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미의 보석 콜롬비아(Colombia)
1. 해방신학(解放神學/Liberation Theology)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주교님 1,2 / 로메로 주교님 1,2
중남미에서 혁명의 불씨를 지핀 카스트로(Fidel Castro)와 체 게바라(Che Guevara)를 쓰면서 그와 같은 선상(線上)에 있는 남미의 해방신학(解放神學/Liberation theology)에 관하여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해방신학(解放神學/Liberation theology)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와 콜롬비아 메데인(Medellin)에서 열린 제2차 라틴아메리카 주교회의(메데인 회의/1968년) 이후 중․남미 대륙에서 시작된 진보적인 가톨릭 신학운동으로, 민중(民衆)이 지주(地主)들과 군사독재정권으로부터 착취와 억압을 받는 것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운동이다.
이 운동의 뿌리는 페루(Peru) 출신의 신학자이며 가톨릭 사제였던 구스타보 구티에레스(Gustavo Gutiérrez)가 쓴 ‘해방신학(1917)’ 이라는 책인데, 구티에레스는 이후 ‘해방신학의 아버지’로 추앙받는다.
1960년대 말, 중남미(中南美) 등 제3세계를 중심으로 일어난 민중 해방운동에 바탕을 둔 가톨릭 해방신학은 가난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경제적 착취, 정치적 탄압, 제국주의의 횡포 등 하느님의 창조 질서에 어긋나는 모든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 가톨릭 교인들의 임무라고 믿는 신학이다.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일부 혁신적인 신학자들과 가톨릭 사제들이 ‘하느님은 민중의 편에 서시는 민중의 하느님’이라는 슬로건으로 해방신학을 표방하자 로마 가톨릭은 전통적인 교의(敎義)의 유지를 주장하는 보수적 입장에서 해방신학을 마르크시즘(Marxism)과 유사한 것으로 간주하여 엄격히 단속하였다.
그리스도의 복음을 사회정치적으로 이해하는 해방신학은 전통적인 교리를 위협하는 반(反)기독교적 사상으로 여겨 탄압하였던 것이다.
1978년 교황으로 선출된 고(故)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회 현장에서 사목하는 진보 성향의 사제들을 대폭 보수적인 사제로 교체하였고, 브라질에서는 1980년 진보성향의 엘데르 카마라 대주교를 강제 은퇴시키고 보수적인 대주교로 교체했다. 새로 임명받은 대주교는 성직자 교육기관 폐쇄, 해방신학 성격의 신학교 교수 해고 등으로 해방신학을 탄압하였다.
해방신학을 언급하며 또 한 분 빼 놓을 수 없는 분이 엘살바도르(El Salvador)의 오스카 로메로(Óscar Arnulfo Romero/ 1917~1980) 주교님이시다. 남미 해방신학의 상징적 인물로 추앙받는 로메로 주교님은 1980년 엘살바도르 우익 군사정권에 맞서 저항하다가 미사 도중 총을 맞고 사망한다.
1993년, 할리우드의 존 듀이건 감독은 이 총격사건을 영화로 만드는데 제목이 ‘로메로’로, 이 사건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암살된 로메로 주교는 로마교황청에서 복자(福者)로 추대하기로 결정하여 곧 시복식(諡福式)이 있을 예정이라고 한다.
중남미 여러나라들은 200여 년간 스페인 및 포르투갈의 가혹한 식민정치를 겪었고, 20세기 들어 대부분 독립을 쟁취하지만, 미국을 등에 업은 자본주의의 팽배로 우익정권이 들어서면서 식민시대보다 더 가혹한 경제적 착취와 억압에 시달리게 된다.
해방신학은 권력을 가진 자들의 횡포와 착취로부터 해방되고자하는 순수한 출발이었지만 유럽의 식민정책, 식민지배로부터의 해방 이후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데올로기 충돌, 미국을 필두로 한 자본주의의 득세로 더욱 심해진 경제적 착취 등으로 끊임없는 고통에 시달리는 민중들 속으로 파고든다.
이 자본주의 횡포로 부터 벗어나고자 혁명의 선봉에 섰던 대표적인 이가 카스트로와 체 게바라인데 결국 중남미 반미(反美) 공산정권 수립의 빌미가 되어 중남미 대부분 나라들이 공산화로 기울게 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그러나 공산주의는 이상(理想)과는 달리 독재정권을 낳았고, 극심한 경제적 궁핍을 가져와 오늘날까지도 중남미의 나라들은 가난에 허덕이고 있다.
