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불교 수용 | 목적 | * 국민의 사상 통일 → 왕의 권위 신장 → 중앙집권체제 강화 * 선진 문물의 수용 |
수용 | 고구려 | 소수림왕 때, 전진의 순도가 전래(372) |
백제 | 침류왕 때, 동진의 마라난타가 전래(384) |
신라 | 고구려 묵호자 전래(5C 중엽) → 아도화상(소지왕) →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로 공인(527) |
성격 | 왕실중심, 호국불교 = 왕즉불(王卽佛 : 왕이 곧 부처) → 호국사찰(황룡사) 불교집회(백좌강회), 불교식 왕호(법흥왕) |
결과 | * 왕권의 강화에 기여 = 왕의 권위 신장 * 인도와 중국의 선진 문물 수용 → 불교 예술, 문화 발전 |
삼국의 도교 수용 | 도교 | * 무위자연(無爲自然) : 억지로 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두라 * 최고의 선(善)은, ‘흐르는 물처럼’ = 민중의 사상 * 자신을 낮추고 베풀어 백성들이 스스로 따르게 하라 * 마이너(minor, 작은)의 철학 * 임금은 나서려 하지 말고, 귀족들의 지배를 그대로 두라 → 귀족들이 중심이 되어서 받아들임 |
발전 | 고구려 | * 연개소문, 왕권을 견제하기 위해 적극 장려 * 고분 벽화(신선과 사신도) : 강서 고분 → 사신도(四神圖) : 사방(四方, 세상)의 질서 유지 = 청룡(東), 백호(西), 주작(南), 현무(北) |
백 제 | * 금동 대향로 : 도교의 신선 사상 +불교의 극락세계 → 불전(佛典)에 향불 피움 (용 = 왕, 죽은 왕이 신선이 되고, 극락왕생 소망) * 산수무늬벽돌 : 자연과 함께 살고자, 不老不死 → 봉래산(三神山, 신선이 불로장생, 도교의 이상세계) * 무령왕릉의 지석(買地券, 신선으로부터 땅 구입) |
신 라 | * 화랑도 = 국선도(國仙徒), 풍월도, 풍류도(風流徒) |
儒學 = 儒敎 수용(收用) | 유교 儒學 | * 한자의 전래(고조선)와 함께, 유학이 삼국에 전래됨 * 문자생활 : 한자 + 이두 > 향찰 사용 * 이두, 향찰 :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 * 지배층의 사상 = 국왕중심의 통치이념(統治理念) * 메이저(major, 중대한, 큰)의 철학 * 선비(儒)의 학문(學問) * 중국의 ‘공자(孔子)’를 시조(始祖)로 하는 전통적인 학문. * 요(堯), 순(舜)으로부터 주공(周公)에 이르는 성인(聖人)을 이상으로 하고 인(仁)과 예(禮)를 근본 개념으로 하여, 수신(修身) →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 → 실천(實踐) 중시 |
발전 | 고구려 | * 중앙에, 태학(太學)설치(소수림왕) → 국가 인재양성 * 지방에, ‘경당’설치 유학과 무술교육 |
백 제 | * 오경(五經) 박사 → 국가 인재 양성 |
신 라 | * 진흥왕의 순수비, 화랑의 임신서기석(충성 맹세) |
역사책 편찬 | 목적 | 왕과 왕실의 권위(힘) 신장 및 국력 과시 |
편찬 | 고구려 | * ‘유기’ 100권 → ‘신집’ 5권 (이문진, 영양왕, 600) |
백 제 | * ‘서기’ (고흥, 근초고왕, 375) |
신 라 | * ‘국사’ (거칠부, 진흥왕, 5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