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철D1596데카르1650
**** ****
#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년보 및 연구자.
프랑스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
1596 3월 31일 라에(La Haye-en-Touraine, aujourd'hui Descartes (Indre-et-Loire)에서 태어났다. 소귀족 가문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셋째 자식이다. 르네가
아버지 조아셍(Joachim Descartes 1563-1640) 지역의회의 자문인(conseiller au parlement de Bretagne à Rennes)이었다. / 어머니 쟌 브로샤르(Jeanne Brochard, 1566경-1597)
1597(하나) 르네가 태어난 지 13개월 만에 어머니 사망, 외할머니(Jeanne Sain, -1610)의 손에 자랐다. 외할머니가 읽기와 쓰기를 가르쳤다.
1598 낭트 칙령(l'édit de Nantes, Edict of Nantes): 앙리 4세가 1598년 4월 13일 선포한 칙령, 프랑스 내에서 가톨릭 이외에도 칼뱅주의 위그노에게 종교적 자유를 인정. - [루이 14세의 퐁텐블로 칙령(Édit de Fontainebleau 1685)으로 다시 신교 금지.]
1599(셋) 아버지 재혼. 귀족이며 낭트 시장인 쟝 모랑(Jean Morin, -1585)의 딸 쟌 모랑(Jeanne Morin, 1579-1634)과 재혼
1604(여덟) 라플레쉬 학생이 되었다.
1607(열하나) 중등학교(Collège royal Henri-le-Grand de La Flèche) 입학(1614년까지 다님), 교수로서 제수이트 신부인 프르네(François Fournet, s.d.)는 철학박사, 또 다른 신부인 프랑스와(Jean François, 1582-1668)는 수학교수였다.
1611 첫 해에 오르가논,
1612 둘째 해에 자연학의 여러 권들, - 수학들과 대수학을 배웠다.
1613 셋째 해에 형이상학과 영혼론
1614(열여덟) 고등학교 졸업, 학력시험 통과
1616(스물) 프와티에 대학 법학부 통과(시민법과 교회법), 그리고 파리에서 은둔의 2년을 보내다. - 갈릴레이의 첫 종교재판의 소식을 들었다.
1618(스물둘) 홀란드(en Hollande)에 있는 모리스 드 나소 군사학교(à l'école de guerre de Maurice de Nassau)에 들어가다. 이 시기에 홀란드에서 수학자 베크만(Isaac Beeckman 1588-1637)을 알게 되었다. [Extraits du Journal de Isaac Beeckman (1618-19)]
1618(스물둘) 데카르트의 첫째 작품 음악개론(Compendium musicae(daté du 31 décembre 1618)
[1618-1648 “30년 전쟁(Dreißigjähriger Krieg)” 발발.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사이 전쟁]
1619(스물셋) 홀란드를 떠나 덴마크, 독일로 떠났다. 프랑크푸르트에서 페르디난트 2세(Ferdinand II, 1578-1637)의 황제 대관식에 참석했다. [30년 전쟁(1618-1648),
- 울름의 수학자 파울하버(Johann Faulhaber, 1580-1635)를 매개로 해서 장미 십자단(로즈 크르와, Rose-Croix: Christian Rosenkreutz)에 가입했을 것이다.
1619년 11월 10일 “몽상(en songe)”을 떠올리다. 남독일 바이에른(Bavière, deu. Bayern) 지방의 노이부르크(Neubourg, deu. Neuburg an der Donau)에서 각(覺)성하다. 세 번 연속적인 꿈을 꾸었는데, 초자연적 목소리가 그의 잠(몽상)을 깨웠다. .
1620-1622 독일과 홀란드로 여행 그리고 프랑스로 돌아오다.
1622(스물여섯) 어머니 유산(6,000 livres)을 처분하였다. 학문하는데 썼다고 한다. - 처분하고 이탈리아 여행을 떠나다. (1923-1925). - 이탈리아의 로레뜨 성당(La Sainte Maison de Nazareth à Lorette)에서 서원을 했다.
1625(스물아홉) 이해 여름부터 1627년 가을까지 다시 프랑스로 파리에 머물다. 신부 메르센(Marin Mersenne, 1588-1648)을 알게 되었다.
1627(서른하나) 프랑스 의사이자 화학자인 샹두(Nicolas de Villiers, sieur de Chandoux, ?-1631)가 교황대사 집에서 새로운 철학에 대한 강연이 있어서, 그가 들으러 갔다. - [샹두(Chandoux, ?-1631)는 파리에서 화폐 위조범으로 처형되었다.]
[1626년에 이미 데카르트는 빛의 입사각과 굴절각에 대한 법칙을 알았다. 1637년 굴절광학(Dioptrique)에서 서술될 것이다.]
1627-1628 겨울에 브르타뉴 지방의 시골에 있었다. [en.Wiki에는 데카르트가 이 라로셀 공략에 참석했다고 하는데 fr.Wiki에는 시골에 있었다고 한다. - 구경 갔을까 왕당파 편에 섰을까? - 독일의 30년 전쟁과 마찬가지로, 프랑스에서는 카톨릭이 프로테스탄트를 솎아내는 전쟁이다. 루이 13세 왕당파와 위그노 사이에 전투가 있었다. 리슐리외의 왕당파의 승리였다.]
1628년부터 Les Règles pour la direction de l'esprit (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 vers 1628 - 1629) 쓰기 시작.
1629(서른셋) [1628년 말부터] 이 시기부터 네델란드에서 살았다.
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들(Règles pour la direction de l'esprit. (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는 이 시기에 작성되었다.
1630(서른넷) 레이드(Leyde)에 머물렀다.
4월 15일 메르센에게 편지를 하다(자연학의 토대로서 형이상학에 관하여).
[1632 5월 메르센에게 보낸 편지?: 베이컨Verulamius의 방법에 관하여]
1633(서른일곱) 말에, 데벤터(Deventer)를 떠나 암스테르담(Amsterdam)에 갔다.