1980년, 엘살바도르에서 로메로 주교님이 미사도중 총격으로 사망한 그해 우리나라에서는 광주 민주화운동이 일어났으니 세계사는 동서를 막론하고 유사한 흐름이 있는 것 같다.
우리나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天主敎正義具現全國司祭團/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들로 구성된 가톨릭 사회운동 단체로 언뜻 해방신학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되지만 전연 별개이다. 이는 한국 로마 가톨릭의 사조직(私組織)으로 천주교의 공식 입장은 아니다.
이 단체는 1974년, 천주교 원주교구의 교구장이었던 지학순 주교가 군사정권에 항거하던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민청학련사건/民靑學聯事件)에 연루되어 구속되자 이를 계기로 결성된 단체이다.
이 정의구현사제단(CPAJ)은 유신헌법 반대운동, 긴급조치 무효화 운동, 민주헌정 회복요구, 광주 민주화운동 지지 등 반 군사독재운동을 벌였고, 가난한 이들의 생존권 확보운동 등 사회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했다.
1987년 6월, 서울대학교 학생이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폭로하여 6월 항쟁의 계기가 되기도 했는데 종교인들이 사회문제에 너무 깊숙이 관여한다는, 또 지나친 좌경 색채를 드러낸다는 우려를 받기도 한다. 이들의 공과(功過)는 역사가 평가할 것이다.
2. 마약(痲藥)왕 파블로 에스코바르(Pablo Escobar)
에스코바르 가족 / 에스코바르 피격 사망 / 에스코바르(죄수 번호) / 에스코바르 사진
콜롬비아 제2의 도시 메데인(Medellin)의 빈민굴 출신인 파블로 에스코바르(Pablo Escobar/1949. 12. ~1993. 12.)는 어린 시절, 너무나 가난하여 입버릇처럼 백만장자가 되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는 자라면서 온갖 범죄행위를 서슴지 않았고 오직 돈 벌 궁리만 했는데 우연히 마약(痲藥)의 일종인 코카인(Cocaine)을 미국에 팔면 엄청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거기에 집중하여 마침내 대량생산에 성공하여 돈을 끌어모으기 시작한다.
향정신성(向精神性) 마약(痲藥)인 코카인(Cocaine)은 흰 가루인데 코로 들이마시면 환각세계로 빠져들게 되는 것으로 한때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 대유행했다. 그는 아마존 밀림 속에 비밀생산기지를 세우고 하루에 수십 톤씩 생산할 수 있어 20대 초반부터 돈을 끌어모으기 시작하여 전 세계 코카인 유통량의 80%, 1주일에 4억 달러 이상 수입을 올렸다고 한다. 많을 때는 하루에 2억 달러.....
그때부터 그는 돈 파블로(Don Pablo), 엘 파트론(El Patron/두목), 코카인의 제왕(帝王)이라 불렸는데 콜롬비아와 미국으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느낀 그는 정계, 경찰, 군인 등을 매수하여 범죄왕국을 세우고, 살인을 밥 먹듯 하는 비밀조직 시카리오(Sicario)를 양성하는데 시카리오(Sicario)는 라틴어 시카리우스(Sicarius/단검을 든 자들)가 어원(語源)이라고 한다.
그는 벌어들인 돈이 엄청 많아 세계 7위의 부자(자산 300억 달러/현 시세로 1,000억 달러)로 꼽혔지만, 사람들은 메데인 카르텔(Medellín Cartel/메데인 범죄조직) 지도자, 아메리카 대륙의 마약의 왕 등으로 불렀다고 한다. 당시 그의 가족이 살던 저택은 사설비행장, 군대 막사, 동물원, 조각공원은 물론 7개의 풀장(Pool)까지 있는 등 20㎢(600만 평)의 대 저택으로 ‘아시엔다 나폴레스(Hacienda Napoles)’라 불리는 세계 최고의 호화저택이었다고 한다.
아시엔다 나폴레스(Hacienda Napoles)는 ‘나폴리의 대농장’이라는 의미이다.
