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의 곡류_사행(蛇行)
강물은 하도에 장애물이 있으면 흐름이 한쪽 강기슭으로 밀려서 강하게 부딪치고, 부딪친 흐름이 다시 그 반동으로 하류(下流)의 반대쪽 기슭에 부딪쳐서, 강은 좌우로 곡류하면서 흐르게 된다. 그와 같은 모양을 하천의 곡류 또는 사행(蛇行)이라고 한다. 하천이 곡류할 때에는 흐름이 강하게 부딪치는 부분, 즉 공격사면(攻擊斜面)에서는 침식작용이 심해지고, 그 대안(對岸), 즉 보호사면(保護斜面)에서는 유속이 느리므로 토사가 퇴적된다. 그와 같은 작용을 되풀이하는 동안에 강은 더욱 더 곡류하게 되어 결국 홍수 때 강줄기가 끊겨서 초승달 모양의 하적호(河跡湖:牛角湖)를 형성하게 된다.
[출처] 하천의 곡류 | 네이버 백과사전
직강화(直降化) 하천
최근에 하천주변의 범람원을 많이 이용하게 되면서 하천의 유로변동을 막으며 홍수피해를 막기위해 하천을 직강화 즉 직선화 하려는 경향이 많아 졌습니다.
직강공사라는 말은 하천주변에 제방을 쌓아서 하천의 유로변경을 막아 직선화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직강공사는 물빠짐을 좋게할거라고 생각을 해서 시도햇지만 본류하천의 유속이 빨라지고 물길이 짧아져서 호우가 내리게 되면 직강화하기전보다 더 큰 홍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습지나 웅덩이 같은 자연환경이 단순화 되어 태계에 피해가 발생할수 잇다
하천의 직강화의 양면성
산업화 이후 도시에서는 항로를 구축하고 홍수를 조절하기 위해 사람들은 많은 하천의 하도를 직강화 하였다. 사실, 자유곡류하천을 직강화 하면 두 가지 측면에서 홍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첫째, 자유곡류 하천의 공격사면은 유속이 가장 빠르고 수면이 가장 높기 때문에 제방을 넘어 범람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지만, 하천을 직강화 하면 공격사면이 사라지게 되므로 홍수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직장화로 인해 하도가 짧아지면 하천의 경사와 유속이 증가한다. 그 결과 홍수에 의한 침식과 하각 작용으로 하도가 깊어져 하도의 홍수 수용 능력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하천의 직강화로 인해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첫째, 하천의 직강화로 인해 하천의 여울은 사라지게 된다. 여울은 수심이 얕고 유속이 빨라 물보라가 치게 되어 공기가 유입되 용존산소량을 높여 수중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해 준다. 하지만 직강화를 하면 여울이 사라지게 되므로 용존산소량이 줄어들어 하천생태계가 급격히 파괴 되게 된다..
둘째, 하천의 직강화는 유속의 증가와 첨두유량의 도달시간의 단축이 일어난다. 오른쪽 그림에서 (가)는 직강화 이전, (나)는 직강화 이후의 그래프 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직강화 이후에는 강수가 시작된 이후에 최대유량 도달시간이 빨라지고 그 유량 또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류지역의 범람 위험도는 감소하나 하류 지역의 경우 하천의 범람시 그 위력은 크게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로 인해 하천에 오염물질이 유입시 더 빠른 속도로 오염이 확장 되게 된다.

감입곡류(incised horizon)
하천의 곡류현상중 한 가지로서 주로 산간지방에서 산지 사이를 곡류하는 현상이다. 지반의 융기 또는 침식기준면의 하강으로 자유곡류하천이 원래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하도를 깊이 파면, 하도양안에 깊고 대칭적인 하곡을 이루면서 감입곡류를 하게 된다. 감입사행이라고도 하며, 감입곡류는 융기 이전 원래의 유로를 유지하면서 더욱 깊은 골짜기를 형성하게 된다. 감입곡류는 융기준평원을 침식하는 하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산간지대를 흐르는 대하천의 상류지역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감입곡류하천은 굴삭곡류하천과 생육곡류하천의 두 유형으로 나뉜다. 전자는 지각의 융기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하방침식이 빨리 진행되어 하곡의 횡단면이 대칭이고, 횡단면의 경사가 급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굴착곡류하천이라고도 한다. 후자는 융기 속도가 전자보다는 늦게 진행되는데 하방침식이 느리게 진행되는 중에 측방침식이 가미되고 하곡의 횡단면이 비대칭적인 것이 특징이다.
=========자연지리학 16p=======참고

위 지형도가 감입곡류하천의 지형도 예요~ 하천양안의 등고선의 간격을 보면 굉장이 좁게 나타나지요.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경사가 급하다^^ 생각나면 좋구요.
그만큼 하천이 깊게 파져 있는 걸 알 수가 있습니다.
즉 하천이 흐르는 하상(하천의 밑바닥)과 주변과 고도차가 많이 나타나게 되고 그러다 보니 범람이 종종 일어난다
라고 보기 어렵겠죠..(굉장히 상대적으로 범람이 일어날 정도의 고도에 집을 짓고 살면 그만큼 빈번하겠지만 감입곡류
하천을 따라 촌락이 분포하는걸 살펴보면 홍수로 부턴 안전한 단구에 주로 모여 산답니다.)
감입곡류하천을 배우게 될때 가장 많이 들어본 소리가 우리나라의 융기지형과 관련이 깊다. 융기 증거 지형이다!!!^^
이런거 겠죠. 그래서 배우기도 하는 거지만~
알아두세요.
융기증거지형엔 감입곡류하천도 있지만 , 고위평탄면, 해안단구, 하안단구도 있습니다.
방금전에 감입곡류하천을 따라 분포하는 촌락의 위치가 바로 하안단구를 의미한답니다.
왜 감입곡류하천이 융기의 증거지형이 되는지 알아야 되겠죠.~
감입곡류하천이란 과거 자유곡류하천이 지반의 융기 혹은 해수면 하강으로 인한 침식기준면의 저하로 인해 하천의
하방침식이 우세해 지면서 자유곡류의 모습을 어느정도 유지한채 골짜기를 깊게 파논 모습입니다.
자유곡류하천이 발달하기 위한 조건은 하천의 측방침식이 자유로와 유로변동이 잘 되어지는 것을 말하며
그런 작용이 잘 있게 하기 위해선 지형이 평탄하면 좋거든요.
즉!!! 우리나라는 굉장히 오랜 동안 평탄화 작용( 침식+퇴적)을 받습니다. 그런 이유로 하천이 자유곡류하기 좋았는데
지반의 융기로 인해 하천의 흐름이 빨라지며 측방침식보다 하방(하천의 밑바닥)침식이 우세해 지면서 감입곡류하천을 만들게
된거랍니다.
하천을 깊게 파면서 과거 하천의 평탄한 부분이 단구(계단상의 지형)로 남게 되는데 이를 하안단구(하천따라서 나타나는 계단상의 지형)라 합니다.^^
그래서 감입곡류하천과 하안단구는 바늘과 실의 관계^^ 랍니다.

그림에서 가에서 나방항, 그리고 하천방향의 단면을 그리게 되면 계단상의 지형모습이 나타나게 될겁니다.
그러한 지형을 단구라 합니다. 이것이 해안에 나타나면 해안에 나타나는 단구 , 해안단구가 될꺼구요.
첫댓글 ㅎ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ㅋㅋ그래서 메모는 필수가 되어버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