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석을 아십니까] 1편.
19세기 세 사람의 진인(眞人)…간디, 톨스토이, 다석
https://youtu.be/9L2ROC5Wv0o?list=PLiQFCXKMJNbimCwY-nTbihxSMRyLIaZl6 (12:06)
•2020. 3. 12.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다석을 아십니까? '얼나의 성자' 다석 류영모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아주경제에서 연재되고 있는 '다석 류영모의 재발견' 시리즈를 좌담 형식으로 한 편씩 톺아봅니다.
가장 먼저 '19세기 세 진인(眞人)이 있었다…간디, 톨스토이, 다석'의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곽영길 아주뉴스코퍼레이션 발행인, 이상국 아주경제 논설실장 그리고 김성언 다석 학회 총무 세 분이 다석의 탄생부터 초창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가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종교 내에서 집단 발병으로 여러 문제가 드러나고 있는데요. 일련의 흐름을 지켜보며 '종교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고 계시진 않은가요?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그 해답을 만나보세요.
--------------------------------------------------------------
[다석을 아십니까] 2탄.
코로나19와 교회
https://www.youtube.com/watch?v=FHlp-Jp58ZI&list=PLiQFCXKMJNbimCwY-nTbihxSMRyLIaZl6&index=2 (14:05)
•2020. 3. 27.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다석 류영모가 던지는 화두에 대해 담론을 나눠보는 '다석을 아십니까' 이번 시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교회'라는 주제를 담았습니다.
우선 다석이 중요하게 여겼던 '자율 신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최근 교회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 시기에 교회로 향하는 것은 결국 자율 신앙이 아닌 타율 신앙이기 때문은 아닐까요? 이에 대한 곽영길 아주뉴스코퍼레이션 발행인, 이상국 아주경제 논설실장 그리고 김성언 다석 학회 이사 세 분이 '자율 신앙'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두 번째로는 '이단'에 대해 담화를 나눴습니다. 신천지가 집단 감염의 온상으로 떠오르며 이단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과연 이단이란 무엇일까요? 다석 선생은 스스로를 이단이라 불렀다고 하는데요. 이단과 사교의 차이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의 기적 사상'을 다뤘습니다. 이에 사도바울의 '사도신경'을 빼놓을 수 없는데요. 사도바울이 기록한 예수님의 기적에 대해 세 분의 시선은 어떨지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
[금요명상]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 다석을 아십니까. ep.3
https://youtu.be/N36x5QthaV4 (26:00)
*2020. 4. 3. < 4. 5. ---- 4. 13일 확인하여 출처도 수정함>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에 '죽음'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이들이 세상을 떠나고 있습니다. 갑작스레 죽음을 맞는 사람들을 보며 과연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다석 류영모 선생은 '죽음 맛을 좀 보고 싶다'고 말씀하시며 '죽음 연습'을 하셨다고 하는데요. 이번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다석 선생의 죽음에 대한 사상을 살펴봤습니다. 곽영길 아주뉴스코퍼레이션 발행인, 이상국 아주경제 논설실장 그리고 김성언 다석 학회 이사가 나눈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담론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 4, 5 편 추가 2020. 4. 20 =====================================
[금요명상]
부활과 생각 | 다석을 아십니까. 4편
https://youtu.be/LzZY0p_suPE (25:14)
•2020. 4. 10.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코로나 시대, 이게 진짜 힐링이네요.
전염병 때문에 죽음에 대한 공포가 커지고, 영혼이 지치는 듯한 느낌을 받는 요즘입니다.
혹시 특정 종교단체로부터 몸이 부활하고 영원히 살 수 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나요? ‘동양의 성자’ 다석 류영모는 부활과 영생은 몸이 아니라 성령이 거듭나고 영원히 생명을 지니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죠. 코로나 독방살이로 혹시 우울함을 느끼지 않나요? 혼자서도 마음의 감염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다석은 ‘생각하는 훈련’만으로도 성령을 만날 수 있고 마음의 평안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어떤 방법일까요? ‘금요명상-다석을 아십니까’에서, 코로나 시대의 진짜 힐링에 대해 팁을 드립니다. 대한민국에 여러 사상과 신앙의 본질을 통찰하여 하나의 길을 제시한 이런 ‘스승’이 존재한다는 것. 유튜브 채널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에서 금요명상의 진면목을 맛보십시오.
--------------------------------------------------
[금요명상]
4.15총선과 '씨알사상' ㅣ다석을 아십니까. 5편
https://youtu.be/klzC7jQVc8M (26:53)
•2020. 4. 17.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씨알님은 무엇인가] - 민주화정부의 정신적 뿌리는 ‘씨알사상’
이번주 ‘다석명상’에는 류영모 선생이 제창한 ‘씨알사상’을 얘기합니다. 혹시 씨알사상이라면 함석헌선생을 떠올리지 않으셨나요? 함선생은 다석의 제자로, 스승에게서 받은 가르침을 실천한 분입니다. 씨알사상은 다석사상의 핵심으로, ‘민중’이라는 씨의 알과 얼을 지닌 존재와 ‘얼나’라는 신의 씨앗과 성령을 지닌 존재를 함께 가리키는 말이죠.
