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량이 상당히 많은 기사입니다.
SCIENCES INTELLIGENCE ARTIFICIELLE
IA versus ordinateur quantique : un combat très physique
AI 대 양자 컴퓨터: 매우 물리적인 싸움
Par David Larousserie
Publié hier à 18h00
ENQUÊTE Dans la course à la résolution des problèmes fondamentaux de physique et de chimie, l’intelligence artificielle et l’informatique quantique sont les deux champions en lice. Pour mieux en comprendre les enjeux, « Le Monde » éclaire les coulisses de ce match et revient sur les derniers rounds.
물리학 및 화학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쟁에서 인공지능과 양자 컴퓨팅이 두 챔피언을 가리고 있습니다. 르몽드에서 이번 대회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살펴보고 결승전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lice 1 [lis] 1. 여성형 명사 원형 경기장,투기장 2. 여성형 명사 경마장,장터 (=champ de courses, champ de foire) 3. 여성형 명사 (경마장 따위의) 울, 울타리
enjeu [ɑ̃ʒø] 1. 남성형 명사 내기,내기에 건돈 2. 남성형 명사 내거는 것,목적,초점,쟁점,관건,문제점
coulisse [kulis] 1. 여성형 명사 (미닫이·미끄럼 장치의) 홈[문짝] 2. 여성형 명사 [연극] (배경을 움직일 수 있게 바닥무대에 만든) 홈,(흔히 복수) 무대 뒤 3. 여성형 명사 내막, 흑막 (=dessous, secret)
Qui va gagner ? Qui,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IA) ou de l’ordinateur quantique, pourra sauver la planète ? C’est là l’avenir que prédisent à ces deux technologies dernier cri nombre d’annonces dressant la liste des problèmes importants qu’elles pourraient résoudre. Parmi eux : trouver des matériaux plus efficaces ou moins rares pour les batteries, aider à mieux capturer le CO2, identifier des méthodes moins gourmandes en énergie pour synthétiser l’ammoniac nécessaire aux engrais… Et pour y parvenir, relever rien de moins que l’un des plus grands défis de la science : modéliser les interactions entre atomes et molécules.
누가 승리할까요? 인공지능(AI)과 양자 컴퓨터 중 누가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요? 이 두 가지 첨단 기술이 해결할 수 있는 주요 문제를 나열한 여러 발표를 통해 예측되는 미래입니다. 그중에는 배터리에 더 효율적이거나 덜 희귀한 소재를 찾고, 이산화탄소를 더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비료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데 에너지 집약적이지 않은 방법을 찾는 것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의 가장 큰 도전 중 하나를 해결해야 합니다: 원자와 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
"dernier cri"는 프랑스어로 “최신 유행” 또는 "최신 기술"을 의미
"ces deux technologies dernier cri" "이 최신 두 기술"
engrais [ɑ̃gʀε] 1. 남성형 명사 비료 2. 남성형 명사 모이, 먹이, 사료 3. 남성형 명사 (식용가축·가금 따위를) 살찌우기, 비육(肥育)
"rien de moins que"는 “…보다 덜 하지 않다” 또는 "…이상"라는 뜻
Les rivaux, chacun paré de beaux atouts, ont, avant tout, de nombreux points communs. Tous deux reposent d’abord sur de la science solide et très ancienne. Le calcul quantique remonte à la théorie du même nom, élaborée pendant les années 1920 pour décrire les propriétés de la matière et ses interactions avec la lumière. L’IA est à peine plus jeune, née notamment grâce aux travaux d’Alan Turing, père de l’informatique moderne, dans les années 1930-1950.