[1633년 6월 22일 갈릴레이 종교재판으로 단죄받다. Dialogo sopra i due massimi sistemi del mondo(le Dialogue sur les deux grands systèmes du monde).]
1634 세계(Le Monde, Traité du monde et de la lumière, 1629-33년 집필, 1634 완성) 갈릴레이 재판으로 출판을 포기(1677년 출판). [세계론과 더불어 인간론(Traité de l'homme)도 구상했다고 하는데, 쓰지 않았다].
1635(서른아홉) 그는 유트레히트(Utrecht) 머물렀다. 그리고 레이드를 거쳤다.
하녀로서 친구 겸 동반자인 엘렌(Hélène)에게서 딸 프랑신(Francine)을 얻다.
1637(마흔하나) 샌트포르트(Santpoort)에 안착했다.
1637(마흔하나)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Je pense, donc je suis)가 처음 등장한 것은 불어로 사용된 방법서설(Discours de la méthode, 1637)이었다. [Cogito, ergo sum,]
원제: Le Discours de la méthode pour bien conduire sa raison et chercher la vérité dans les sciences, 1637- 기상학(Météores), 굴절광학(Dioptrique), 기하학(Géométrie)의 서문이다.
- 이 저술의 반대자들 중 프랑스 수학자 보그랑(Jean de Beaugrand, 1584/1588-1640), 프랑스 사법관이자 수학자인 페르마(Pierre de Fermat, 1605?-1665). 프랑스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로베르발(Gilles Personne de Roberval, 1602-1675), 네델란드 수학자인 플렘피우스(Vopiscus Fortunatus Plempius, 1601-1671), 네덜란드 수학자 스탐피오엔(Jan Stampioen, fr. Jean Stampion, 1610-1653) 등이다.
1638(마흔둘) 접선의 문제를 다루었다(편지에서?)
9월 12일 모랭(Morin, ?-?)에게 보낸 편지 10월 모랭이 데카르트에게 보낸 편지.
1640(마흔넷) 아버지 조아셍(Joachim Descartes 1563-1640) 사망.
9월에 딸 프랑신이 발진열로 사망하다.
1641(마흔다섯) 형이상학적 성찰들(Méditations métaphysiques, 1641)에서는 ego sum, ego existo (« je suis, j'existe »)으로 나타난다.
[1642년 3월 교황청은 예수회의 압력에 못 이겨 얀센(Cornelius Jansen, 1585-1638)의 아우구스티누스(1640년 출간)를 금서로 단정하는 대칙서인〈인 에미넨티〉를 공포하게 된다.]
1643(마흔일곱) 팔라틴 선제후(Frédéric V de Wittelsbach-Simmern (Friedrich V.), 1596-1632)의 딸 엘리자베스 공주(Élisabeth de Bohême, 1618-1680)를 홀란드에서 만나다. Correspondance avec Élisabeth, 1643 à 1649
1644(마흔여덟), 홀란드에서 한번 프랑스 여행(첫째)을 한다.
철학의 원리들(Principia philosophiae, Principes de la philosophie, 1644)에서 라틴어 정식« cogito, ergo sum »이 등장한다.
1644년 5월, Lettre au P. Denis Mesland(1615–1672), 2 mai 1644. [제수이트 메랑이 나이 스물아홉(29)라 한다.]
1646(쉰) 네덜란드 철학자 의사인 레기우스(Hendrik De Roy, lat. Henricus Regius, 1598-1679)와 논쟁하다. 2년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Notes sur un Certain Manifeste」을 출판하다.
1647(쉰하나) 프랑스 세 번(1644, 1647, 1648) 중 둘째 체류, 둘째 체류 시에 파스칼(Pascal, 1623-1662)을 만났다. 파스칼의 진공(기압) 실험에 대해 들었다.
1648(쉰둘) 4월 16일 신학 공부하는 네델란드 학생인 부르만과 대화(Entretien avec Burman, 1648) [진위를 의심하고 있다. Frans Burman(1628-1679)]
프랑스에서 셋째 체류를 한 적이 있다. 이 때 고등법원의 프롱드(Fronde Parlementaire, 1648-1649)가 있었으며, 파리는 들떠 있었고, 1648년 8월 26-28일에는 팔레-르와얄 부근에 1,260여개의 바리케이트가 쳐졌다.
[1648 “30년 전쟁” 종식 - 베스트팔렌 조약(Westfälischer Friede, Peace of Westphalia) 체결. - 네덜란드, 스위스, 사부아, 밀라노, 제노바, 만토바, 토스카나, 루카, 모데나, 파르마가 신성로마제국에서 공식적으로 독립한다.
1649(쉰셋) 9월 스웨덴 여왕 크리스틴(la reine Christine à Stockholm)의 가정교사 초청을 받아들였다. 거주는 즈 스웨덴 대사인 샤뉘(Pierre Chanut, 1601–1662)집에 머물렀다.
1949 정념론(Traité des Passions, 1649)
1650(쉰넷) 2월 11일 스톡홀름에서 세상을 떴다.
*
1662 De Homine(De l’homme) 출간
1664 세계(Le Monde, Traité du monde et de la lumière, 1629-33년 집필, 1634)완성, 1664년 출판
1666 루이 14세는 주 스웨덴 프랑스 대사 테르롱(Hugues de Terlon, 1620-1690)에게 유골을 본국으로 송환하게 하였다. 5월 1일 유골 발굴하여, 신체를 해체하여 길이 80cm의 상자에 담아 이송하였다.
1667 6월 2일 데카르트의 관은 파리 생 쥬느비에브 수도원의 교회(l'église de l'Abbaye Sainte-Geneviève de Paris)에 안치되었다.