한국 민주화의 정신적 뿌리는 씨알사상에 있습니다. 현 정부는 민주화운동을 한 사람들이 세운 정부입니다. 즉 ‘씨알’이 꽃피운 정부인 셈입니다. 이번 총선은 씨알의 승리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다석 님의 말씀대로 씨알의 ‘섬기는 정치’를 잘 하고 있는지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6/1편, 6/2편, 7편 추가 2020. 5. 6. =====================
[금요명상]
‘N번방 사건’이 보여준 대한민국의 현주소,
다석 류영모에게 길을 묻다ㅣ다석을 아십니까. 6편(1부)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https://youtu.be/HNJKSKiMF4c (8:31)
게시일: 2020. 4. 23.
불법 성착취 영상물을 공유한 ‘N번방 사건’이 우리 사회를 발칵 뒤집어 놓았습니다. 특히 주범인 조주빈을 비롯해 범죄에 가담한 대부분이 청소년이라는 것은 더 큰 충격이었는데요.
이 사건은 대한민국이 현재 안고 있는 문제들을 적나라하게 드러냈습니다. 존경할만한 참스승의 부재와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육의 부재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다석을 아십니까? 6편에서는 ‘사랑과 육욕’이라는 주제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N번방 사건으로 드러난 대한민국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우리가 나아가야할 길을 다석 류영모 선생의 말씀으로 성찰해보는 시간을 함께 나눠보시죠.
--------------------------------------------------------------
[금요명상]
‘N번방 사건’이 보여준 대한민국의 현주소,
다석 류영모의 말씀에서 해답을 찾다 ㅣ다석을 아십니까. 6편(2부)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https://youtu.be/aLXxrCnt7wg (10:51)
게시일: 2020. 4. 23.
‘다석을 아십니까’ 6편 ‘사랑과 육욕’
불법 성착취 영상물을 공유한 ‘N번방 사건’이 우리 사회를 발칵 뒤집어 놓았습니다. 특히 주범인 조주빈을 비롯해 범죄에 가담한 대부분이 청소년이라는 것은 더 큰 충격이었는데요.
이 사건은 대한민국이 현재 안고 있는 문제들을 적나라하게 드러냈습니다. 존경할만한 참스승의 부재와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육의 부재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다석을 아십니 6편에서는 ‘사랑과 육욕’이라는 주제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N번방 사건으로 드러난 대한민국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우리가 나아가야할 길을 다석 류영모 선생의 말씀으로 성찰해보는 시간을 함께 나눠보시죠.
--------------------------------------------------------------
[금요명상]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생각하는 '탄생의 의미'와 다석님의 '부처님 말씀’
ㅣ다석을 아십니까. 7편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https://youtu.be/PJIvat2l4AY (19:56)
게시일: 2020. 4. 30.
어제(30일)는 불기 2564년 '부처님 오신 날'입니다.
분열과 갈등, 반목과 대립에 갇힌 우리에게 '나와 상대방은 둘이 아니고 곧 하나이며, 서로가 서로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부처님의 자타불이(自他不二) 정신을 되새기게 하는 하루였습니다.
특히 부처님께서 설파한 '욕심과 번뇌를 잊고 서로에게 자비를 베풀자'는 관용과 상생의 가르침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를 맞는 대한민국에 큰 깨우침으로 다가옵니다.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해 특별히 '탄생의 의미'와 다석 님의 '부처님 말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다석 님이 강조한 '부처님 말씀' 속에서 우리가 이 땅에 '왜' 태어났고, 과연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 20년 5월 31일, 추가 ( 8 - 11 편) ================
[금요명상] 세상을 지혜롭게 사는 3가지 방법, '다석의 삼보(三寶)'
ㅣ다석을 아십니까. 8편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https://youtu.be/-ien9bqzams (18:09)
게시일: 2020. 5. 7.
5월 8일, 오늘은 어버이날입니다.
어른과 노인을 공경하는 경로효친(敬老孝親)의 미덕을 기리고, 사회와 국가의 기본이 되는 가정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날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우리의 부끄럽고 안타까운 민낯을 돌아보게 됩니다.
급속한 산업화와 개인주의로 가족 간의 대화가 사라지고, 부모 자식 사이에도 큰 벽이 생겼습니다. 가정(家庭)은 있어도 가정(家政)이 실종되고 가정(家情)이 사라지고 있다는 말이 더는 낯설지 않습니다.
약 2,000년 전부터 회자돼 온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된다)’이라는 말이 새삼 가슴에 와 닿습니다. 5월 가정의 달, 인간의 첫걸음인 효(孝)의 가치를 되새기며 어르신들의 지혜를 배우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어버이날을 맞이해 이 시대의 참어른이신 다석 류영모 선생의 지혜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석 님께서 가르쳐주신 ‘이 세상을 지혜롭게 살아가는 3가지 방법’을 들으며 이 세상의 모든 아버지, 어머니에게 사랑과 존경의 마음을 바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
[금요명상] '참된 스승'의 모습과 스승을 만난 후 바뀐 나의 삶
ㅣ 다석을 아십니까 . 9편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https://youtu.be/bJVK2IOIkuQ (19:47)
게시일: 2020. 5. 15.
5월 15일, 오늘은 스승의 날입니다.
