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4 (일) 제주여행 셋째날(2) 표선성당-스누피가든-백약이오름-비자림-숙소(포지타노)
|
제주여행 셋째날(3-4) 비자림② 2023.06.04(일)
|
16:17 ▲ 비자림 ▲
16:18 ▲ 비자림 ▲
16:19 ▲ 비자림 ▲
16:25 ▲ 비자림 ▲
16:26 ▲ 비자림 ▲
16:31 ▲ 비자나무.사랑나무 ▲
16:31 ▲ 비자나무.사랑나무 ▲
16:33 ▲ 비자나무.사랑나무 ▲
00:00 ▲ 비자나무.사랑나무(펌.사진) ▲
연리목(連理木)
두 나무가 서로 맞닿아 한 나무가 되는 현상을 연리(連理)라고 하며 줄기가 연결되면 연리목, 가지가 연결되었으면 연리지라고 합니다. 이 비자나무 연리목은 두 나무가 가까이 자라다가 지름이 굵어지면서 맞닿게 되고 서로 움직일 수 없으니 둘이 합쳐 하나가 되었지요.
연리가 되는 과정을 조금 자세히 알아볼까요?
이웃한 두 나무는 치츰 굵어져 서로 맞닿게 되면 해마다 새로운 나이테를 만들므로 서로를 심하게 압박합니다. 우선 맞닿은 부분의 껍질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파괴되고 맨살끼리 맞부딪치겠지요. 먼저 굵기 자람을 담당하는 '부름켜'가 서로 가진 물질을 서로 주고받고, 이어서 양분을 공급하는 방사조직을 서로 섞어버립니다. 마지막으로 나머지 세포들은 맞닿는 선을 따라 차근차근 서로의 세포벽을 잇는 공사를 진행해 나가지요. 이렇게 생물학적 결합니 끝나 공동으로 살아갈 한 몸으로 완성되면서 연리의 대장정은 막을 내립니다.
이런 나무를 잘라보면 마치 쌍가마처럼 한꺼번에 두 개의 나이테 두름이 들어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처럼 연리목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마치 부부가 만나 한몸이 되는 과정과 아주 닮았습니다. 사랑나무라고도 하며 남녀간의 변치않는 사랑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비자나무에 영원한 사랑을 빌어 보세요.
16:37 ▲ 새천년 비자나무 ▲
16:37 ▲ 새천년 비자나무 ▲
16:37 ▲ 새천년 비자나무 ▲
이 비자나무를 고려 명종 때인 1189년에 심었다고 하니 2023년 현재 수령은 834살이고, 높이 14미터에 굵기는 네 아름(약 7m)에 달한다. 비자림의 비자나무 가운데서 가장 굵고 웅장하며 기나긴 세월 동안 비자림을 지켜온 터줏대감으로서 비자림 신목神木이기 때문에 2000년 1월 1일 즈믄해 즉 밀레니엄을 맞아 '새 천년 비자나무'로 이름 붙여졌다.[출처] 2022. 7/7 제주 비자림|작성자 새샘
00:00 ▲ 비자나무 꽃봉오리 ▲
00:00 ▲ 비자나무 열매 ▲
00:00 ▲ 비자나무에 대하여..(사진.펌) ▲
00:00 ▲ 비자나무 (사진.펌) ▲
16:49 ▲ 비자림 ▲
16:49 ▲ 비자림 ▲
2023.06.05 (월) 제주여행 넷째날(1) 숙소(포지타노)-우도-숙소(제주공항)
|
00:00 ▲ 우도(자료) ▲
00:00 ▲ 우도(자료) ▲
우도(牛島)
인구 1,872 (2017)
면적 6.18㎢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길이 해안선 17㎞
요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에 속한 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에 속한 섬.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서 동쪽으로 약 2.8㎞ 지점에 있으며, 북동쪽에는 부속섬인 비양도가 있다. 섬의 모양이 물소가 머리를 내밀고 누워 있는 것과 같다 하여 소섬, 즉 우도라 했다. 1698년(숙종 24)에 방목이 이루어지면서 처음으로 사람이 살게 되었다.