1684 Recherche de la vérité par la lumière naturelle, texte inachevé, publié pour la première fois en traduction néerlandaise 1684,
1691 Extraits de la Vie de M.. Descartes de Adrien Baillet (1691)
1790 제헌의회(l'Assemblée nationale constituante)는 중세전공자이자 박물관장인 르느와르(Alexandre Lenoir, 1761-1839)에게 옛 수도원(l'ancien couvent des Petits-Augustins)에 안치하게 하다.
1792 생쥬느비에브 수도원장이 르느와르에게 자기 교회의 재산[유해]을 유지하게 요구했다.
유산 관리청(le Conservateur du Patrimoine) 따로 있었던 데카르트의 뼈들을 회복시켰고, 옛 수도원으로 복귀하였다.
1792 국민공회(Convention nationale)는 그의 재[유골]를 판테온(Panthéon de Paris)에 옮길 기획을 가졌었다. 기획은 2세기가 지나서 성취되었다.
1814 왕정복고(Restauration), 루이 18세(Louis XVIII, 1755-1824)(재위 1814년–1824) 시기에 뼈들은 베르나딘 수도원(le couvent des Bernardins)에 보존되었다.
1819년 2월 26일 이후 생 제르망 데프레 교회(l'église Saint-Germain-des-Prés)에 안치되어 있다.
1996 피용(François Fillon, 1954-)는 체신부장관 시절에, 기획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국민공회’ 법령을 시행하려 했다. 즉 그의 두개골이라 주장하는 것을 데카르트가 기숙했던 군사학교(au Collège royal de La Flèche)에 옮기려 했다.
2010 데카르트 두개골이 만신전에 있다. - 내가 사진으로 본 데카르트 두개골의 이마에는 ‘데카르트’라고 새겨져 있었다. [철학자의 것인지 합리적 의심을 가질 수 있다.] [죽고 난 뒤 주 스웨덴 프랑스 대사가 데카르트의 시신을 운송해 왔다고 한다. (51ULI)]
(2:30, 50RLG), (3:18, 50RLH) (4:25, 56WLG)
** 관련자와 연구자
#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570 퓌타고라스(Pythagor, Πυθαγόρας, 전570-전495) 이오니아의 그리스 철학자, 피타고라스 학파라는 종교적 단체를 형성했다.
38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Aristotélēs, 384-322: 62살) 스타지르(Stagire, Στάγειρος)에서 탄생(플라톤 나이 43세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67년(17살)에 플라톤(60살)의 아카데미아 입학했다고 한다. 아버지는 마케도니아왕의 주치의(主治醫)였다.
350? 에우클레이데스(Euclide, Εὐκλείδης, 전300년경 활동)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프톨레마이오스 1세 재위 기간(전323-전 283년)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 활동.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O
290 파포스/파푸스(Pappus d'Alexandrie, Πάππος ὁ Ἀλεξανδρεύς, 290경-350경), 알렉산드리아 태생, 고대 그리스의 가장 중요한 수학들 중의 하나이다. 파푸스 정리(théorème de Pappus). / 굴딘(Paul Guldin, 1577-1643) 스위스 출신 제수이트 신부, 수학자, 천문학자. “파부스-굴딘정리(théorème de Pappus-Guldin) .
309 아우소니우스(Ausone (Ausonius), 309/310-394/395) 라틴 시인. 정치가, 문인, 갈로-로망 교육자. 그라티우스 황제(l'empereur Gratien) 측근, 378년에 골지방 총독.
345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 d'Hippone, lat. Aurelius Augustinus, 354-430) 크리스트교인 철학자, 신학자.
1033 안셀무스(Anselme de Cantorbéry, lat. Anselmus Cantuariensis, 1033-1109) « Docteur magnifique » (Doctor magnificus), 이탈리아 베네딕트 수도사. 칸트가 존재론적 기원에 안셀무스를 꼽았다.
1533 몽떼뉴(Michel Eyquem de Montaigne, 1533-1592) 프랑스 철학자, 인문주의자, 도덕론자. 도덕 순응주의자(conformiste).
1540 비에트(François Viète, lat. Franciscus Vieta, 1540-1603) 프랑스 수학자. 대수표기법 첫 사용자(영국의 헤리어트와 함께)
1541 샤롱(Pierre Charron, 1541-1603), 법학을 공부하고 변호사였다가. 프랑스 신학자, 철학자. 몽테뉴를 만났다. 몇몇은 데카르트가 의심의 방법의 영향을 샤롱에게서 받았다고 한다.
1544 질베르(William Gilbert, ou William Gylberde, 1544-1603), 영국 과학자, 의사. 자기성과 전기성의 관계 법칙을 과학적으로 탐구한 첫째 과학자이다. .
1560 해리어트(Thomas Harriot, Harriott, 1560-1621) 영국 수학자, 천문학자. 대수표기법 첫 사용자(비에트와 함께)
1561 베이컨 (Francis Bacon, Verulamus ou Verulamius, 1561-1626) 영국 과학자, 철학자, 정치가.
1564 갈릴레이(Galilée, Galileo Galilei, 1564-1642) 이탈리아 물리학자.
1571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 독일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사. 17세기 천문학 혁명의 핵심 인물.
1578 하비(William Harvey, 1578-1657), 영국 의사. 피의 순환 발견과 증명. Motu Cordis (1628)
1580 파울하버(Johann Faulhaber, 1580-1635), 독일 수학자.
1580 할스(Frans Hals, 1580/1583–1666), 네덜란드 바로크 화가. 렘브란트와 베르베르와 더불어 황금시대 중요인물 중 하나. 데카르트 초상화를 그렸다.
1580 스넬리우스(Willebrord Snell van Royen, ou Snellius 1580-1626) 네덜란드 인문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1583 클라비우스(Christophorus Clavius, 1538-1612) 독일 제수이트 신부 과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1583 지비외프(Guillaume Gibieuf, 1583–1650), 데카르트 친구, 오라트와르 신부, 소르본에서 신학박사.