각자의 강점을 가진 이 라이벌은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둘 다 탄탄한 고대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입니다. 양자 컴퓨팅은 1920년대에 물질의 성질과 빛과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동명의 이론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반면 AI는 1930년대와 1950년대에 현대 컴퓨팅의 아버지라 불리는 앨런 튜링의 연구 덕분에 등장한 조금 더 최근의 기술입니다.
parer 1 [paʀe] 1. 타동사 [문어] (로) 꾸미다, 장식[치장]하다 (=orner, embellir) 2. 타동사 성장(盛裝)시키다, 차려입히다,[비유] 미화하다 (=apprêter) 3. 대명동사 [옛·문어] (로) 꾸미다,장식[치장]하다 4. 대명동사 성장하다, 차려입다 (=s'endimancher)
atout [atu] 1. 남성형 명사 (카드 놀이의) 으뜸[상수]패 2. 남성형 명사 [비유] 성공의 수단 (=chance, avantage) 3. 남성형 명사 [속어] 타격 (=coup)
reposer 1 [ʀəpoze] 1. 자동사 [문어] 쉬다,가로 눕다,자다 2. 자동사 [문어] 활동을 정지하다 3. 간접타동사 의 위에 세워지다,에 기초를 두다 4. 간접타동사 에 달려있다, 에 좌우되다
reposer 2 [ʀəpoze] 1. 타동사 (본래의 장소에) 도로 갖다 놓다 2. 타동사 (떼어낸 것을) 다시 설치하다 3.대명동사 (문제 따위가) 다시 제기되다
remonter [ʀəmɔ̃te] 1. 자동사 다시 오르다 2. 자동사 다시 높아지다,[비유] 다시 증가하다, 다시 오르다 3. 타동사 (언덕·층계 따위를) 다시 오르다 4. 타동사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다 5. 대명동사 원기를 되찾다 6. 대명동사 (자신에 필요한 것을) 새로 갖추다
Des Nobel récents ont salué ces fondements scientifiques. En 2022, un trio de physiciens, dont le Français Alain Aspect, s’ajoutait à la longue liste des savants du quantique récompensés pour une découverte en lien avec le calcul quantique. En 2024, en physique et en chimie, des chercheurs ont été primés pour le développement de méthodes pionnières en IA et d’outils qui ont résolu des problèmes difficiles en biochimie pour prédire la forme tridimensionnelle des molécules.
최근 노벨상 수상자들은 이러한 과학적 토대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2022년에는 프랑스인 알랭 아스펙트를 포함한 세 명의 물리학자가 양자 컴퓨팅과 관련된 발견으로 상을 받은 양자 과학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024년에는 물리학 및 화학 분야에서 분자의 3차원 형태를 예측하기 위해 생화학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한 선구적인 AI 방법과 도구를 개발한 연구자들이 포상을 받았습니다.
savant [savɑ̃] 1. 형용사 박식한, 학식이 있는 (=docte, érudit) 2. 형용사 조예가 깊은 3. 명사 [옛] 박식한 사람,교양이 있는 사람
primer 2 [pʀime] 1. 타동사 (에게) 상을 주다 2. 타동사 장려금[특별 수당]을 지급하다
primer 1 [pʀime] 1. 자동사 [옛] 수위를 차지하다 2. 자동사 으뜸가다, 뛰어나다 3. 타동사 (을) 능가하다, (보다) 월등하다
Les deux domaines sont aussi tirés par les efforts des géants du numérique. Google, IBM, Microsoft ou Amazon dominent dans les deux catégories, y compris face au monde académique. Des start-up essaiment pour les concurrencer. Nuance de taille dans ce parallèle, l’IA écrase le quantique en termes d’investissements : les plus grandes levées de fonds dans le quantique – 620 millions de dollars pour l’américaine Psiquantum, 300 millions pour Quantinuum, 148 millions pour la chinoise Origin Quantum (en 2022) – sont bien pâles face aux investissements obtenus par leurs homologues de l’IA – 6 milliards pour xAI, la start-up d’Elon Musk, ou 4 milliards pour Anthropic, start-up soutenue par Amazon…
두 분야 모두 디지털 대기업의 노력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은 학계를 포함해 두 분야에서 모두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 스타트업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 측면에서는 AI가 퀀텀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퀀텀 분야에서 가장 큰 펀드레이저인 미국 사이퀀텀의 6억 2천만 달러, 퀀티넘의 3억 달러, 중국 오리진 퀀텀의 1억 4천 8백만 달러(2022년)는 엘론 머스크의 스타트업인 xAI의 60억 달러 또는 아마존이 지원하는 스타트업인 앤트로픽의 40억 달러와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입니다....