당나라 때 ‘교계율의’라는 책에는 “스승의 그림자조차 밟지 않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림자도 밟지 않을만큼 스승을 공경한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 않고, 스승을 밟는다’는 말이 생겼다고 합니다. 우리 사회의 심각한 교권 하락을 보여주는 이 말이 오늘따라 참 씁쓸합니다.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참된 스승’과 스승을 만난 이후 달라진 삶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진리를 몸소 실천하고 가르치신 다석 님을 생각하며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
[금요명상] 우리의 마음은 하나인가? 다석의 '마음'
ㅣ 다석을 아십니까 . 10편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https://youtu.be/AbZ3ykmN77c (21:02)
게시일: 2020. 5. 22.
코로나19가 창궐한 지 4개월째. 낯선 비대면(Untact) 문화가 우리 삶 깊숙이 파고들었습니다. 종교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많은 종교인들은 온라인으로 종교활동을 이어가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K-Untact 예배의 새로운 지침이 되어줄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
매주 금요일 배달되는 다석 류영모의 말씀이 언택트 시대 속 방황하는 당신의 영혼을 참 진리에 콘택트(Contact)하도록 인도할 것입니다.
--------------------------------------------------------------
[금요명상] ‘하느님의 마음이 있다면 허공이 아니겠는가’ 다석의 '허공'
ㅣ 다석을 아십니까 . 11편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https://youtu.be/yl-VRVk28qc (18:55)
게시일: 2020. 5. 29.
어느 날 우리를 갑자기 찾아온 ‘코로나19’. 잔인하고 비극적인 이 전염병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았습니다.
경제적·정신적 고통 속에서 지친 우리의 심신에 위로가 필요한 지금,
바이러스가 남긴 상흔을 치유하기 위한 영적 오아시스가 필요한 바로 지금,
K-Untact 예배의 새로운 모델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소개합니다.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의 말씀으로 힐링하는 주말 보내세요.
------------------------------------------------------------------------------
200628 추가. ( 12 - 15편)
--------------------------------------------------------------
200605. (금요명상] 인류의 영원한 숙제 ‘탐진치(貪瞋痴)를 다스리는 방법’
ㅣ 다석을 아십니까. 12편
https://youtu.be/U8nGxzyeCCw (24:45)
•2020. 6. 5.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157명
#다석 #류영모 #탐진치
“삼독(三毒)이라는 벌레와 날마다 싸움을 해야 한다” (다석 류영모)
여러분, 혹시 탐진치(貪瞋痴)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인간의 본능이기도 한 이 못된 세 뿌리는 바로 ‘탐욕’과 ‘분노’, ‘치정’을 말합니다.
삼독(三毒)이라고 특히 강조하는 불교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에서 이 탐진치를 멀리하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한국이 낳은 위대한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가 설파한 ‘탐진치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
200612. [금요명상] 말씀을 받아 스스로 서는 방법, 다석의 '말씀·말숨·말슴'
ㅣ 다석을 아십니까 . 13편
https://youtu.be/FFci9p8e2N8 (20:14)
•2020. 6. 12.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우리가 몸을 닦듯이 말씀도 닦아야 한다” -다석 류영모
여러분은 ‘말의 힘’을 믿으시나요? 한마디의 말은 사람을 살리기도 혹은 죽이기도 할 만큼 큰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하느님의 ‘말씀’은 어떨까요? ‘말씀’은 과연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
그리고 우리는 그 말씀을 어떻게 씹어 소화시킬 수 있을까요?
이번 주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하느님의 말을 받아쓰고, 숨 쉬고, 그 말씀으로 스스로 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의 혜안으로 힐링하는 주말 보내세요.
--------------------------------------------------------------
200619.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의 생각을 가장 잘 함축한 시( 詩), ‘참’
ㅣ 다석을 아십니까 . 14편
https://youtu.be/d8Iw9DynGzU (20:49)
•2020. 6. 19.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참참이 참아 깨세(틈틈이 참고 참아서 참을 깨달아 보세)’
-다석 류영모의 ‘참’에 대한 시 中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참(眞理)을 찾기 위해 무던히도 애씁니다. 그러나 ‘참’이 정확히 무엇인지 아는 이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과연 진정한 ‘참’이란 무엇이고,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다석 류영모의 ‘참’에 대한 시 속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세요.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의 말씀으로 힐링하는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
200626. [금요명상] 갈등과 분열의 시대, 다석 류영모의 ‘귀일사상’에서
해답을 찾다
https://youtu.be/QVXx3qvMn64 (20:31)
•2020. 6. 26.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요는 하느님을 알고 하느님을 믿고 하느님에 사는 것이다. 그러면 인생은 단순해진다’ -다석 류영모
갈등과 분열의 시대, 우리는 서로의 다름과 낯섦을 인정하지 못한 채 타자를 경계하고 미워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다석 사상의 핵심은 ‘귀일(歸一)사상’입니다. 우리의 인생과 만물은 결국 하나로 돌아가므로 하느님 안에서 하나가 되어야 한다(統一)는 것입니다.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의 ‘귀일사상’을 들으며 공존과 공생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
200716 추가 .