히페르아스피스트(Hyperaspistes): 에라스무스(Erasmus, 1466–1536)의 Hyperaspistes(2 volumes (1526) [ὑπέρ + ἀσπιστής(one armed with a shield, a warrior)] 이 단어는(“Hyperaspistes”)는 그리스어로 우승자(“champion”) 또는 방어자(“defender”)를 의미한다.
1583 모랭(Jean-Baptiste Morin, Morinus, 1583–1656), 프랑스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가. 영.위키에서 데카르트 공격자로 한번 언급한다. 그런데
1583 모랭(Jean-Baptiste Morin de Villefranche, 1583-1656) 프랑스 의사이자 수학자이며 왕립학회 회원. 프랑.위키에서는 데카르트에 관한 언급이 없다.
1584 보그랑(Jean de Beaugrand, 1584/1588-1640), 프랑스 수학자. 화가. 데카르트 방법서설에 관한 논쟁자.
1586 레비우스(Jacobus Revius Jakob Reefsen, 1586-1658) 네덜란드 목사, 시인, 신학자.
1588 메르센(Marin Mersenne, 1588-1648), 미님 수도원(l'ordre des Minimes) 신부, 프랑스 수학자, 철학자. 데카르트와 편지교환.
1588 베크만(Isaac Beeckman, 1588-1637) (오늘날의 네델란드) 수학자, 물리학자, 의사, 철학자.
1588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영국 철학자.
1589 보에티우스(Gijsbert Voet, dit Gisbertus Voetius, 1589-1676) 네덜란드 신학자, 교수, 설교자. .
1590 카테루스(Johan Caterus, Johannes Caterus (Johan de Kater) 1590–1657), 네델란드 신학자.
1592 가상디(Pierre Gassend, 1592-1655) 프랑스 수학자, 철학자, 신학자, 천문학자.
1593 레네리우스(Henricus Reneri ou Renerius, 1593-1639) 루방대학에서 인문학(les arts libéraux)을 공부한 네덜란드 철학자. 데카르트가 암스테르담에서 만난 인물들 중 하나.
1593 카벤디쉬(William Cavendish, 1593–1676), 뉴캐슬 백작 공작. 영국 장교, 궁정인, 작가, 데카르트와 교신자.
1594 데카르트의 사유는 그의 분명하고 질서있는 특성 때문에 프랑스 화가 뿌쌍(Nicolas Poussin, 1594-1665)의 회화에 근접해 있다. 사유주체(le cogito)는 근대 주관성의 탄생을 알려준다.
1595 부르댕(Pierre Bourdin, 1595-1653), 처음에는 라플레쉬 고등학교에서 문법교수(1618-1623), 수학교수(professeur de mathématiques au collège de Clermont, de 1635 à 1653.) 광학연구자.
1596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1596 골리우스(Jacob van Gool, lat. « Jacob Golius », deu. « Jacob Gohl », 1596-1667) 네덜란드 동방학자, 수학자.
1598 레기우스(Hendrik De Roy, latinisé en Henricus Regius, 1598-1679) 네덜란드 철학자, 의사. 대학교수.
1600 몽꼬르네(Balthasar [Balthazar] Moncornet [Montcornet], 1600-1668) 벨기에 출신 판화가. 파리에서 활동했다. 그는 17세기 많은 인물들을 초상화 작가이다. 데카르트의 판화가 남아있다.
1601 샤뉘(Pierre Chanut, 1601–1662) 프랑스 외교관, 공무원. 주 스웨덴 프랑스 대사역임, 데카르트는 스웨덴 여왕의 초청을 받아, 그랑스 대사관 집에 머물렀다.
1601 본 (Florimond de Beaune, 1601-1652) 프랑스 법률학자, 수학 애호가, 데카르트 기하학의 입문서를 썼다.
1601 네델란드 수학자인 플렘피우스(Vopiscus Fortunatus Plempius, 1601-1671), 네덜란드 의사, 데카르트 반대자. 아비센의 작품 번역가. 데카르트가 암스테르담에서 만난 인물들 중 하나.
1602 로베르발(Gilles Personne de Roberval, 1602-1675), 프랑스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1602 마자랭(Jules Raymond Mazarin, 1602-1661), 이탈리아출신 프랑스 정치가, 신부. 추기경, 리슐리외를 이어서 제1수상.
1603 딕비(Kenelm Digby, 1603–1665), 영국 궁정인, 외교관, 자연철학자, 점성술사. 로만 카톨릭 지도자. Demonstratio immortalitatis animae rationalis: On the Immortality of Reasonable Souls, 1644. / 그는 메르센과 홉스를 만났다고 하지만 데카르트를 만났다는 기록이 없다. 데카르트 영향 속에 있었지만.
1605 페르마(Pierre de Fermat, 1605?-1665). 프랑스 사법관이자 수학자.
1605 호르텐시우스 (Martin van den Hove, Martinus Hortensius, Ortensius, 1605-1639), 네덜란드 천문학자, 수학자. 그는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을 대학에서 가르쳤다. 데카르트가 암스테르담에서 만난 인물들 중 하나.
1610 네덜란드 수학자 스탐피오엔(Jan Stampioen, fr. Jean Stampion, 1610-1653)
1612 아르노(Antoine Arnauld, 1612-1694), 프랑스 신부, 철학자, 수학자. 얀센주의자. 편지교환.
1613 헤르보르드(Adrien Heerebord / Adriaan Heereboord, 1613–1661) 홀란드 철학자, 논리학자.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데카르트 철학의 평행론(Parallelismus Aristotelicae et Cartesianae Philosophiae naturalis 1643)
1614 삐꼬(Claude Picot, 1614-1668) 데카르트 친구이자 협력자, 편지교환자. 수도원 원장, Principia philosophiae 1644(Principes de la philosophie, 1647, 번역자). 데카르트는 편지-서문을 썼고 이 책의 부록으로 실렸다. - 뽈 삐꼬(Paul Picot) 또는 (l'abbé Picot)는 동일인물일 것이다.