"y compris"는 "…을 포함하여"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명사나 명사구가 뒤따름. "face au monde académique"는 “학계와의 대면” 또는 "학계에 직면하여"라는 뜻. 'y compris’와 결합된 "face au monde académique"는 학계와의 관계를 포함한다는 뉘앙스를 가진 표현
essaimer [esε[e]me] 1. 자동사 (꿀벌들이) 분봉하다 2. 자동사 이주하다,(회사 따위가) 지점을 늘리다 3. 타동사 (집단을) 먼 곳에 보내다
"nuance de taille"는 “중요한 차이” 또는 "상당한 차이"라는 뜻. dans ce parallèle"는 "이 비교에서"
homologue [ɔmɔlɔg] 1. 형용사 [수학] 대응하는,[생물] 상동의,[화학] 동족의 2. 형용사 [구어] 동등한,상응하는 (=équivalent, correspondant) 3. 남성형 명사 [수학] 대응,[생물] 상동(기관),[화학
Autre point commun, ces technologies tournent avec le même carburant ou presque. Elles manipulent des représentations mathématiques identiques, appartenant au domaine de l’algèbre linéaire. Elles raffolent de vecteurs (des listes de nombres), de matrices (des tableaux de nombres), et encore d’espaces gigantesques à multiples dimensions.
또 다른 공통점은 이 기술들이 거의 동일한 연료로 작동한다는 점입니다. 이들은 선형대수학 분야에 속하는 동일한 수학적 표현을 조작합니다. 이들은 벡터(숫자의 목록), 행렬(숫자의 배열), 심지어 거대한 다차원 공간도 좋아합니다.
De jolis coups
Le combat est donc engagé. Pour le suivre, faisons le pari que, comme dans certains sports, il ne soit pas nécessaire de bien en comprendre toutes les règles pour en apprécier les enjeux, les rebondissements ou les jolis gestes. Accordons-nous aussi des libertés avec la chronologie du match, qui ne sera pas ici toujours respectée. Imaginons-les, enfin, comme deux boxeurs frappant des adversaires communs, cognant l’un sur l’autre, ou, beauté du sport, s’offrant des moments de solidarité inattendus.
이제 싸움이 시작되었습니다. 일부 스포츠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든 규칙을 이해하지 않아도 스테이크, 우여곡절, 멋진 동작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 베팅해 봅시다. 또한 여기서 항상 존중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기 연대기에서 자유를 취합해 봅시다. 마지막으로 두 명의 복서가 평범한 상대를 이기고 서로 부딪히거나, 스포츠의 아름다움인 예상치 못한 연대의 순간을 서로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상상해 봅시다.
engager [ɑ̃gaʒe] 1. 타동사 저당잡히다 2. 타동사 (보증으로) 주다, (명예 따위를) 걸다, 약속하다, 서약하다 3. 자동사 스포츠 킥오프로 경기{시합}를 시작하다 4. 자동사 스포츠 칼을 맞대다
rebondissement [ʀəbɔ̃dismɑ̃] 1. 남성형 명사 [비유] 새로운 전개, 재연 2. 남성형 명사 [드물게] 튀어오름 (=rebondissement)
accorder [akɔʀde] 1. 타동사 일치{조화·화해}시키다, 화목하게 하다(allier, associer, ↔désaccorder) 2. 타동사 일치시키다 ((일반적으로 faire ~)) ; (에)음조를 맞추다 ; (피아노 따위를) 조율하다 ; 동조시키다, (의) 파장을 맞추다. (분쟁·불화를) 해소시키다, 없애다(arranger, régler, ↔brouiller). 3. 대명동사 [s'accorder avec] (와) (의견이) 일치{조화}되다, (에) 동의하다 , 일치하다, 음조가 맞다. 4. 대명동사 의견이 일치하다.
