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광주정씨 화이팅 원문보기 글쓴이: 정철중(23세)
□ 강령현(康翎縣)
- 1428년(세종 10) 영강과 백령을 합하여 강령현으로 하고, 해주 남쪽을 예속시켜 현의 치소를 사천(蛇川)에 옮기고 진을 설치하였다. 그 뒤 해주와 옹진에도 속하였으나, 1895년(고종 32) 해주부 강령군, 1896년 황해도 강령군이 되었고, 1909년 옹진군에 병합되어 여러 면이 되었다.
- 동쪽에 해주만, 서쪽에 마산반도와의 사이에 강령만이 있고, 북쪽에는 황포(黃浦)바다가 있으며, 순위도(巡威島)·용호도(龍湖島)와 휴전선 이남에 대연평도(大延坪島) 등이 있다. 황해 연안 어장에 접해 있어서 앞바다에는 조기, 갈치, 삼치, 까나리, 가자미 등 어족이 풍부하다. 또한 김, 다시마를 기본으로 하는 천해양식기지가 있다.
□ 관청하기(官廳下記)
- 관아에서 공적으로 기록한 회계지출부를 "관하기"라 부르는데, 관아내의 각 부서별로 따로 기록하였다. 여러 기관 중 물품을 보관‧관리하는 기관(부서)에서 기록하고 단순히 배분받아 사용하는 부서는 관하기를 기록하지 않았다. 지방관아의 경우, 관청하기, 현사하기, 공고하기 등이 있다. 이에 반해 사적으로 사용한 하기를 “용하기(用下記)”라 부른다.
- 관하기의 백미는 관청하기로, 관청은 관아소요의 각종 식품의 저장 관리와 수령, 연회, 접객에 대한 음식의 조리와 공급을 담당하였으므로 작성당시의 식생활 문화를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 본 강령현의 관하기의 기록은 이방이 책임자로서 서명하였고 수령이 확인하였다. 매일 기록은 이어붙이기를 한 후, 월말에 월중기록을 접어서 한지 끈으로 꿰어 묶은 것을 풀어 펼친 것이다.
- 천혜의 어장을 앞바다에 두어서인지 해산물이 풍부하다. 앞바다 연평도는 황금의 조기어장이고, 해주 앞바다 특산의 작은 새우로 담은 곤쟁이 젓갈(감동젓), 백하젓(새우젓), 소라젓 등 젓갈이 풍부하다.
□ 관청하기 연구의 주안점
∙ 관아의 조직현황
∙ 수령의 식단구성과 조리방법, 당시 식생활 풍습
∙ 지방특산물 현황
∙ 월말 재고목록을 통해본 관아의 물품 운용현황
∙ 농수산물의 명칭과 수량, 도량 단위
∙ 이두용어 사용 등
-------------------------------------------------------------------------------------
아래 내용은 관청에서 사용한 물품내용을 며칠 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원(현감)의 식사라고 해서 1인 분이 아니고 때에 따라서 2~3인도 될 수 있다. 이렇게 한 달분을 소비한 총 물량이 하단에 정리된 것이다.
庚申七月官下記(1860年 7月 康翎縣)
(1860.7.2. ~ 7.29.)