1614 모어(Henry More 1614–1687) 영국 철학자. 캠브리지 플라톤 학파.
1614 끌레르슬리에(Claude Clerselier, 1614-1684) 데카르트에 관한 저술의 프랑스 편집인 및 번역가, 파리 의회의 변호사.
1615 수튼(Frans van Schooten, 1615–1660), 네덜란드 수학자. 데카르트의 대수 기하학의 첫 주장자이다. 데카르트가 암스테르담에서 만난 인물들 중 하나.
1615 메랑(Denis Mesland, 1615–1672), 제수이트 신부, 그는 데카르트의 “성찰”을 읽었고 데카르트와 편지 교환을 했다.
1618 엘리자베스(Élisabeth de Bohême, princesse palatine, 1618-1680) 팔라틴 선거제후(Frédéric V de Wittelsbach-Simmern, 1596-1632)의 딸이다. 여성철학자, 작가. 데카르트와 편지교환. Correspondance avec Élisabeth, 1643 à 1649 - Version rapportée par Pierre Chanut dans sa lettre du 19 février 1650 à la princesse Élisabeth de Bohême.
1618 로오(Jacques Rohault, 1618-1672) 프랑스 물리학자. 데카르트 물리학을 세속화하고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의 몰락에 기여했다. 물리학 개론(Le Traité de physique, 1671)
1619 베르즈락(Savinien de Cyrano, dit de Bergerac, 1619–1655) 프랑스 소설가, 희곡작가, 편지작가(epistolarian), 결투자(duelist). Histoire comique des États et Empires de la Lune, 1657(이 소설은 골드윈(Francis Godwin)의 The Man in the Moon, 1638)에서 빌려왔다.). Histoire comique des États et Empires du Soleil 1662(이 소설은 데카르르트를 만남에서 끝난다고 한다.) / 시라노 드 베르즈락(Cyrano de Bergerac, 1897)은 로스땅의 소설이다. 로스땅(Edmond Rostand, 1868-1918) 프랑스 작가, 극작가, 시인, 수필가.
1620 륀(Louis-Charles d'Albert de Luynes, 1620-1690) 데카르트의 라틴어로된 책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첫째 번역가. [투르 외곽에 륀의 성이 있고, 아직도 후작의 칭호를 지니고, 사적으로 성을 유지하는 가문이다. 일 년에 한번 개방했다.]
1620 베르니에(François Bernier, 1620-1688) 여행가, 의사, 프랑스 에피쿠로스파 철학자. 그는 데카르트보다 가상디 편이었다.
1622 몰리에르(Jean-Baptiste Poquelin, dit Molière, 1622-1673), 프랑스 유명한 희극배우, 극작가. 학식있는 여성들(Femmes savantes, 1672)(3막 2장에서 데카르트 언급이 있다)
1622 레이 (Jean/Johannes de Raey, 1622–1702) 홀란드 철학자, 초기 데카르트주의자.자연철학의 열쇠(Clavis philosophiae naturalis, 1654)
1622 클라우베르크(Johannes Clauberg, 1622–1665), 독일 신학자. 철학자.
1623 파스칼(Pascal, 1623-1662)은 1647년 데카르트를 만났다. 파스칼의 진공(기압) 실험에 대해 들었다.
1623 베르크(Georg Conrad Bergius, Georg Konrad Berg, 1623-1691) 독일 종교개혁 신학자. 독일 위키에 베르크와 데카르트와 연관이 없다. 단지 클라우베르크(Johannes Clauberg, 1622–1665)가 베르크의 수고본을 읽으면 데카르트의 이론과 닮았다고 기술할 뿐이다.
1624 겔링크스(Arnold Geulincx, 1624-1669) 벨기에 철학자. 페스트로 사망(마흔다섯)
1625 니꼴(Pierre Nicole 1625-1695), 프랑스 쟝세니스트, 포르-르와얄 학파.
1625 비티히(Christoph Wittich, Christophorus Wittichius; 1625-1687), 독일 프로테스탄트 신학자. 성찰 주석본(Annotations aux Meditations, 1688), 반스피노자론(Antispinoza, 1690)
1626 꼬르드무와(Géraud de Cordemoy, 1626–1684) 프랑스 철학자, 역사가, 변호사. 형이상학과 언어이론의 작품들을 남겼다. 데카르트 찬미자. 영혼과 신체의 분간의 여섯 담론, 자연학을 밝히는데 이용하기 위하여(Le discernement du corps et de l'âme, en six discours, pour servir à l'éclaircissement de la physique (1666), 말투에 대한 신체적 담론(Discours physique de la parole, 1668)
1626 스웨덴 여왕 크리스틴(la reine Christine, en suédois: Kristina, 1626-1689) 스웨덴 여왕(de 1632 à 1654) 그녀는 카톨릭으로 개종하고 왕위를 양위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생애는 여행하다가 로마에 정착하여, 유명한 사상가들과 교신하였다.
1628? 부르만(Frans Burman, s.d,) 신학을 공부하는 네델란드 학생. 「데카르트와 대화록(Entretien ave Burman, 1648?)」(진위 의문)
1629 호이겐스(Christiaan Huygens, Huyghens, 1629–1695) 네덜란드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발명가.
1629 르그랑(Antoine Legrand, « Antonius le Grand », 1629-1699) 프랑스 철학자. 프란체스코파 수도사, 선교사, 신학자. 그는 영국에서 데카르트주의를 퍼뜨렸다.
1630 위에(Pierre-Daniel Huet, 1630-1721),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 박학. 스와송 주교,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 데카르트 철학의 검열(Censura philosophiae cartesianae (1689) Censure de la philosophie cartésienne, 1689 인간 정신의 연약함에 대한 철학개론(Traité philosophique de la faiblesse de l’esprit humain(1690, 1723출판).
