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동정월류 가야금 산조저자윤미용출판은하출판사 | 2010.3.5.페이지수66 | 사이즈 210*295mm판매가서적 9,000원
책소개
함동정월류 가야금 산조의 악보집. 함동정월류 가야금 산조는 김창조, 최옥산을 거쳐 함동정월 선생에게 이어져온 산조이다.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늦은 자진모리, 자진모리, 휘모리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단은 여러 개의 조로 이루어져 있어 끊임없는 변화를 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1. 함동정월류 가야금의 참 (眞) 세계
2.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의 특징
3. 함동정월 선생의 깊은 예술혼을 기리며
4. 차례
5. 부호설명
6. 가야금 조현법
7. 장고장단
8. 다스름
9.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
가 . 진양조
나 . 중모리
다 . 중중모리
라 . 늦은자진모리
마 . 자진모리
바 . 휘모리
10. 함동정월 선생 연보
11. 저자 소개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서평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는 김창조, 최옥산을 거쳐 함동정월 선생에게 이어져온 산조이다.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늦은 자진모리, 자진모리, 휘모리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단은 여러 개의 조로 이루어져 있어 끊임없는 변화를 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함동정월류 가야금 산조는 대체로 ‘우조’가 많아 다른 류에 비해 매우 꿋꿋하며, 위풍당당하게 넘치는 힘을 느낄 수 있다.
장단은 모두 우조로 시작하며 특히 중중모리는 우조로만 되어있는 점이 특이하다.
농현의 경우에는 깊은 농현을 잘 해야 하며, 상대적으로 잔 농현은 그리 많지 않다.
생전에 함동정월 선생은 이 산조를 일컬어 ‘더 넣고 뺄 것도 없이 잘 짜여졌다’고말하며, 스승의 산조에 대한 존경심과 긍지를 아낌없이 내비쳤다.
선생은 이 산조를 최옥산류라 부르는 것을 싫어했는데, 그렇다고 본인의 이름을 붙이는 것 역시 마다했다. 선생이 일컬은 말은 김창조류 산조였지만, 나는 함 선생과같은 시기의 무형문화재 1세대들이 모두 자기의 이름을 붙여 산조를 칭하였기에 이산조를 함동정월류라 부르고자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