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소기회본(大乘起信論疏記會本)
https://kabc.dongguk.edu/content/view?itemId=ABC_BJ&cate=bookName&depth=3&upPath=Z&dataId=ABC_BJ_H0020_T_001
마명보살이 논을 지음(馬鳴菩薩造論)
양나라 천축삼장 진제가 한역함(梁天竺三藏眞諦譯)
해동사문 원효가 소를 지음【『별기』를 병기하였다.】
[일러두기]
1. 대승기신론소기회본은 다음의 체계로 되어 있는데, 내용과 분량을 고려하여 모두 28개의 장으로 나누었다.
2. 대승기신론소기회본에서는 서술의 내용과는 별개로, 큰 주제이거나 그것에 속하는 작은 주제이거나 간애, 어떤 주제를 서술할 때마다 글을 서술하는 방식에 관해서 언급해 두었다.
한글 번역본에서는 내용을 나타내는 제목과 함께, 서술하는 방식들에 대해서도 제목을 붙여 두었다.
그런데 여기서는 서술 방식에 관한 제목들은 빼고, 내용을 중심으로 제목을 제구성하였다.
[구성]
1. 대승기신론소기회본의 전체 체계는 다음과 같다.
종체[1] | | | |
제명[1] | | | |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1] | 삼보에 귀경함[2] | | |
논을 지은 뜻[3] | | |
논의 체를 정립함 개관[4] | 인연분[5] | |
입의분 개관[6] | 법장문(진여문, 생멸문) |
의장문 |
해석분 개관[7] | 현시정의 | 진여문[8] |
생멸문[9-18] |
의장문[19] |
생멸에서 진여로[20] |
대치사집[21] |
분별발취도상[22] |
수행신심분[23-26] |
권수이익분[27] |
총결과 회향[28] | |
(* ‘[1]’ 등은 재구성한 목차의 장 번호임)
2. ‘[1]’ 등은 내용을 재구성하여 붙인 목차의 장 번호이다.
[목차]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제1권
1. 총론
1.1. 종체
1.2. 제명
1.2.1. 대승, 큰 바퀴
1.2.2. 기신, 믿음을 일으키다
1.2.3. 논
1.2.4. 총괄
1.3.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2. 삼보에 귀경함
2.1. 삼보에 귀경함
2.1.1. 귀의하는 주체의 모습
2.1.2. 귀의해야 할 대상의 덕
2.2. 불보를 찬탄함
2.2.1. 심덕을 찬탄함
2.2.2. 색덕을 찬탄함
2.2.3. 사람을 들어 찬탄을 끝맺음
2.3. 법보를 찬탄함
2.3.1. 부처를 들어 그 법을 취함
2.3.2. 법보의 체상을 나타냄
2.4. 승보를 찬탄함
2.4.1. 덕을 들어 사람을 취함
2.4.2. 행덕을 찬탄함
3. 논을 지은 대의
3.1. 아래로 중생을 교화함
3.1.1. 법을 의심하는 것을 제거함
3.1.2. 교문을 의심하는 것을 제거함
3.1.3. 일심법, 진여문과 생멸문
3.1.4. 삿된 집착인 인집과 법집을 버림
3.2. 불도를 넓힘
4. 논의 체를 정립함
4.1. 일심법이 대승의 신근을 일으킴
4.2. 논의 다섯 가지 부문
5. 인연분
5.1. 이 논을 지은 인연 여덟 가지
5.1.1. 총상인
5.1.2. 별상인
5.2. 경의 내용을 거듭 설명하는 까닭
5.2.1. 중생의 근기와 행동이 같지 않다
5.2.2. 부처님이 세상에 게실 때와 돌아가신 때는 경우가 다르다
5.2.3. 이 논은 네 번째 사람을 위하여 지은 것이다
6. 입의분
6.1. 법과 의
6.1.1. 법, 세간법과 출세간법