1631 립스토르프(Daniel Lipstorp, 1631-1684), 홀란드 대학 교수, 천문학자. 데카르트 철학의 교본(Specimina philosophiae Cartesianae, 1653),
1632 스피노자(Baruch Spinoza, 1632-1677) 포르투갈에서 온 유대인 계보, 네덜란드 철학자.
1632 라포르쥬(Louis de La Forge, 1632-1666)[서른둘] 데카르트와 동향(라플레쉬)출신,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의 체계를 따랐다고 한다. [데카르트 사망 시, 그는 열여덟] Traité de l'esprit de l'homme, de ses facultés, de ses fonctions et de son union avec le corps, d’après les principes de Descartes(Amsterdam, 1664)
1632 레기스(Pierre Sylvain Régis, 1632–1707) 프랑스 데카르트주의 철학자. 스피노자 비판자. 철학 체계(Système de Philosophie, 1690), 검열에 응답(Réponse au livre qui a pour titre Censura philosophiæ Cartesianæ(Paris, 1691).
1634 벡커(Balthasar Bekker, 1634-1698) 독일-네덜란드 프로테스탄트 신학자, 철학자. 목회자. 솔직하고 충실하게 권하는 데카르트 철학(De Philosophia Cartesiana Admonita candida et sincera, 1668
1636 브왈로(Nicolas Boileau Despréaux, 1636-1711) 프랑스 시인, 번역가, 논쟁가, 문학이론가. 우스꽝스런 조치(Arrêt burlesque, 1671)(데카르트 교육을 금지를 막은 저술)
1638 니콜라 말브랑슈(Nicolas Malebranche, 1638-1715),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 기회원인론자, 오라토리오회(la congrégation de l'Oratoire) 신부.
1638 데카르트와 보그랑(Beaugrand) 사이의 학설에 대해 메르센이 논쟁에 끼어들다. / 원주가 직선화 문제: 원을 굴리면 직선위에 일회 순환한다. 그렇다고 원주가 직선이 되는가? La cycloïde droite, aussi appelée roue d'Aristote ou roulette de Pascal, / Le mot vient du grec κυκλος (« cercle, roue ») 이 문제는 메르센이 1634년에 제기했다고 한다.
1638 스테노(Niels Stensen, lat. Nicolas Steno, dan. Niels Steensen, fr. Nicolas Sténon, 1638-1686) 덴마크 해부학자, 지질학자, 덴마크 주교. Discours sur l'anatomie du cerveau, 1669)
1639 르 발르와(Louis Le Valois 1639–1700), 제수이트 필명(M. de La ville) 데카르트를 이단으로 공격한자. 마남사냥은 여기도 있다.
1640 파커 (Samuel Parker, 1640-1687) 영국 신학자. 옥스퍼드 주교. 데카르트 반대자.
1646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1649 바이예(Adrien Baillet, 1649–1706) 프랑스 신학자 문인, 데카르트 최초 전기작자. La vie de monsieur Descartes, 1691)(Paris, Hortemels, 1691)
1649 다니엘(Gabriel Daniel, 1649-1728) 프랑스 제수이트로서 사료편찬자. Voyage du monde de Descartes(1690),
1650 파르델라(Michel-Ange Fardella / Michelangelo Fardella, 1650–1718) 이탈리아 시실리 과학자, 데카르트와 말브랑쉬의 영향을 입은 철학자, 수학자. Universae philosophiae systema, in qua nova quadam et extricata Methodo, Naturalis scientiae et Moralis fundamenta explanantur, Venezia, 1691.
1657 바렌펠스(Samuel Werenfels 1657-1740) 스위스 신학자. 스위스 바젤 대학 교수. Judicium de argumento Cartesii pro existia Dei. 1699(익명으로)
1793 샤슬(Michel Chasles, 1793-1880) 프랑스 수학자, 사영기하학 작업이 중요하다. 기하학적 방법의 기원과 발전에 관한 역사적 고찰(Aperçu historique sur l'origine et le développement des méthodes en géométrie, 1837)
1843 딴네리(Paul Tannery, 1843-1904) 프랑스 과학사가. 데카르트 전집 출판.
1848 브로샤르(Victor Brochard, 1848-1907) 프랑스 철학자. 1868년 ENS 3등 입학, 1872년 철학자격시험도 3등. De l'Erreur(박사논문, 1879년 출판). - 벨기에 문학비평가인 꼼파뇽(Antoine Compagnon, 1950-)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소돔과 고모라」 속에서 브로샤르는 브리쇼(Brichot)라는 인물의 모델이라 한다.
방법서설과 제1성찰(Discours de la méthode et première méditation, 1881)(Avec une notice biographique, une analyse des notes historiques et philosophiques par Victor Brochard 1881). /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스피노자의 미학(Le traité Des passions de Descartes et L'éthique de Spinoza, Revue de Métaphysique et de Morale4(4): 512 - 516 (1896)
1857 아당(Charles Adam, 1857-1940) 프랑스 대학교수. 철학사 작업이 많다. 딴네리(Paul Tannery)와 데카르트 전집판을 냈다.
1869 브룅슈비끄(Léon Brunschvicg, 1869-1944), 프랑스 과학철학자, 철학사가. 칸트와 스피노자 경향의 관념론 철학자. 그는 1893년에 레옹(Xavier Léon, 1968-1935)과 알레비(Élie Halévy)와 함께 Revue de métaphysique et de morale 창간. [벩송이 글을 싣기 위해(1903) 레옹에게 편지했구나.].
1873 르화(Maxime Leroy, 1873-1957), 프랑스 역사가, 사회법학자. Descartes, le philosophe au masque (2 volumes, 1929).
1906 알끼에(Ferdinand Alquié, 1906–1985) 프랑스 철학자. 1931년 철학교수 자격 1등. 플라톤, 데카르트, 칸트 연구자.