--------------------------------------------------------------
200703. (금요명상] 우리 마음속의 ‘얼 빛’을 찾아가는 길
ㅣ 다석을 아십니까. 16편(1부)
https://youtu.be/KlWlM3gN0UM (11:30)
•2020. 7. 3.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다석 #류영모 #금요명상
“우리에게 참으로 필요한 빛은 자연계를 비추는 해와 달의 빛이 아니라 우리 마음속에 비치는 고요하게 가라앉은 진리의 빛이다” -다석 류영모
‘빛’은 많은 종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언어입니다. 단순히 자연계에서 말하는 ‘어둠을 밝히는 것’을 뛰어넘어 악(惡)을 이기는 ‘선(善)’의 개념으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다석 류영모는 ‘빛’을 ‘얼나의 자각’이라고 말했습니다. 어두운 세상에서 빛을 찾아가는 구도자의 삶을 산 그의 말씀을 들으며 여러분도 마음속의 얼 빛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200707. (화요명상] '빗으로 빚을 덜게 되면 빛이 비친다’
ㅣ 다석을 아십니까 . 16편 빛 빚 빗 (2부)
https://youtu.be/JNw5YtkBTYY (16:33)
•2020. 7. 7.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빗으로 빗어 모든 빚이 없어지고 또다시 빛나는 세상이 될 때 빛드러진(비뚤어진) 세상은 바른 세상이 된다' - 다석 류영모
다석 류영모는 '빚'과 '빗'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통찰을 남겼습니다. 돈을 갚지 않아 생기는 부채와 머리카락을 정리하는 도구. 이와 같은 피상적인 정의에서 진리를 발견한 것입니다.
'빛 빚 빗' 삼단논법을 통해 진정한 얼빛으로 향할 수 있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
200710. [금요명상] ‘가슴 한복판을 정확하게 명중시켜 진리의 나를 만나라’
다석 류영모의 '가온찍기' ㅣ 다석을 아십니까. 17편(1부)
https://youtu.be/qIeKwQjskwM (18:05)
•2020. 7. 10.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날아가는 새를 화살로 쏘아 맞히듯이, 나의 한복판을 정확하게 명중시켜 진리의 나를 깨닫는 것이 가온찍기이다” -다석 류영모
많은 돈과 명예를 얻고 성공했다는 이야기를 듣는 이도 결국 우주 끝자락의 점(點) 하나일 뿐입니다. 다석은 가슴 한복판을 정확히 명중시켜 진리의 나를 깨닫는 순간, 그 점은 얼나의 점이 되고 우리는 영원을 만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내가 깨어나는 순간 나의 마음 한복판에 점을 찍는 방법을 다석의 '가온찍기'를 통해 체득해보세요.
--------------------------------------------------------------
200716. [금요명상] ‘가온찍기의 한 긋만이 진실한 점(點)’ 다석 류영모의 ‘가온 찍기’
| 다석을 아십니까. 17편(2부)
https://youtu.be/Y21b98_9_9I (21:49)
•2020. 7. 16.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가온 찍기의 한 긋 만이 진실한 점(點)이다. 이 점(얼)에서 착한 선(善)이 나오고 아름다운(美) 면(面)이 나오고 거룩한(聖)체(體)가 생긴다." -다석 류영모
고독한 세상에서 사람들과 마음속 깊이 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석은 '가온 찍기'를 통해 얼나(靈我)에서 서로가 깊은 교감을 나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체득과 실천이 따르는 다석 사상, 여러분도 이번 주말 지인들과 함께 '가온 찍기'의 묘미를 느껴보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
2020. 08. 07. 추가
--------------------------------------------------------------
200724. [금요명상] 주역과 공자의 인(仁) 사상으로 본 다석의 ‘미완고(未完稿)’
ㅣ 다석을 아십니까. 18편
https://youtu.be/E0diiEJnRCA 12:48
•2020. 7. 24.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183명
“어떤 사상, 어떤 종교를 내세워 이것을 따르지 않으면 죽는다면서 완전고(完全稿)처럼 떠들지만 그것은 완전한 것이 아니다” -다석 류영모
다석은 ‘인생은 미완고’라고 강조합니다. 즉, 이 세상에는 결론이 없다는 것입니다.
또, 다석은 ‘나도 완결 내고 싶지만, 내 손으로는 할 수 없다’고 담백하게 고백합니다.
공자의 인(仁) 사상이 오래전부터 내려오고 있으나 누구도 완결하지 못했고, 주역의 화두가 미제(未濟)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결론없는 이 세상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이번 주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소개하는 다석의 삶과 말씀 속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200731. [금요명상] 성서와 톨스토이 사상으로 본 다석의 ‘미완고(未完稿)’
ㅣ 다석을 아십니까. 19편
https://youtu.be/Od7ueXbQ3c0 10:27
•2020. 7. 31.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다석 류영모는 성경과 불경, 동·서양 철학에 두루 능통했던 대석학이자, 평생 진리를 추구하고 실천한 위대한 영적 스승이었습니다. 그러나 다석은 자신을 세상에 드러내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다석은 스스로를 ‘미완고’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다석은 우리에게 말합니다. “이 세상의 어떤 사상도, 신조도, 종교도 완성된 것이 없으니 속지 마세요” 또, 강조합니다. “오직 하느님만이 완성할 수 있습니다”
자신을 우상화하고 치켜세우기 바쁜 일부 성직자와 지도자들을 향한 다석의 아픈 충고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만나보세요
--------------------------------------------------------------
200805. [금요명상] '모르는 것이 곧 기쁨이다' 다석의 ‘모름지기’
ㅣ 다석을 아십니까. 20편
https://youtu.be/fB2fVCwi2mo 13:05
•2020. 8. 7.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흔히 등대를 지키는 자를 ‘등대지기’라고 합니다. 한국이 낳은 위대한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는 이 등대지기처럼 우리는 모름을 지키는 ‘모름지기’가 되라고 말합니다.