6.1.2. 의의 종류, 체ㆍ상ㆍ용
6.2. 법장문
6.2.1. 법, 중생심과 일심
6.2.2. 진여문과 생멸문
6.2.3. 상ㆍ용의 두 가지 뜻
6.3. 의장문
6.3.1. 대의 뜻
6.3.2. 승의 뜻
7. 해석분 개관
7.1. 해석분의 세 가지
7.2. 현시정의의 두 가지, 심진여문과 심생멸문
7.3. 진여문과 생멸문의 관계에 관한 의문들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제2권
8. 진여문
8.1. 개관
8.1.1. 진여, 진여의 상
8.1.2. 말을 끊는다는 것
8.2. 진여
8.1.1. 심진여, 일법계의 대총상법문인 체
8.2.2. 진여의 체
8.2.3. 진여의 이름
8.2.3. 수순하여 들어가는 방편
8.3. 진여의 상
8.3.1. 여실공과 여실불공
8.3.2. 공
8.3.2. 불공
9. 생멸문
9.1. 심생멸, 생멸인연, 생멸상
9.2. 체에 의하여
9.2.1. 생멸의 체
9.2.2. 생멸의 상
9.2.3. 생멸의 이름
9.3. 뜻에 의하여
9.3.1. 심과 식의 뜻
9.3.2. 심과 식의 용법, 경들에서 살핀
10. 각의 개관
10.1. 각과 불각
10.2. 본각과 사각
10.2.1. 본각
10.2.2. 사각
10.3. 불각
10.4. 본각과 불각의 관계에 대하여
10.5. 본각성과 염ㆍ정의 인성의 관계에 대하여
11. 사각
11.1. 사각의 뜻
11.1.1. 구경각과 국경각이 아닌 것
11.1.2. 불각, 상사각, 수분각, 구경각
11.2. 네 가지 상, 생주이멸
11.2.1. 네 가지 상에 순서가 있는가?
11.2.2. 네 가지 상의 차별
11.2.3. 네 가지 상의 일어남
11.3. 4상에 의하여 4위를 분별하다
11.3.1. 범부 정도의 사람, 10신의 지위
11.3.2. 발심주의 사람, 상사각
11.3.3. 초지 이상 10지의 보살, 수분각
11.3.4. 보살지가 다한 정도의 사람, 등각불, 구경각
11.4. 시각이 본각과 같아서 생멸을 여의었다?
11.4.1. 상주와 상속
11.4.2. 생멸과 상주가 서로 방해되지 않는다
11.4.3. 잘 보는 것이 불지에 향함이 된다
11.5. 사각과 본각이 다르지 않다
11.5.1. 구경각상을 거듭 밝힘
11.5.2. 시각이 본각과 다르지 않음을 밝힘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제3권
12. 본각
12.1. 수염본각
12.1.1. 지정상
12.1.2. 부사의업상
12.1.3. 지정상의 분별
12.2. 성정본각
12.2.1. 성정본각의 체, 각체상
12.2.2. 성정본각의 상
12.2.3. 인훈습과 연훈습
13. 불각
13.1. 근본불각
13.1.1. 불각이 본각에 의하여 성립됨
13.1.2. 본각도 불각에 의지함
13.2. 지말불각
13.2.1. 삼세상
13.2.2. 추상
13.4. 종합
14. 각과 불각의 두 가지 상
14.1. 동상과 이상
14.2. 동상
14.3. 이상
15. 심생멸의 인연, 의와 의식
15.1. 개관
15.2. 마음에 의하여, 알라야식
15.3. 의가 전변하기 때문
15.3.1. 의가 전변함
15.3.2. 전변하는 상을 자세히 나타냄
15.3.3. 마음에 의한다는 뜻을 결론 맺어 밝힘
15.4. 의식이 전변하기 때문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제4권
16. 인연의 체상
16.1. 인연의 매우 깊음을 간략히 밝힘
16.2. 인연의 차별을 자세히 나타냄
16.2.1. 심성인의 체상을 밝힘
16.2.2. 무명연의 체상을 나타냄