신생대 제4기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한라산의 기생화산 가운데 하나로 최고지점은 분석구인 남쪽 소머리오름(133m)이며, 대부분 평지를 이루고 있다. 해안 곳곳에는 소규모의 갑과 만이 발달했다. 북동쪽의 독진포를 비롯해 일부 만의 사빈해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암석해안을 이루며 섬의 남쪽에 해식애와 해식동굴이 발달했다. 대체로 온화한 해양성 기후로 겨울철 강설량이 비교적 많다.
주민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며 농산물로는 고구마·보리·감귤 등이 생산되고, 소·돼지 등의 가축사육도 활발하다. 연근해에서는 문어·갈치·오징어·농어·방어 등이 잡히며, 소라·전복·우뭇가사리 등의 채취가 이루어진다. 하고수동·우도산호·검멀레·톨칸이해변 등은 해안 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비양도와는 육로로 연결된다. 면적 6.18㎢, 해안선 길이 17㎞, 인구 1,872(2017).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6a3145a
자료 : 다음백과
우도(牛島)
명칭 유래
섬의 형상이 물소가 머리를 내밀고 누워 있다고 하여 소섬 또는 이를 한자화한 우도라고 불린다
자연환경
제4기에 활동한 한라산의 측화산(側火山) 중 하나이며, 동남쪽에 있는 분석구(墳石丘)인 소머리오름(133m)을 제외하면 섬 전체가 평지로 되어 있다. 하천과 용천수(湧泉水)가 없으며, 음료수는 빗물에 의존하고 있다.
동남쪽의 우도봉(牛島峰)을 정점으로 북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대부분 지역이 고도 30m이하의 평탄한 지형을 이룬다.
해안은 사빈해안으로 된 북동쪽의 독진포(獨津浦)를 제외하면 암석해안으로, 특히 남쪽해안에는 해식애와 해식동굴이 발달하고
있다. 해양성기후로 1월 평균기온 5.5℃, 8월 평균기온 25.6℃, 연강수량 1,304㎜이다.
형성 및 변천
1698년(숙종 24)에 목마장이 설치되면서 사람들의 왕래가 시작되었으며, 1840년대부터 일반인의 거주가 허용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제주목의 좌면에 소속되었고, 1900년대 초에는 ‘연평(演坪)’이라 칭했다.
1914년에 제주군 구좌면 연평리에 속하였으며, 1946년에는 북제주군 구좌면 연평리가 되었다.
1963년에는 연평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86년에는 우도면으로 승격하여, 제주도 북제주군에 속하였다.
2006년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이 되었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9838
자료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00:00 ▲ 성산포항 ▲
11:34 ▲ 우도로 항해 중 ▲
11:34 ▲ 우도로 항해 중 ▲
00:00 ▲ 천진항(우도)/ 자료사진 ▲
00:00 ▲ 천진항(우도)/ 자료사진 ▲
00:00 ▲ 천진항(우도)/ 자료사진 ▲
검멀레해변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우도해안길 (우도면)
우도봉 아래에 협곡 속에 검은 모래 해변의 `검멀레`해수욕장은 폭 1백여 미터의 작은 해변이다.
바닷물을 껴안고 오르는 듯한 우도의 일출. 검은 모래사장을 뛰어 바다로 향하면 금방이라도 손에 잡힐 듯한 태양,
고래가 살았다는 해변 끝 동굴로 들어서면 시원한 물을 받아먹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52XXXX598635
자료 : 대한민국구석구석
00:00 ▲ 검멀레해변(우도).카카오맵 ▲
00:00 ▲ 검멀레해변(우도)/ 자료사진 ▲
12:25 ▲ 검멀레해변(우도) ▲
12:25 ▲ 검멀레해변(우도) ▲
12:25 ▲ 검멀레해변(우도) ▲
12:25 ▲ 검멀레해변(우도) ▲
12:25 ▲ 검멀레해변(우도) ▲
12:25 ▲ 검멀레해변(레저쾌속정 부두) ▲
12:25 ▲검멀래해변 레저쾌속정 모습(동영상) ▲
12:27 ▲ 검멀레해변(우도) ▲
12:30 ▲ 검멀레해변(우도) ▲
12:30 ▲ 검멀레해변(우도) ▲
12:31 ▲ 검멀레해변(우도) ▲
12:31 ▲ 검멀레해변(우도) ▲