남보다 더 많이 아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는 우리에게 ‘모름을 지키라’는 다석의 말은 선뜻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석은 우리에게 “모르는 것이 곧 기쁨이며, 그 안에 믿음의 비밀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번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다석이 말하는 모름의 세계를 만나고, 생명의 신비와 기쁨을 느껴보세요.
--------------------------------------------------------------
200814. [금요명상] 숭산스님의 일화로 살펴본 다석의 ‘모름지기’
ㅣ 다석을 아십니까. 21편
https://youtu.be/taBFj87o4n4 (10:30)
•2020. 8. 14.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여러분은 숭산(崇山)스님을 아시나요? 한국 불교를 해외에 알리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한 선승이시죠. 이 숭산스님께서는 ‘우리는 아는 게 너무 많아서 탈’이라면서 ‘오직 모를 뿐’인 마음을 지키면 우주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앎보다 모름이 중요하다’며 우리에게 모름을 지키는 자, 즉 ‘모름지기’가 되라고 가르쳐주신 다석 류영모의 사상과 일맥상통합니다.
이번 주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여러 일화를 바탕으로 다석의 ‘모름지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자신의 무지(無知)와 부지(不知)를 깨닫는 귀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
200821.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는 왜 신비함을 느끼라고 말했을까?
다석의 ‘신비주의’ 다석을 아십니까. 22편
https://youtu.be/X2zw0rCVXcM (12:51)
•2020. 8. 21.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하느님을 찾는 사람은 하느님의 향내라 할 수 있는 신비를 느껴야 합니다”-다석 류영모
한국이 낳은 위대한 영성가인 다석 류영모는 자신을 신비주의자라고 말했습니다.
‘신비주의자’라고 하면, 이상한 것을 찾고 기이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떠올리는 우리에게 다석의 말은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석이 말한 ‘신비주의’는 神秘主義. 즉, 신과의 직접적이고 내면적인 일치를 말합니다. 다석은 우리 삶 속에서 하느님의 신비를 느끼고, 스스로 신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며 살라고 강조합니다.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변함없는 달콤한 신비를 느끼는 방법을 터득해보시길 바랍니다.
=======아주경제 기사===============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는 왜 신비함을 느끼라고 말했을까? 다석의 ‘신비주의’
2020-08-21 09:16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 22편, 다석 류영모의 ‘신비주의’
“하느님을 찾는 사람은 하느님의 향내라 할 수 있는 신비를 느껴야 합니다”-다석 류영모
한국이 낳은 위대한 영성가인 다석 류영모는 자신을 신비주의자라고 말했습니다.
‘신비주의자’라고 하면, 이상한 것을 찾고 기이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먼저 떠올리는 우리에게 다석의 말은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석이 말한 ‘신비주의’는 神秘主義. 즉, 신과의 직접적이고 내면적인 일치를 말합니다. 다석은 우리 삶 속에서 하느님의 신비를 느끼고, 스스로 신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며 살라고 강조합니다.
매 순간 신과 직접적이면서도 내면적인 일치의 체험을 하기 위해서 우리의 삶은 얼마나 거룩하고 진지해야 할까요?
이번 주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다석 류영모가 말하는 ’신비주의‘의 심오한 의미와 삶 속에서 신비를 느끼는 방법을 터득해보시길 바랍니다.
한편,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는 유튜브 채널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에서 매주 금요일 오전에 공개됩니다.
주은정 goheaso37@ajunews.com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2020. 09. 27 추가 ( 23 편 - 27 편 )
--------------------------------------------------------------
200828. [금요명상] ‘신비주의 그리고 우리가 경계해야할 것들’
다석을 아십니까. 23편
https://youtu.be/2iVCjrhNtfE (13:26)
•2020. 8. 28.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요새 신비한 것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것은 학문의 적(敵)이다. 학문을 낳지 못하는 신앙은 미신이다” -다석 류영모
다석은 자신을 신비주의자라고 말했지만, 신비주의에도 분명히 경계해야할 것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황홀경을 찾아 신을 만난다고 하면서 사람들을 현혹하는 것을 멀리하라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신(神)에 대해 더 알 수 있을까’가 나의 문제이자 인류의 문제라 지적한 다석 류영모. 기복신앙에 빠져있는 우리 시대에 그가 던지는 뼈아픈 메시지를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만나보세요.