마약(Cocaine)으로 인하여 가장 큰 피해를 본 미국 정부는 콜롬비아 정부와 범인 인도조약을 맺고 마약 범죄자들을 잡기에 힘을 쏟는데, 위기를 느낀 에스코바르는 정치인들과 경찰들을 매수하는가 하면 대규모 농장(農場), 자동차 판매회사, 건설업(메데인 그룹), 복지사업, 빈민구제사업, 교회와 학교 설립 등을 하기 시작하여 그가 태어난 메데인 사람들로부터 로빈 후드(Robin Hood/義賊이라는 의미)라는 별칭으로 존경을 받는다. 그 후, 그는 살아남기 위해 뇌물을 물 쓰듯 하고 정계(政界)에 도전하여 마침내 1982년, 콜롬비아국회 하원의원(下院議員)에 당선되는데 그때 그가 경찰, 공무원, 정치인, 판검사들에게 한 말이 Plata O Plomo(은<銀>아니면 납<鉛>)이었다고 한다.
Plato(銀)는 뇌물(賂物)을, Plomo(鉛)는 화살촉을 의미하니 ‘돈 받을래, 죽을래...’ 이었겠다.
당시 콜롬비아는 정부군과 좌익(左翼) 반군, 우익(右翼) 준(準)군사조직 등 정계가 매우 혼란스러웠는데 에스코바르는 검은 돈을 이용, 이들을 자신의 세력으로 끌어들여서 자신의 조직(組織)을 강화한다.
에스코바르는 암살조직 시카리오(Sicario)를 이용하여 자신을 혐오하는 인물들은 정치인 및 군인, 경찰은 물론, 민간인들까지 무자비하게 암살하는데 그 인원을 모두 합치면 5,000명이 넘는다고 한다.
에스코바르는 상원의원(上院議員)을 거쳐 대통령까지 넘보게 되고, 첫 번째 주장이 미국과 맺은 범인 인도조약 파기(破棄)였다. 그러나 법무장관이었던 라라 보니야(Bonilla)의 마약밀매 범죄자 폭로로 의원직을 박탈당하게 되자 즉각 법무장관 보니야를 비롯하여 자신을 부정하던 상원의원 절반가량을 살해한다.
이후, 그는 궁지에 몰리자 돈을 물 쓰듯 하며 미국으로 인도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감옥에 가겠다고 했는데 법원의 판결은 5년형이었다고 하니 얼마나 법관들을 공갈협박 및 뇌물을 뿌렸을지 짐작이 간다.
그는 스스로 자기가 들어갈 감옥을 짓겠다고 하여 허락을 받았는데 상상을 초월하는 초호화 감옥으로, 주위의 경관은 말할 것도 없으려니와 수영장, 당구장, 볼링장, 나이트클럽, 바(Bar) 등 유흥시설을 비롯하여 거대한 정원은 물론, 호텔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자신의 방을 꾸미고 스스로 수감생활을 시작한다. 그리고 감옥의 모든 교도관과 직원들은 자신의 부하 암살조직인 시카리오(Sicario)로 채웠다고 한다.
그러나 콜롬비아 정부가 미국과 협력하여 자신을 체포하려는 낌새를 눈치챈 그는 콜롬비아 대통령궁을 220파운드(100kg)의 폭탄을 설치, 폭파하여 엄청난 사람들이 사망하는 일도 서슴지 않았다니 놀랍다.
그러다가 13개월의 수감생활을 하던 중 부하 조직원들과 불화로 부하 두 명을 살해하는 일이 벌어졌는데 이것을 계기로 그의 악행을 보며 이를 갈던 정계와 법조계 등 정의파들이 들고 일어서 미국과 협력하여 그를 체포하여 일단 다른 감옥으로 보내려 하였다. 그런데 그는 감쪽같이 감옥(초호화 저택)을 탈출하여 행방을 감추어버린다.
그의 은신처를 알아내기 위하여 갖은 수단을 동원하였는데 마침내 그가 아들과 통화하는 것을 포착하고 숨어있는 곳을 알아낸 후 즉각 미국, 콜롬비아의 특수부대를 총동원하여 체포 작전에 나섰다.
드디어 그 조직들과 피비린내 나는 총격전을 펼치는데, 마침내 1993년, 그는 지붕 꼭대기로 피신하다가 총알 3발을 맞고 사망하였고 당시 만 44세, 그의 생일날이었다.
그런데 그를 의적(義賊) 로빈 후드(Robin Hood)라며 칭송하던 그의 고향 메데인(Medellin) 사람들은 그의 장례식에 2만 5천여 명이나 운집(雲集)하여 애도했다니 정말 아이러니이다.
내가 콜롬비아를 혼자 배낭여행한 것이 2018년이니 그가 죽은 지 15년, 그는 나보다 2살 연하로 나와 같은 세대(世代)의 사람이었다고 생각만 해도 기가 막혔다.