1937 글뤽스만(André Glucksmann, 1937-2015), 아셰키나즈 유대 가정(오스트로 헝거리계), 1950년 프랑스에 남다. 프랑스 철학자, 수필가. 초기에는 극좌이었으나 말기에는 신자유주의자(néolibéral)가 되었다. 68년 5월에 서른으로 참여했으며 스스로 좌파라고 했지, 마오주의자가 아니라고 한다. Descartes, c’est la France, 1987
1945 아쭈비(François Azouvi, 1945-) 멕시코 태생 프랑스인 철학자, 역사가. 파리1대학에서 공부, Descartes et la France, 2002, La gloire de Bergson. Essai sur le magistère philosophique, 2007 .
1946 마리옹(Jean-Luc Marion, 1946-), ENS, 철학교수자격, 카톨릭, 프랑스 철학자, 대학교수, 현상학 계보(후설, 하이데거), 2008년 아카데미 회원. / 폴란트 아셰키나제 출신 파리대주교 뤼스튀거(Jean-Marie Lustiger, 1926-2007)의 측근.
1949 뷔종(Frédéric de Buzon, 1949-) 스트라스부르 대학 교수. La science cartésienne et son objet - mathesis et phénomène, 2013
1954 가우크로게(Stephen Gaukroger, 1954-) 오스트레일리아 철학자. 데카르트, 지적 전기 (Descartes, an intellectual biography, 1995)
1957 까로(Vincent Carraud, 1957-), 파리-소르본 대학 근대 철학사 교수, 데카르트 연구소 소장. Descartes et les « Principia » II : corps et mouvement, 1994(Paris, PUF (Philosophie), 1994, 128 p. (avec Frédéric de Buzon)
*
1926 최명관(1926-2007) 숭실대 교수, 데카르트 소개, 그리고 말년에 들뢰즈/가타리의 “안티외디푸스”를 번역하였다.
1960 김상환(1960-) 서울대 교수, 데카르트로 프랑스에서 박사학위. 데카르트에서부터 현상학적 관심
1960 이현복(李鉉福, 1960-) 경북대 학사, 오스트리아 석박. <University of Innsbruck 1990, Wolfgang Roed.>
(4:10, 50RLH) (5:26, 56MKG) (7:04, 56VMD) (10:41, 56WLG)
###
데카르트(Descartes, 1596-1650) (ms 12/04/02)
Elisabeth Clément, Chantal Demonique, Laurence Hansen-Løve, Pierre Kahn, Pratique de la philosophie de A à Z, Hatier, 1995(1994), P.384.
[개요]
뚜렌느 지방의 라 플레쉬(La Flèche)에서 교육을 받은 후, 데카르트는 수학만이 관념의 명석함과 이성의 확실성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그는 보편 수학[Mathesis]의 원리에 따라서, 인식을 통일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알아야 할 모든 대상들은 수학적 공리와 같은 방식으로 '계열화되어 있다(s'entresuivre).' 이 보편 수학은 지식[학문]의 보편성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지식의 보편성이란 자연의 통일성 위에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상의 다양성이 어떤 것이라 할지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대상에 적용할 수 있는 정신의 통일성에서 성립한다. [베르그송은 『창조적 진화』제 3장에서 학문의 단일성과 그 도구로서 인식의 단일성에 이란 두 가지의 단일성이 선결문제의 오류에 빠져있다고 지적한다.]
방법: 직관과 연역
그러므로 우선 중요한 것은 방법이다. 모든 인식을 이성의 유일한 질서에 복종시키는 방식이 필요하다. 그래서 세 가지 과학 논문[기하학, 광학, 기상학]의 서문으로 쓰여진 『방법서설(Discours de la méthode, 1637)』에서 데카르트는 4가지 규칙을 발설한다.
먼저 명증성(l'évidence)은 이 방법의 원리이다. 명증성은 주의 깊은 정신이 부여한 확실함에 대해 의심을 하지 못하도록 진리로서 인정하게 하는데 있다. 그리고 그다음으로 다른 세 가지 규칙이 이 방법의 작업에 관여한다.
무엇보다 먼저 아직 모르는 크기를 방정식으로 작업하는 수학적 방식에 영감을 얻은 분석(l'analyse)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까지 작은 부분들로 나누는 작업이다.
그러고 나서, 단순한 것, 즉 가장 쉽게 잘 알 수 있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복잡하고 복합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종합(la synthèse)가 있다. 이것은 유크리트의 『기하학 원론(Eléments)』에서 기하학이 연역적 순서로 따라가는 것을 표본으로 삼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성에 의해 [사물의] 연쇄계열을 다시 열거(la récapitulation)하는 것으로, 정신이 한눈에[단번에] 표상하기 위해서이다. [이 전체를 매거하는 것은 당연히 진리의 전제이다.] 그래서 명증성은 모든 진리의 모델이 되며, 진리는 명증성이다. 이 명증성은 직관에 의해서 파악되고, 방법의 3번째 규칙(종합)에 부합하며, 그래서 진리는 명증성에서 연역된다.
우리가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하여 이 규칙들을 따르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우리의 자유재량[자유의지] 때문이다. 만일 오류를 범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의지, 다시 말하면 판단하는 우리 능력이 무한하고, 유한한 오성(l'entendement)의 명석 판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이 오성의 한계를 분명하게 밝히는 작업은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에서 이루어 질 것이다. 자유의지나 우리의 인식 능력의 무한함이 오류의 가능성이라기보다 진리 생성의 권능(또는 창조의 가능성)으로 개방성을 주장하는 것은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에서 표출될 것이다.]