- 정수현(鄭秀鉉) 공 강령현감(康翎縣監) 재임기간 : 1857. 6.26 ∼ 1860.11.22
- 기록책임자 : 이방 박몽필(吏房 朴夢弼)
庚申七月初二日下記
○ 朝粥進支
白米 五合 石魚 一介 靑魚醢 二介 熟肉 四兩 眞油 五勺 醬 一合
○ 隨廳* 三時 * 고관의 시중을 드는 일을 하는 곳 白米 二升 八合 豆 六合 生肉 二兩 羹 石魚 一介 醬 五勺
○ 中房 兩時
白米 一升 七合 靑魚醢 一介 石魚 一介 醬 五勺
○ 白米 六合 梅花料
○ 小米 二合 米飮所入 | 경신 7월 2일 하기
○ 아침 죽 진지
백미 5합 * 1되 = 10합(홉) 조기 1마리 * 1합 = 10작 청어절임 2마리 * 1작 : 1 숟갈 쇠고기수육 4냥 * 1근 = 16냥 참기름 5석 장 1합
○ 수청 3시
백미 2되 8합 팥 6합 쇠고기 2냥, 갱(국) 조기 1마리 장 5작
○ 중방(수행비서) 2시
백미 1되 7합 청어절임 1마리 조기 1마리 장 5작
○ 백미 6합 매화 값
○ 좁쌀 2합 저녁 미음 |
○ 三次東軒上
燒酒 一鐥 五盃 石魚 半介
○ 錢 三分 糊價 春心下
○ 東軒上 生竿 六角 鹽 六升
○ 夕粥進支
白米 四合 生肉 二兩 石魚 一介 卵 六介 㷙 眞油 五勺 醬 一合 胡椒 半勺
○ 中房夕 白米 一升 石魚 半介 醬 五勺
○ 白米 二升 食菜茶婢下
○ 小米 一合 狗料下
吏房 朴夢弼 (서명) 官 서명 | ○ 3차 동헌 올림
소주 1선(1주전자) 5잔 조기 반마리 * 1선 = 20잔
○ 현금 3푼 풀 값 춘심에게 지급
○ 동헌 올림 생강 6개 소금 6되
○ 저녁 죽 진지
백미 4합 쇠고기 2냥 조기 1마리 계란 6개 전 부침 참기름 5작 장 1합 후추 반작
○ 중방 저녁식사 백미 1되 조기 반마리 장 5작
○ 백미 2되 채소·차 담당 노비에 지불
○ 좁쌀 1합 개고기 값 지불
이방 박몽필 (서명) 관 서명 |
庚申七月初四日下記
○ 朝粥進支
白米 一升 豆 二合 卵 六介 水卵 石魚 一介 靑魚鹽 二介 眞油 五勺 醬 一合 胡椒 半勺
○ 石魚 一介 東軒上
○ 隨廳 三時
白米 二升 二合 豆 三合 石魚 三介 大蛤價 三分(膾) 菉末 一合(膾) 甘藿 半條 醬 一合 眞油 二勺
○ 錢 三分 餠價 望湖亭*上
○ 中房 三時
白米 一升 七合 石魚 二介 醬 一合 | 경신 7월 4일 하기
○ 아침 죽 진지
백미 1되 팥 2합 계란 6개, 수란(흰자만 익힌 반숙) 조기 1마리 청어절임 2마리 참기름 5작 장 1합 후추 반작
○ 조기 1마리 동헌 올림
○ 수청 3시
백미 2되 2합 팥 3합 조기 3마리 대합가 3푼(회) 녹두가루 1합(회) 미역 반개 장 1합 참기름 2작
○ 현금 3푼 떡값 망호정 올림
○ 중방 3시
백미 1되 7합 조기 2마리 장 1합 |
○ 白米 二升 食菜茶婢下
○ 白米 六合 梅花料
○ 小米 一合 狗料下
吏房 朴夢弼 (서명) 官 서명 | ○ 백미 2되 채소·차 담당 노비에 지불
○ 백미 6합 매화 값
○ 좁쌀 1합 개고기 값 지불
이방 박몽필 (서명) 관 서명 |
* 望湖亭(망호정) : 집무, 접객, 연회를 하는 별채 역할을 함
< 康翎縣監冝印 : 강령현감의인 >