--------------------------------------------------------------
200904. [금요명상] 당신은 오늘까지 며칠을 살았습니까? 다석의 '오늘살이' 다석을 아십니까. 24편
https://youtu.be/uUj1Nsdl6DE (14:05)
•2020. 9. 4.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시간을 아껴야 합니다. 인생은 어제에 있는 것도 아니고 내일에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오직 오늘, 오늘에 있습니다” -다석 류영모
2020년 9월 4일, 오늘까지 여러분의 산 날수는 며칠인가요? 다석 류영모는 28세부터 매일 자신의 산 날을 세면서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그는 왜 자신의 산 날수를 세기 시작했을까요?
다석은 아침에 잠에서 깨어 눈을 뜨는 것이 태어나는 것이고, 저녁에 잠자리에 들어 잠드는 것이 죽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즉, 하루 동안 일생을 사는 ‘오늘살이’를 실천한 것입니다.
‘한해살이’에 익숙해져 오늘의 소중함을 잊은 우리에게 큰 깨달음을 주는 다석의 ‘오늘살이’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만나보세요.
--------------------------------------------------------------
200911. [금요명상] 당신의 산 날수를 세어보세요. 다석의 '오늘살이와
산 날수 세기'. 다석을 아십니까. 25편
https://youtu.be/rs26AEtImSY (15:14)
•2020. 9. 11.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시간을 아껴야 합니다. 하루를 무심히 보내면 백 년 천년을 살아도 시간을 다 잃어버립니다” -다석 류영모
한국이 낳은 위대한 영적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오늘살이’를 실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하루의 삶 속에서 봄·여름·가을·겨울의 4계절을 살았다는 다석의 기록은 그가 삶의 한 순간순간을 충실히 살았는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산 날수 세기’ 역시 다석 류명모가 강조한 ‘오늘살이’의 연속입니다. 오늘 하루는 물론 촌음(寸陰)을 아끼라는 다석의 깊은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여러분도 하루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
200918. [금요명상] 잠자는 아기상(像)과 서서 돌보는 성모상(像)에서 느끼는 하느님의 숨결. 우주속의 4가지 상 上. 다석을 아십니까. 26편
https://youtu.be/nH4nCGTEmqk (13:40)
•2020. 9. 18.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여러분은 ‘우주’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태양계의 별? 매일 뜨고 지는 해와 달?
다석 류영모는 무한한 시공간인 우주를 하나의 상(像)으로 보고 그 안에서 생명의 율동을 느꼈습니다.
다석은 이 우주의 상을 4가지로 나눠 말했습니다. 그중 2가지는 ‘잠들어 자라는 아기상’과 ‘서서 돌보는 성모상’입니다. 다석은 잠든 외손주의 얼굴 속에서 생명의 자라남을 느꼈고, 명동성당 앞 성모상을 보며 희생과 섬김의 우리네 어머니를 떠올렸습니다.
자신의 삶 속의 상(像)을 통해 하느님의 숨결을 느낀 다석의 놀라운 영감.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만나보세요.
--------------------------------------------------------------
200925.[금요명상] 참선하는 부처상(像)과 나무에 매달린 그리스도상(像)에서 느끼는 하느님의 숨결. 우주속의 4가지 상 下. 다석을 아십니까. 27편
https://youtu.be/yWRZYIpbM-I (13:40)
•2020. 9. 25.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항상 보고 싶은 상, 보지 않으면 못 견디는 상, 이것을 우리는 찾고 생명의 율동을 느껴 보아야 합니다.”-다석 류영모
한국이 낳은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우주 속에서 4가지 상(像)을 발견했고, 늘 보아 좋은 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중 2가지는 ‘참선하는 부처상’과 ‘나무에 매달린 그리스도상’입니다. 불교와 기독교의 공존을 불편해하는 이도 있겠지만, 다석은 동서고금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하나’로 꿰어 오직 ‘하느님’만을 바라봤기에 이런 사유가 가능했습니다.
다석이 발견한 ‘우주 속의 4가지 상’ 그 놀라운 영감을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만나보세요.
--------------------------------------------------------------
200930. [추석특집] 다석을 아십니까 15분 하이라이트 몰아보기
https://youtu.be/nwsD0nrqDdc (15:36)
•2020. 9. 30.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이번 추석의 핵심 키워드는 ‘집콕’
전대미문의 전염병으로 올해 추석은 예년 같은 추석 분위기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주변을 살펴봐도 이번 추석에는 유난히 쓸쓸하고 힘들어하는 분들이 많이 눈에 띕니다.
이렇게 혼란스러운 시기일수록 흔들리지 않은 내면의 힘을 키우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한국이 낳은 위대한 사상가이자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의 말씀을 꾸준히 소개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 ‘다석의 생각교실’에서는 추석을 맞이해 15분 다시보기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그동안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 프로그램을 통해 다석의 놀라운 영감을 담은 말씀을 총 21편의 영상으로 공개했는데요.
이번 다시보기 영상은 그중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모은 것으로 다석의 사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긴 추석 연휴동안 추석특집 ‘다석을 아십니까’ 15분 하이라이트 영상을 보며 힐링하는 시간 가지시기를 바랍니다.
--------------------------------------------------------------
201009. [금요명상] 한글날 되새기는 다석 류영모의 남다른 ‘한글 사랑’ . 다석을 아십니까. 28편
https://youtu.be/XqnH3c2yv9w (13:17)
•2020. 10. 9.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여러분은 ‘씨알’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많은 분들께서 종교사상가 함석헌 선생의 ‘씨알 사상’은 많이 알고 계실 텐데요.