cogner [kɔɲe] 1. 타동사 부딪(치)다, 충돌하다 (=heurter) 2. 타동사 두드리다,박아 넣다 3. 간접타동사 [cogner sur/à/contre] 을 두드리다, 치다, 때리다
Dans les années 1990, le boxeur IA est à terre, ses premiers succès – « systèmes experts », « IA symbolique » – ayant fait long feu. Le boxeur quantique profite de ce que son adversaire hiverne pour montrer ses muscles. Il frappe deux jolis coups. En 1994 et 1996, les Américains Peter Shor et Lov Grover mettent respectivement K.-O. deux problèmes : la factorisation des nombres entiers en un produit de nombres premiers, et la recherche d’informations dans une base de données. La complexité de ces tâches met à genoux les machines classiques car le temps de calcul augmente exponentiellement avec la taille des nombres à factoriser ou des bases de données. Mais les machines quantiques, elles, restent debout, car le temps de calcul des nouveaux algorithmes augmente mais pas exponentiellement.
1990년대에 인공지능의 권위자가 바닥에 누웠습니다. 그들이 이룬 초기의 성공인 '전문가 시스템’과 '상징적 인공지능’은 긴 시간 동안 지속되지 못했습니다. 이 양자 복서는 상대의 겨울을 이용해 자신의 근육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두 번의 훌륭한 타격을 가했습니다. 1994년과 1996년, 미국인 피터 쇼어와 러브 그로버는 각각 정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누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 검색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러한 작업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 컴퓨터는 계산해야 할 숫자나 데이터베이스의 크기에 따라 컴퓨팅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반면 양자 컴퓨터는 여전히 건재합니다. 왜냐하면 새로운 알고리즘의 컴퓨팅 시간은 증가하지만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ayant fait long feu"는 프랑스어에서 ‘오래 지속되지 않은’, ‘곧 시들해진’ 또는 '효력이 사라진’이라는 의미. 여기서 "long feu"는 문자 그대로는 '오래 불이 붙었다’는 뜻이지만, 비유적으로는 어떤 것이 처음에는 활발했거나 성공적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영향력이 약해지거나 사라졌다는 것을 나타냄.
hiverner [ivεʀne] 1. 자동사 (선박 따위가) 피한하다,(군대가) 동영(冬營) 하다 2. 자동사 (동물이) 겨울을 나다 3. 타동사 (밭을) 가을갈이하다 4. 타동사 (가축을) 겨울동안 축사에 넣다 (↔estiver)
exponentiel [εkspɔnɑ̃sjεl] 1. 형용사 [수학] 지수(指數)의 2. 여성형 명사 지수함수
factorisation [faktɔʀizɑsjɔ̃] 여성형 명사 [수학] 인수분해
nombre entire 정수, nombre premier 소수
Mais, au tournant des années 2010, le camp de l’IA se réveille, sous une autre forme que celle qui l’avait conduit en hibernation. Avec des réseaux de neurones artificiels (primés par le Nobel de physique 2024), et une technique dite « de machine learning » (« apprentissage machine »), les victoires s’enchaînent. En 2012, un logiciel dopé aux neurones artificiels bat tous ses concurrents à un concours de reconnaissance d’images. En 2016, un champion de go perd contre une IA. A partir de 2017, la traduction automatique commence à menacer les humains…
하지만 2010년대 들어서면서 인공지능 진영은 동면 상태였던 이전과는 다른 형태로 깨어났습니다. 인공 신경망(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과 '머신 러닝'으로 알려진 기술을 통해 연이은 승리가 이어졌습니다. 2012년에는 인공 뉴런으로 도핑된 소프트웨어가 이미지 인식 대회에서 모든 경쟁자들을 물리쳤습니다. 2016년에는 바둑 챔피언이 인공지능에게 패배했습니다. 2017년에는 기계 번역이 인간을 위협하기 시작했습니다...
doper [dɔpe] 1. 타동사 (말·사람 따위에) 흥분제를 투여하다 2. 타동사 (1953) [비유] (경제 따위를) 활성화하다 3. 대명동사 흥분제를 복용하다
neurone [nøʀɔn] 1. 남성형 명사 [해부] 뉴런, 신경단위,신경세포 2. 남성형 명사 [정보] 뉴런, 신경회로망
Il ne s’agit pas encore de « sauver la planète », mais cette stratégie donne des idées au camp d’en face, qui s’en prend aux mêmes cibles pour montrer qu’il peut les atteindre encore plus vite. S’enchaînent des démonstrations de force, prouvant la supériorité du quantique sur l’IA en reconnaissance d’images, identification de communautés, recommandation de contenus… Des dizaines d’algorithmes, baptisés quantum machine learning (QML, « apprentissage automatique quantique »), sont proposés, plus rapides, plus précis ou plus économiques énergétiquement que leurs analogues en IA classique.