庚申七月十四日下記
○ 朝進支
白米 一升 豆 五合 生肉 一兩 羹 熟肉 二兩 排肉 石魚 一介 眞油 五勺 靑魚醢 二介 醬 一合 胡椒 半勺
○ 隨廳 三時
白米 二升 醬 五勺
○ 中房 兩時 白米 一升 七合 軟鷄 一各 醬 五勺
○ 白米 六合 梅花料
○ 小米 二合 米飮所入
○ 別余祭之物封
曲子 五圓 榛子 三升 又 三升 栗 三升代 又 三升 棗 三升代 | 경신 7월 14일 하기
○ 아침 진지
백미 1되 팥 5합 쇠고기 1냥 국 수육 5냥 배육 조기 1마리 참기름 5작 청어절임 2마리 장 1합 후추 반작
○ 수청 3시
백미 2되 장 5작
○ 중방 식사 2시 백미 1되 7합 연계 1조각 장 5작
○ 백미 6합 매화 값
○ 좁쌀 2합 미음
○ 별여제 봉물
곡자(누룩) 5원 진자(개암) 3되 진자 3되 밤 3되 대용 진자 3되 대추 3되 대용 |
形鹽 三升 鹿脯 三十條(代) 大脯 一丈半 廘醢 三升代 鷄一首 甘藿 二同 甘醬 二升 羔牲 一口代 鷄 五首 燈油 一升
○ 祭官七人 兩時料饌下
白米 九升 八合 軟鷄 七首
○ 夕進支
白米 一升 豆 五合 石花價 一分 㷙 卵 五介 㷙 石魚 一介 眞油 五勺 醬 一合
○ 中房夕 一時 白米 一升 醬 五勺
○ 白米 二升 食菜茶婢下
○ 小米 一合 狗料下
吏房 朴夢弼 (서명) 官 서명 | 소금 3되 사슴포 30조 대용 대포 1장 반 사슴젓 3되 대용 닭 1마리 미역 2동 장 2되 새끼양 제물 대용 닭 5마리 등잔기름 1되
○ 제관 7인 2시진 찬값 지급 * 1인당 백미 1되 4합, 연계 1마리 백미 9되 8합 연계 7마리
○ 저녁 진지
백미 1되 팥 5합 굴 값 1푼 전 계란 5개 전 조기 1마리 참기름 5작 장 1합
○ 중방 저녁식사 백미 1되 장 5작
○ 백미 2되 채소·차 담당 노비에 지불
○ 좁쌀 1합 개고기 값 지불
이방 박몽필 (서명) 관 서명 |
庚申七月二十八日下記
○ 隨廳 三時 白米 二升 八合 豆 六合 生肉 三兩 羹 助置 石魚 一介 眞油 三勺 醬 二合
○ 中房 三時 白米 二升 七合 石花醢 四勺 醬 一合
○ 白米 六合 梅花料
○ 汁醬所入
太 五升 其花里 五升 甘醬 五合
○ 白米 二升 食菜茶婢下
○ 小米 一合 狗料下
吏房 朴夢弼 (서명) 官 서명 | 경신 7월 28일 하기
○ 수청 3시 백미 2되 8합 팥 6합 쇠고기 3냥 국, 찌개 조기 1마리 참기름 3작 장 2합
○ 중방 식사 3시 백미 2되 7합 굴젓 4작 장 1합
○ 백미 6합 매화 값
○ 즙장소(장독대) 입하
콩 5되 쌀기울 5되 간장 5합
○ 백미 2되 채소·차 담당 노비에 지불
○ 좁쌀 1합 개고기 값 지불
이방 박몽필 (서명) 관 서명 |
庚申七月二十九日下記
○ 隨廳 三時
白米 二升 八合 豆 六合 生肉 六兩 灸伊 羹 靑魚醢 三介 眞油 三勺 醬 二合
○ 中房 三時
白米 二升 七合 靑魚醢 一介 醬 一合
○ 白米 六合 梅花料
○ 白米 二升 食菜茶婢下
○ 小米 一合 狗料下
吏房 朴夢弼 (서명) 官 서명 | 경신 7월 29일 하기
○ 수청 3시
백미 2되 8합 팥 6합 쇠고기 6냥 구이, 국 청어절임 3마리 참기름 3작 장 2합
○ 중방 식사 3시