사실 이 ‘씨알’의 개념은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가 한자인 백성 민(民)자를 순우리말로 창안해낸 것입니다.
‘우리말 철학’의 선구자 다석 류영모, 그는 늘 한문으로 된 말보다는 순우리말을 찾으려고 애썼고, 한문으로 된 경전을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또, 그는 한글을 연구하는 재야의 학자들을 후원하며 한글 사랑을 실천했습니다.
한글날 특집으로 준비한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다석의 남다른 한글사랑을 만나보세요.
--------------------------------------------------------------
201016. [금요명상] 광주를 ‘빛고을’이라고 가장 처음 말한 다석 류영모의 ‘한글놀이’ .
다석을 아십니까. 29편
https://youtu.be/9C3WW93lL78 (14:59)
•2020. 10. 16.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호남의 최대도시이자 5·18 민주화운동의 중심지 ‘광주’는 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빛고을’입니다.
그렇다면 이 ‘빛고을’이라는 호칭을 처음 만든 사람이 누구일까요?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광주의 신성(神聖)에 깊은 감동을 받았고, ‘영성의 도시’라는 뜻을 가진 ‘빛고을’이라고 호칭했습니다.
‘우리말 철학의 선구자’라고 불릴만큼 한글을 사랑했던 다석은 소리글자인 한글을 뜻글자로 바꾸는 것에 일가견이 있었고, 순우리말을 살려내고자 애썼습니다. 후대에 다석을 연구하는 이들은 이를 다석의 ‘한글놀이’라고 부르는데요.
지난 한글날 특집에 이어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신기하고도 재밌는 다석의 한글놀이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
201023. [금요명상] 당신은 지금 인간답게 살고 있습니까?ㅣ‘짐승은 종족보존, 인간은 진리보존’ㅣ 다석을 아십니까 30편
https://youtu.be/NyxXECcpZ40 (11:17)
•2020. 10. 23.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340명
#다석 #류영모 #금요명상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짐승은 종족보존, 사람은 진리보존’이라는 말씀을 남겼습니다. 짐승은 본능에 따라 그저 종족보존을 할 뿐이지만, 인간은 그것을 뛰어넘어 ‘진리’를 추구하고 실천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최근 우리 사회의 모습은 어떤가요?
진보와 보수로 분열된 국민들, 식색(食色)에 빠져 방황하는 영혼들, 그리고 더욱 팽배해져 가는 물질만능주의와 개인주의까지...
과연 우리는 인간다운 삶을 제대로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요?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세요.
--------------------------------------------------------------
201030. [금요명상] 인생을 살며 진리보존을 실천하는 방법ㅣ‘짐승은 종족보존, 인간은 진리보존’ㅣ 다석을 아십니까 31편
https://youtu.be/9Y0KI2Sm5q4 (10:50)
•2020. 10. 30.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340명
#다석 #류영모 #금요명상
“대부분 먹고살기 힘들고 바쁘다고 ‘진리’라는 단어는 잊어버린 지 오래된 낯선 단어가 되어버렸다. 소수의 사람만 그 뜻을 간직하며 살아간다. 수천만 명의 신앙인과 교인들이 있지만, ‘진리보존’에 사명감을 갖고 사는 신앙인들은 찾아보기 어렵다.” -다석 류영모
여러분은 삶 속에서 ‘진리’라는 말을 얼마나 떠올리시나요? ‘진리를 찾고, 그에 따라 살겠다’는 생각이 낯설지는 않으신가요?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우리의 생명(生命)이란 단순히 살라는 것이 아닌, 하늘의 뜻(진리)을 찾아서 살라는 명령을 받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식(食)과 색(色)에 빠져 그저 세상의 것들만 바라보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다석 류영모의 말씀은 큰 울림을 주는데요.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인생을 살며 진리보존을 실천하는 지혜를 찾아보세요.
--------------------------------------------------------------
201031. [10월 결산] 다석을 아십니까 8분 하이라이트 몰아보기
https://youtu.be/XKh9_68ewP8 (7:56)
•2020. 10. 31.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340명
#다석 #류영모 #금요명상
가을이 완연한 10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코로나 시대에 맞는 이 계절은 여느 때보다 더 쓸쓸한 것 같습니다.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우울, 불안, 무기력함을 느끼는 ‘코로나 블루(Corona Blue)’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한국이 낳은 위대한 사상가이자 영적 스승 다석 류영모의 말씀을 꾸준히 소개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 ‘다석의 생각교실’에서는 이런 마음들을 위로하기 위해 8분 다시보기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당신의 지친 영혼을 치유하는 3편의 말씀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
201106.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가 칭송한 두 사람 ‘독립운동가 남강 이승훈 편’ㅣ 다석을 아십니까 32편
https://youtu.be/picE3atZbzE (11:19)
•2020. 11. 6.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392명
#다석 #류영모 #금요명상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평소에 사람을 칭찬하지 않았던 것으로 유명합니다. 겉껍데기만 보고 누군가를 평가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칭송한 두 명의 사람이 있습니다. 그중 한 명이 남강 이승훈 선생님입니다.