의심(회의, le doute)
의심할 수 없는 것을 명백히 밝히는 최상의 수단은 체계적 의심을 거치고 난 뒤에 진리를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데카르트의 의심은 정신이 불확실성에 사로 잡혀있는 자발적 의심과 다르다. 데카르트의 의심은 또한 판단 중지를 지혜의 결정적 규칙으로 삼는 회의주의의 의심과도 다르다. 그의 의심은 방법적이고 임시적이다. 그것은 진리에 접근하려는 수단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비판적 기능이며 어원적으로 보아 경계설정의 기능이다. 그래서 그 수단을 통하여 확실함과 의견[속견]을 구별할 수 있다. 이리하여 데카르트는 매우 야심적인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이미 진리라고 주장된 과거의 모든 유산을 거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흔들리지 않는 토대 위에 앞으로 올 과학을 결정적으로 보증하려고 하였다.
코기토(le cogoto): 나는 생각한다.
의심을 통하여 분명하게 밝힐 수 있는 첫 번째의 확실함은 사유의 확실함 즉 코기토 "나는 생각한다"이다. 세가지 계기가 이 확실함을 구성한다. 첫째로 확실함은 "내가 있다. 내가 존재한다(je suis, j'existe)"이다. 의심은 이 확실함을 공격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의심이 확실함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심한다는 것, 그것은 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의심은 사유의 양상(modalité)이기 때문에, 나는 내가 생각하는 만큼("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나의 존재를 확신한다. 셋째로 그러므로 나는 하나의 영혼이다. 데카르트는 영혼을 생명(la vie)의 모호한 원리로서가 아니라 사유하는 실체(res cogitans) 또는 사유하는 사물로서 규정한다. 사유 주체의 자신에 대해 무매개적으로 현전(la présence)하는 의식은 이리하여 모든 가능한 진리의 근거가 된다.
선천성과 이원론(Inneisme et dualisme)
이 코기토로부터 두 가지의 귀결이 나온다. 첫 번째로 인식이 전자의 밖에서 그 기원을 찾지 않는다면 그것은 명석판명하며 진실한 관념은 선천적(innée)이다. 둘째로 의심의 방법과정에서 나는 순수사유를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영혼과 신체, 즉 정신과 물질을 따로 분리해야 한다. 영혼과 신체는 두 개의 실체이며, 이들의 본질은 절대적으로 다르다. 하나는 즉 사유이며, 비물질적이며, 다른 하나는 기하학적 순수 너비(l'étendue pure)이며, 보편기계로 환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유 주체에 마주하고 있는 세계는 물질적이고 기계적인 것으로 영혼이 없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사상들이 자연에 부여하고자 했던 의도도 신비적(occulte) 힘도 없다. 이 기계적 세계는 수학적 탐구에 종속되고, 자연의 지배자이자 소유자로서 기술자의 기획에 지배받고 있다.
신
데카르트는 우리 속에 있는 완전한 관념으로부터 신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했다. 이 관념은 오성에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명석 판명한 관념이다. 그리고 오성은 자신의 고유한 힘으로는 이 관념을 생각할 수 없다. 왜냐하면 오성 그 자체는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완전한 존재는 우리의 정신 속에 있는 완전한 관념의 원인이다. 신은 두 번째의 확실성이며 사유하는 주체의 확실성으로부터 도출된다.
그러나 또한 세계는 신에게로 인도할 수 있을 것이다. 데카르트는 여전히 과학의 관심과 종교의 관심을 화해시키려고 시도했다. 즉 기계적 자연조차 신적 "기술자"를 함축하고 있지 않은가? 정확히 말하자면 세계는 순수 기계론적이기 때문에 세계는 그 자체로서 존재할 수 없고 세계는 신적 창조("연속적 창조"이론)에 항구적으로 매달려 있다.
도덕과 정념
만일 영혼, 세계, 신에 관해서 반성하는 형이상학이 지식의 나무의 뿌리를 구성한다면 물리학은 나무의 줄기이고, 역학과 의학과 도덕학은 나무의 가지들이다. 그러므로 도덕학은 이미 구성된 지식의 전체로부터 연역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형이상학과 물리학의 확실성을 발견한 시대를 가정한 것이며, 이런 확실성으로부터 도덕론은 그 자체로 자기 자신의 본성을 지배할 수 있다는 인간 품성(행동)의 과학으로 연역될 수 있고 생겨날 수 있다. 그 때까지는 잘 행동하고 품성(행동)의 규칙에 복종해야 한다. [규칙이 완성되기 전에는 일반적인 관습의 방식에 따라서 평소대로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를 데카르트는 주장한다.] 여기서 임시적인 도덕의 관념이 나온다, 이 도덕관념이란 확실하지 않지만 그럴듯할 뿐만 아니라, 실용적 목적에 부합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래서 이 신중함의 규칙은 데카르트에게 자신의 철학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조용함을 얻을 목적으로 나온 것이다.
결정적인 도덕론의 목적은 행복을 위하여 영혼의 정념(passion)과 감화(affection)에 대한 인식일 것이다. 정념은 신체적 매카니즘의 자발적(involontaire)운동의 결과이며 영혼에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반면에 의지적(volontaire)운동의 경우에 영혼은 신체에 작용하고 권고한다. 그래서 정념에 의해 생겨난 표상들은 자연히 혼동되어 있어 진리의 탐구를 모호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자유의지의 결과에 의해서 정념을 막을 수 있거나 "치유(guerir)"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관심에 따라 이용할 수 있고 이성에 의해 절제할 수 있다. 우리의 생각들을 변경시키면서 우리는 우리 신체를 변모시킬 수 있고 우리 정념을 평화롭게 할 것이다.
* 주요저서: 『정신의 지도를 위한 규칙들(Règles pour la direction de l'esprit, 1628)』, 『방법서설(Discours de la méthode, 1637)』, 『형이상학적 성찰(Méditations métaphysiques, 1641)』, 『철학원리(Principes de la philosophie, 1644)』, 『영혼의 정념론(Traité des passions de l'âme, 1649)』
***
데카르트(Descartes, 1596-1650)
Didier Julia, Dictionnaire de la philosophie, Larousse, 1988, p. 61.(P.304)
사전 번역에 데카르트를 빠뜨리다니 ... 있(믿)을 수가 없네 (50R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