백미 2되 7합 청어절임 1마리 장 1합
○ 백미 6합 매화 값
○ 백미 2되 채소·차 담당 노비에 지불
○ 좁쌀 1합 개고기 값 지불
이방 박몽필 (서명) 관 서명 |
例下秩
白米 一石 二斗 四升 鄕廳 陳鷄(眞鷄) 四十五首 二各 鄕廳 醬 一斗 八升 鄕廳 眞油 一升 鄕廳 法油 一升 鄕廳 眞末 三升 作廳 法油 二升 作廳 法油 一升 秋廳 又 一升 詳定房 又 一升 都將房 又 一升 將廳 又 一升 通引房 又 一升 官廳 又 一升 官奴廳 又 一升 司令廳 又 一升 吸唱房 又 四合 五夕 望湖亭 月初一日 至十五日置 眞荏 三升 公須雜下 鹽 三升 公須雜下 白米 五升 醋巨里下 曲子 五升 醋巨里下
已上 白米 二石 十二斗 四升 八合 豆 一斗 九升 八合 生肉 八斤 卵 八十七介 小加乙伊 十一竹 | 지급목록
백미 1석 2말 4되 향청 진계 45수 2각 향청 장 1말 8되 향청 참기름 1되 향청 들기름 1되 향청 밀가루 3되 작청 들기름 2되 작청 들기름 1되 추청 들기름 1되 상정방 들기름 1되 도장방 들기름 1되 장청 들기름 1되 통인방 들기름 1되 관청 들기름 1되 관노청 들기름 1되 사령청 들기름 1되 흡창방 들기름 4합 5석 망호정 초일부터 15일분 들깨 3되 공수잡 소금 3되 공수잡 백미 5되 주막거리 지급 누룩 5되 주막거리 지급
이상 백미 2석 12말 4되 8합 팥 1말 9되 8합 쇠고기 8근 계란 87개 가오리 11죽 |
靑魚醢 三十四介 石魚 十八束 五介 眞油 七升 五合 九夕 胡椒 一合 一勺 半 膾 一斤 十兩 小米 四升 八合 陳鷄(眞鷄) 五十首 餞 三錢 七卜 熟肉 一斤 十兩 生竿 十一角 鹽 一斗 八升 菉末 一合 五勺 甘藿 五同 一條 生淸 二勺 曲子 五同 二圓 五升 榛子 二斗 軟鷄 三十一首 一各 小螺醢 二合 九勺 法油 一斗 四升 四合 大脯 六貼 四丈 白蝦醢 二合 二勺 民魚 六尾 五片 眞末 八升 石魚醢 三介 民卵 二十一部 足 二通 交沉醢 四升 五合 骨魚醢 四升 五合 太 五升 其花里 二升 牟粉 一升 | 청어 34마리 조기 18속 5마리(185마리) 참기름 7되 5합 9석 후추 1합 1작 반 생선회 1근 10냥 좁쌀 4되 8합 닭 50마리 현금 3전 7복 수육 1근 10냥 생강 11개 소금 1말 8되 녹두가루 1합 5작 미역 5동 1조 꿀 2작 누룩 5동 2원 5되 진자(개암) 2말 * 밤 대용 연계 31마리 1각 소라젓 2합 9작 들기름 1말 4되 4합 대포 6첩 4장 새우젓 2합 2작 민어 6마리 5토막 * 1미 = 20편 밀가루 8되 조기절임 3개 민어란 21부 쇠족 2통 조침젓(잡젓) 4되 5합 골어젓(까나리젓) 4되 5합 콩 5되 기울(겨) 2되 보리가루 1되 |
石花醢 四夕 燒酒 十二鐥 甘醬 三斗 七升 四合 五勺 眞荏 三升 | 굴젓 4석 소주 12선 간장 3말 7되 4합 5작 들깨 3되 |
* 公須雜(공수잡) : 재정과 회계업무 담당 색리가 근무하는 곳
* 진계(陳鷄)는 큰닭(成鷄) 연계(軟鷄)는 중닭
첫댓글 수정 : 골어젓(까나리젓) --> 골어젓(꼴두기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