남강 선생은 33인의 독립운동가 중 기독교를 대표하는 분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죠. 그러나 대한민국 사상의 큰 어른이었다는 것을 아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다석 님은 남강 선생과 생전에 사상적 교감을 나누며 그를 톨스토이에 비유하기까지 했는데요.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를 통해 두 사람의 가슴 뭉클한 일화를 만나보세요.
--------------------------------------------------------------
201113.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가 칭송한 두 사람 ‘맨발의 성자 방림 이현필 편’ㅣ 다석을 아십니까 33편
https://youtu.be/RHPMJUuQa68 (12:54)
•2020. 11. 13.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392명
#다석 #류영모 #이현필
“음란과 돈을 이기는 일이 곧 세상을 이기는 일이다. 우리에게 자유의지를 주셨으니 자기가 선택하여 좁은 문으로 들어갈 수 있다” -방림 이현필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가 칭송한 사람 중 한 명, 방림 이현필 선생.
이현필 선생은 종일 맨발로 다니며 하루 한 끼로 생활하는 검소와 자기극복의 삶을 실천했던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맨발의 성자’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또, 이현필 선생은 매일 밥을 지을 때 자기 몫에서 한 숟가락씩 떠서 모으는 ‘일작운동(一勺運動)’과 누구나 십 원씩 덜 쓰고 모으는 ‘십원운동’을 벌여 불쌍한 겨레를 도왔으며, 이는 오늘날 각종 모금사업의 모체가 되었습니다.
이번 주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이현필 선생의 치열한 삶과 실천가적 모습, 그리고 다석과의 인연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
201120.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의 남다른 천부경 해석ㅣ‘다석 류영모의 천부경 우리말 풀이 1부ㅣ다석을 아십니까 34편
https://youtu.be/vcjztXsxEuo (19:43)
*2020. 11. 20.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392명
#다석 #류영모 #천부경
여러분은 ’천부경(天符經)‘을 아시나요?
대종교에서 특히 신성시하는 이 경전은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를 절묘하게 축약해놓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총 81자의 짧은 경(經)에 담긴 글이 참으로 심오해 그동안 많은 이들이 천부경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풀이를 내놓았는데요. 그러나 그중에는 잘못된 풀이나 해독도 많습니다.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1963년 이 천부경을 우리말로 풀이했습니다.
소설 ‘단군’에서 작가 김태영은 “지금까지 나는 수많은 천부경 해설서를 읽어봤지만, 다석 선생만큼 그 핵심을 제대로 찌른 것은 만나보지 못했다”고 말했는데요.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참나를 깨달은 다석의 남다른 천부경 풀이를 만나보세요.
--------------------------------------------------------------
201127.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의 천부경 우리말 풀이 2부 | 다석을 아십니까 35편
https://youtu.be/ctJVeUH6L2I (13:38)
•2020. 11. 27.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392명
#다석 #류영모 #천부경
대종교의 기본 경전인 ’천부경(天符經)‘은 환국(桓國)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던 경으로 총 81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짧은 경 속에는 천지창조와 그 운행의 묘리, 만물 생장 성쇠의 원리가 심오하게 담겨있어 많은 이들이 그동안 다양한 해석과 풀이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대로 된 풀이는 없다는 평이 많습니다.
천부경은 구경의 깨달음을 얻은 사람만이 온전히 풀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참나를 깨달은 사람이 아니고는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는 1963년 이 천부경을 우리말로 풀이했습니다.
천부경 해설의 핵심을 제대로 찔렀다는 평가를 받는 다석의 천부경 풀이를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 만나보세요
--------------------------------------------------------------
201204.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의 천부경 우리말 풀이 3부ㅣ다석을 아십니까 36편
https://youtu.be/tPpPVJlc3dw (13:20)
•2020. 12. 4.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439명
#다석 #류영모 #천부경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의 정신과 사상을 소개하는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다석의 천부경 우리말 풀이‘ 시리즈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천지창조와 만물 생장 성쇠의 원리가 심오하게 담겨있어 많은 이들이 연구해온 천부경(天符經).
그리고 그 천부경의 핵심을 제대로 찔렀다는 평가를 받는 다석 류영모의 천부경 풀이
그 대망의 마지막 편을 만나보세요.
*다석의 천부경 풀이 1편: https://www.youtube.com/watch?v=vcjzt...
*다석의 천부경 풀이 2편: https://www.youtube.com/watch?v=ctJVe...
--------------------------------------------------------------
201211. [금요명상] 다석 류영모의 천부경 해석 4問4答ㅣ‘다석 류영모의 천부경 우리말 풀이 4부ㅣ다석을 아십니까 37편
https://youtu.be/4_56ULa68wM (10:58)
•2020. 12. 11.
다석 류영모의 생각교실
구독자 483명
#다석 #류영모 #천부경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다석 류영모의 정신과 사상을 소개하는 금요명상 ’다석을 아십니까‘에서는 총 3편의 ’다석의 천부경 우리말 풀이‘ 시리즈를 공개했습니다.
다석의 천부경 해석을 시청자 여러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 이 시리즈에 많은 분들의 호평이 이어졌는데요.
여러분이 주신 관심에 감사한 마음을 담아 스페셜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다석의 천부경 풀이의 핵심 내용을 4문4답의 형태로 요약한 특별편!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