정맥관은 내강이 1개, 2개 혹은 3개가 있음.
- 단기간 총 비경구영양법을 시행하는 경우 내강이 3개인 카테터를 권장함.
- 원위부 내강(16G)은 혈액이나 다른 점성이 높은 용액을 주입할 때 사용함.
- 중간 내강은 총비경구영양법을 시 사용함.
- 장기 치료를 위해 Hickman카테터나 Groshong카테터와 같이 내관이 1개 혹은 2개인 우심 방 카테터를 사용함.
- 감염을 막기 위해 피부 밑을 뚫어 쇄골하 정맥으로 넣은 후 카테터의 원위부를 우심방과 접하는 부위에서 2 ~3cm위의 상대정맥에 삽입함.
-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말초정맥으로 삽입함.
1) 대상자 준비
-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함.
- 카테터를 삽입할 때는 머리를 약간 낮게 하고 앙와위로 누워 목과 어깨 혈관을 확장시켜 쉽게 들어가게 하고 공기 색전을 예방함.
- 바늘을 삽입할 피부를 소독하고 대상자에게 주사부위의 반대쪽으로 머리를 돌리게 하며, 관이 정확하게 제자리에 있도록 카테터를 삽입하고 드레싱동안 움직이지 않게 함.
2) 카테터 삽입
- 가장 자주 사용하는 카테터 삽입부위는 쇄골하정맥과 내경정맥임.
- 유치 카테터는 감염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4주마다 부위를 바꾸어야 함.
- 쇄골 중앙지점 아래쪽에 프로카인이나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함.
- 카테터를 바늘구멍을 통해 정맥으로 삽입함.
- 카테터가 들어가면 바늘은 뽑고 카테터를 정맥관에 연결함.
- 주사기를 바늘과 분리하고 카테터를 삽입할 때까지 대상자는 Valsalva maneauver를 시행.
- Valsalva maneauver란 깊게 숨을 쉰 후 입을 다물고 힘을 주면서 참는 것임.
- Valsalva maneauver는 중심정맥압 상승으로 순환계로 공기가 들어갈 가능성을 감소시킴.
- 비경구영양액 주입전 카테터 끝의 위치와 기흉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X-선을 찍음.
- 시간당 50mL로 주입하다가 점차 증가하거나 정해진 속도(100~120mL/hr)로 주입함.
- 각 내강은 마개로 막고 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하루에 2번 주입한 후 혈액을 채 취하거나 주입하는 것을 멈추었을 때마다 모든 내강에 희석된 헤파린 용액을 통과시킴.
4. 총 비경구양양의 중단
- 반동 저혈당증 방지를 위해 고장액을 주입한 후 등장액인 포도당을 몇 시간 동안 주입함.
- 구강반동 저혈당증의 증상은 허약감, 현기증, 발한, 떨림, 한기, 혼동, 심박동수 증가임.
5. 총 비경구영양 대상자 간호
1) 최적의 영양 상태 유지
- 24시간 동안 계속 일정하게 총 비경구 영양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최적의 열량과 전해질을 주입하면서 동시에 정맥용의 다른 제제도 공급할 수 있음.
- 섭취량/배설량과 수분균형을 정확하게 기록함.
- 구강으로 섭취하는 음식에 대해서도 열량을 계산함.
2) 감염 예방
- 드레싱은 무균적으로 일주일에 3번 실시함.
- 부위가 새는지, 카테터가 꼬였는지, 염증, 피부반응은 어떤지를 확인함.
- 요오드 용액이나 Merthiolate를 이용하여 닦을 때는 중심에서 시작하여 밖으로 향함.
- 정맥 튜브 교환시 관의 내강을 따라 미생물이 전파되지 않도록 빠르게 교환함.
- 카테터와 튜브의 접합부위는 분리되거나 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테이프로 덮어 고정시킴.
- 정맥 튜브의 관과 필터는 24시간마다 교환함.
- 드레싱 주위에 투명한 수술실용 접착포를 적용하여 상처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액체가 스 며들지 않도록 함.
3) 수분 균형 유지
- 총 비경구 영양법을 시행할 때는 주입 펌프(infusion pump)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 주입용량은 정해진 속도(mL/hr)로 고정하고 30분 ~ 1시간마다 확인함.
- 속도가 너무 빠르면 고삼투성 이뇨가 발생하며(당분이 과도하게 배설), 심하면 경련, 혼 수, 사망에 이를 수 있음.
- 고장액을 급속하게 주입하면 두통, 오심, 열, 오한, 피로감 증가 등이 증상이 나타남.
- 속도가 너무 느리면 대상자는 열량과 질소의 최대 효과를 얻지 못함.
- 섭취량과 배설량은 8시간마다 기록하여 수분 불균형을 즉시 규명함.
- 일주일에 3번 체중을 측정하여 체중감소나 증가를 확인함.
합병증 |
간호중재 |
폐혈증(sepsis) |
․ 튜브의 모든 연결부위에 반창고를 붙임
․ 중심선에 주삿바늘을 꽂거나 다른 용액을 주입하지 않음
․ 용액을 차게 보관하고 오염시 폐기시킴
․ 의사에게 보고,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
공기색전
(air embolism) |
․ 모든 연결부위에 반창고를 붙임
․ 개구부에는 clamp카테터를 설치함
․ 왼쪽을 아래로 눕히고 머리부분을 낮춤 |
고혈당증 |
․ 매 6시간마다 혈당치를 측정함
․ 오심, 허약감, 빠른 호흡 증상을 관찰함
․ 의사보고 후 처방된 인슐린을 주입용액에 첨가함 |
수분과다 |
․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함
․ 주입 속도를 줄임
․ 활력징후, 체중 측정
․ 호흡곤란시 앉힌 후 산소투여함 |
기흉(pneumothorax) |
․ 반좌위를 취함
․ 흉곽천자술이나 흉관 삽입을 준비함
․ 안심시키고 활력징후를 관찰함 |
반동성 저혈당 |
․ 허약감, 전진, 발한, 두통, 불안 등이 있으면 보고함
․ 포도당을 주입함 |
◈ 총 비경구양양법(TPN)의 합병증
4) 최적의 활동수준
- 쇄골하정맥에 카테터가 있어도 사지를 움직일 수 있으므로 근육 긴장도를 유지하기 위해 활동을 권장함.
5) 대상자 교육과 가정간호
- 대상자는 용액저장법, 주입 관리법, 헤파린으로 주입선을 세척하는 방법, 드레싱 교환, 합병증 관리법에 대해 배움.
- 감염예방을 위해 드레싱을 교환하고 손 씻는 것과 엄격한 무균법을 강조해야함.
- 대상자들은 식사를 하지 못하고 수면을 방해받으므로(주입시 잦은 배뇨, 대개 밤중에 2~3 번 배뇨등) 변화된 생활양식에 대처해야 함.
- 사회 심리적인 반응에는 우울, 분노, 위축, 불안, 자아상 변화 등이 포함됨.
- 가정에서의 총 비경구영양법의 성공는 동기유발, 안정된 정서 상태, 기술적인 능력에 달려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