나는 여행하는 내내 무척 조심스러웠는데 당시에도 콜롬비아는 마약의 나라, 여행 위험지역으로 손꼽혔다.
3. 잡지사 인터뷰
인터뷰 / 골목 벽면은 온통 괴상한 벽화 / 호스딸 앞 작은 광장
어느 날 혼자 숙소 문 앞에서 담배를 피고 있었는데 기자로 보이는 젊은이와 카메라맨 및 일행 몇몇이 느닷없이 카메라를 들이대며 인터뷰를 하자고 한다. 꼴이 무슨 잡지사인 모양인데 어디서 왔느냐, 콜롬비아의 첫인상이 어떠냐는 둥 질문을 퍼붓는다. 어느 잡지인지, 신문인지 내 사진이 실렸을 텐데.... ㅎㅎ
4. 공원 산책
공원의 비둘기들 / 체육공원 / 구름과자 시간
숙소에서 나와 괴상한 벽화들이 그려진 골목길을 2~3분 걸으면 아담한 체육공원이 있어 아침마다 산책을 즐겼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이 열심히 체육공원 둘레를 몇 바퀴씩인지 달리고는 운동장에 있는 선생님한테 가서 확인도장을 받는다. 동네 사람들인 듯 애완견을 데리고 산책하는 사람들도 자주 눈에 띄고.... 너무나 평화롭고 살기 좋은 나라로 보이는데 위험하다고 야단들이니 신기하다.
원래 3박을 할 예정으로 예약했지만 다니다 보니 볼거리가 너무 많아서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여 5박으로 늘렸다. 다행히 호스딸 침대의 여유가 있어서....
5. 활기 넘치는 보고타 거리
공연팀 앞에는 모금 통이 있다.
숙소에서 비스듬히 비탈 골목길을 5분 정도 걸어 내려가면 바로 볼리바르 광장이 있고 연이어 번화가인 다운타운(Downtown) 인데 고층건물은 물론, 볼거리, 연주악단공연, 먹거리 가판대들이 널려있다.
상점도 많고 수퍼마켓도 있고 레스토랑도 많고.... 특히 스페인 식민시절의 풍취가 느껴지는 건물과 기념물들이 많은 것도 흥미 있다. 특히 거리 퍼포먼스가 많아 항상 사람들이 모여든다. 밴드도 있고 비보이(B-Boy) 공연도 있고 마술쇼도 있고 로봇 춤도 있고... 벼라 별 볼거리들이 다 있다.
* 콜롬비아 여행을 마치고 당초에 계획하였던 베네수엘라 관광을 포기하고 곧바로 쿠바로 향했다.
사실 콜롬비아 여행 다음 목적지가 베네수엘라로, 여행계획을 상세히 세우고 왔었는데 우리 숙소의 카운터를 보는 20대 후반 젊은이와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자신이 베네수엘라 사람이라고 한다.
내가 베네수엘라의 앙헤르(Angel) 폭포를 꼭 보고 싶다고 했더니 베네수엘라는 치안이 불안하다고 절대로 가지 말라고 한다. 자신은 수시로 생명의 위협을 느껴 26개월 전에 베네수엘라를 탈출해서 이곳으로 왔다고 한다. 세상에.... 자기 나라를 여행하지 말라니....
자화상自畵像
- 旅浪 白 忠 基
거울 속에 콧수염의 사내가 나를 바라보고 엷은 미소를 짓고 있다.
세월의 훈장인가, 덥수룩한 수염 속에 흰 터럭이 숨어있다.
그 흰 터럭 속으로 안데스Andes 산록山麓 고달픈 인디오Indio의 삶이 보이고
치열한 투쟁의 일생을 살다간 체 게바라Che Guevara의 형형한 눈빛이 겹쳐 보인다.
풍차를 향해 돌진하는 돈키호테Don Quixote처럼 나는 녹슬지 않는 창을 가슴에 지닌 채
자유를 얻는 그날까지 앞으로, 앞으로만 달려갈 것이다.
황금도시 엘도라도El Dorado를 꿈꾸며 오늘도 열심히 미지未知의 세계 밀림을 헤쳐 나간다.
아무리 흰 터럭이 솟아 나와도 내게는 무지갯빛 찬란한 내일이 있다.
①동키호테와 산쵸판다 ②체 게바라 ③엽권련 ④쿠바 해변 ⑤아바나 혁명광장 체 게바라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