16.2.3. 염심의 제연의 차별을 밝힘 : 육염심
16.2.4. 무명을 다스려 끊는 지위를 나타냄
16.2.5. 상응과 불상응의 뜻을 해석함
16.2.6. 지애와 번뇌애의 뜻을 구별함
17. 생멸상
17.1. 생멸의 추와 세의 상
17.2. 생멸의 뜻
17.2.1. 생하는 원인
17.2.2. 멸하는 뜻
18. 훈습
18.1. 개관
18.2. 염훈습
18.2.1. 망경계 훈습, 증장념훈습과 증장취훈습
18.2.2. 망심훈습, 업식근본훈습과 증장분별사식훈습
18.2.3. 무명훈습, 근본훈습과 소기견애훈습
18.2.4. 각 훈습의 용법
1) 증장념, 증장취, 업식근본훈습
2) 증장분별사식훈습, 근본훈습, 소기견애훈습
18.3. 정훈습
18.3.1. 망심훈습
18.3.2. 진여훈습
18.4. 훈습이 다함과 다하지 않음의 뜻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제5권
19. 의장문
19.1. 진여의 체와 용
19.1.1. 진여의 체대
19.1.2. 진여의 용대
19.1.3. 체와 용의 두 가지
19.2. 용대
19.2.1. 응신과 보신
19.2.2. 응신
19.2.3. 보신
19.3. 문답하여 의심을 제거함
20. 생멸문에서 진여문으로
21. 삿된 견해를 대치함
21.1. 개관
21.2. 인아견
21.3. 법아견
21.4. 망집을 끝까지 다 여읨
22. 발취분(1)
22.1. 개관
22.1.1. 대의
22.1.2. 발심의 세 가지
22.2. 신성취발심
22.2.1. 처음 발심한 것의 세 가지
22.2.2. 믿음을 성취시키는 행실
22.2.3. 행위가 이루어져 발심한 상
22.2.4. 발심하여 얻는 공덕
22. 발취분(2)
22.3. 해행발심
22.4. 증발심
22.4.1. 증발심과 보살의 지위
22.4.2. 제10지의 성만의 공덕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제6권
23. 수행신심분
23.1. 사람을 들어 대의를 간략히 나타냄
23.2. 법에 의하여 행상을 자세히 분별함
23.2.1. 신심의 네 가지
23.2.2. 수행의 다섯 가지 문
23.2.2. 장애를 제거하는 방법
24. 지관문(1)
24.1. 지관문
24.1.1. 지관문을 수행하는 법
24.1.2. 사마타와 비발사나
2) 네 가지 비발사나
24.2. 지
24.2.2. ‘지’를 닦는 방법
24.2.1. ‘지’를 닦는 수승한 능력
25. 지관문(2), 마구니 짓
25.1. 마구니의 개관
25.1.1. 마구니의 종류와 짓는 일
25.1.2. 마구니를 대치함
25.1.3. 마구니 짓의 차별, 대치함, 진위의 구별
25.2. 마구니 짓의 차별
25.2.1. 다섯 쌍의 열 가지 일
25.2.2.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시험의 세 가지 방법
25.2.3. 옳고 그름의 갈림길
25.3. 대치함
25.4. 진위를 간별함
25.4.1. 안팎을 들어서 사ㆍ정을 분별함
25.4.2. 이ㆍ사에 대하여 진위를 간별함
26. 지관문(3)
26.1. 지를 닦아 얻는 열 가지 이익
26.2. 관
26.2.1. 관의 개관
26.2.2. 관을 닦는 방법
26.2.3. 닦기를 권장함을 총결함
26.3. 지와 관
26.3.1. 지와 관을 함께 수행함
26.3.2. 지관의 수행의 모양
26.3.3. 총결함
26.4. 불퇴전의 방편
27. 권수이익분
28. 총결하여 회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