12:32 ▲ 검멀레해변(우도) ▲
12:33 ▲ 검멀레해변(우도) ▲
12:33 ▲ 검멀레해변(우도) ▲
12:33 ▲ 검멀레해변(우도) ▲
12:33 ▲ 검멀레해변(우도) ▲
00:00 ▲ 검멀레해변(우도)/ 자료사진 ▲
12:40 ▲ 검멀레해변(우도) ▲
12:41 ▲ 검멀레해변(우도) ▲
12:49 ▲ 검멀레해변(우도) ▲
12:49 ▲ 검멀레해변(우도) ▲
12:49 ▲ 검멀레해변(우도) ▲
12:50 ▲ 검멀레해변(우도) ▲
12:50 ▲ 검멀레해변(우도) ▲
12:55 ▲ 검멀레해변(동안경굴) ▲
12:55 ▲ 검멀레해변(동안경굴) ▲
12:57 ▲ 검멀레해변(동안경굴) ▲
00:00 ▲ 비양도(자료사진) ▲
비양도(飛揚島)
면적 32,814m2 좌표 33° 30′ 54″ N, 126° 58′ 11″ E
해도번호 226(B)
지번 우도면 연평리 1~16-1
소유현황 국유지(국토해양부) / 사유지
육지와의 거리 육지와 연결(육화)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 대 · 도 · 잡종지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영해기점표식 · 무인등대 · 망대 · 숙박시설(펜션) · 팔각정 · 도로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통상기선 무인도서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육화로 인한 거주시설 설치로 향후 거주 가능성 높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관광 등 휴양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제주시 수협에서 마을어업면허(10052)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공원자연환경지구(자연공원법) / 연안육역(연안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비양도의 암석은 우도의 암석과 동일한 암석으로 수성화산체인 우도 쇠머리오름에서 유출된
쇠머리오름 현무암으로 구성. 전체적으로 파호에호에 용암류
ㆍ주요 해양생물 : 관찰된 해양무척추동물은 30종으로 상부조간대에 좁쌀무늬총알고둥,
중부조간대에 검은큰따개비가 우점. 해조류는 24종으로 중부조간대에 톳군락, 하부조간대에 우뭇가사리 등이 우점 형성
ㆍ주요 육상동물 : 관찰된 육상동물은 없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조류는 2종으로 알락할미새와 바다직박구리 관찰. 곤충은 9종으로 섬서구메뚜기(고유종)와
방아깨비(고유종이자 특정종)가 다수 관찰
ㆍ주요 식생 · 식물 : 관찰된 식물은 곰솔, 밀사초, 사철나무, 갯장구채 등 67종이며 대부분 초본류가
부분적으로 우점하여 밀도 높게 서식하는 양상. 특히 벼과와 국화과 식물이 다양하게 관찰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통상기선 무인도서로서 우도와 비양도를 잇는 다리가
오래전에 개통. 조간대의 생물다양성은 높으며, 낚시객 이용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69XX20200664
자료 : 다음백과
00:00 ▲ 비양도(카카오맵) ▲
13:18 ▲ 비양도 입구 ▲
13:24 ▲ 소라.탑(비양도) ▲
13:24 ▲ 소라.탑(비양도) ▲
13:34 ▲ 비양도 ▲
13:39 ▲ 비양도 ▲
13:40 ▲ 비양도 ▲
13:40 ▲ 비양도 ▲
13:45 ▲ 비양도 ▲
13:47 ▲ 비양도 ▲
13:47 ▲ 비양도 ▲
13:55 ▲ 비양도 ▲
13:55 ▲ 비양도 ▲
13:55 ▲ 비양도 ▲
13:59 ▲ 비양도 ▲
14:06 ▲ 비양도 ▲
하고수동해변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푸른빛이 감도는 아름다운 해수욕장! 일명 `싸이판 해변`으로 불린다.
밀가루를 밟는 듯한 부드러운 모래와 얕은 수심으로 가족단위로 수영을 즐기기에 좋다.
해수욕장의 모래밭에서 조개 껍질을 주을 수 있다.
여름밤이면 멸치잡이배들의 휘황찬란한 불빛들이 앞바다를 수놓아 불꽃놀이의 장관을 연출한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52XXXX591798
자료 : 대한민국구석구석
00:00 ▲ 하고수동해변(카카오맵) ▲
14:06 ▲ 하고수동해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