아직은 '지구를 구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이 전략은 같은 목표를 더 빨리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같은 목표를 쫓는 반대 진영에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인식, 커뮤니티 식별, 콘텐츠 추천 등에서 AI보다 퀀텀의 우월성을 입증하였습니다. 수십 가지 알고리즘, 즉 양자 머신러닝(QML)이라고 불리는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기존 AI 아날로그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윽박지르다, 면박주다, 눈홀기다 intimider, s'en prendre à
« La motivation était de trouver comment le quantique pouvait faire la différence avec le classique. Au départ c’était très fondamental, puis ça a été de plus en plus appliqué », se souvient Elham Kashefi, directrice de recherche CNRS et professeure d’informatique quantique à l’université d’Edimbourg (Ecosse), qui a participé à cette période euphorique et victorieuse.
“양자 컴퓨팅이 기존 컴퓨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동기가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매우 기초적인 연구였지만 점점 더 응용 분야로 확대되었습니다."라고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의 양자 컴퓨팅 연구 책임자이자 CNRS 교수인 엘함 카쉬피는 이 행복하고 승리의 시기에 참여했던 당시를 회상합니다.
euphorique [øfɔʀik] 1. 형용사 행복감을 자아내는[동반하는] (↔déprimant, dépressif) 2. 형용사 흐뭇한, 행복[만족]을 느끼는
Boxeur de papier 종이 복서
Les investissements des grands industriels et des grandes nations se multiplient pour mettre au point les machines capables d’exécuter ces jolis coups quantiques. Car, il est temps de le révéler, le boxeur quantique est d’abord un boxeur de papier, une figure idéale qui n’existe encore que dans les têtes des théoriciens. Mais les feuilles de route prévoient que de vraies machines existeront dans plusieurs années.
주요 산업계와 국가들은 이러한 양자 타격을 가할 수 있는 기계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양자 복서는 무엇보다도 종이 복서로, 아직 이론가들의 머릿속에만 존재하는 이상적인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로드맵에 따르면 몇 년 후에는 실제 기계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révéler [ʀevele] 1. 타동사 (미지의 사실을) 드러내다, 밝히다,(비밀 따위를) 폭로[누설]하다 (=dévoiler, divulguer) 2. 타동사 (주어는 사물) 보여주다, 드러나게 하다 3. 대명동사 드러나다, 밝혀지다,(단점 따위가) 폭로[누설]되다 4. 대명동사 (자기가) 임을 드러내다
feuille de route 로드맵
Le boxeur IA existe, lui, bel et bien, moulinant grâce à des cartes graphiques qui jusqu’à présent dopaient les jeux vidéo (notons que ces cartes ont des processeurs reposant sur des principes… quantiques, mais différents de ceux permettant les merveilles annoncées).
인공지능 권투 선수는 실제로 존재하며, 지금까지 비디오 게임을 발전시키는데 사용되었던 그래픽 카드 덕분에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이 그래픽 카드는 양자 물리학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지만, 장래에 기대되는 놀라운 기술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bel et bien - Tout à fait, entièrement.
mouliner [muline] 1. 타동사 [옛] (나무를)쏠다, 갉다 2. 타동사 (축융기로 명주실을) 꼬아 잣다 3. 타동사 [구어] (믹서로) 야채를 갈다
C’est le moment où l’informatique classique se rebelle, monte sur le ring et malmène le super-héros quantique. En 2018, la jeune étudiante américaine Ewin Tang de l’université du Texas, 18 ans, désarçonne une des vedettes du QML proposée en 2016 pour accélérer la recommandation de films, livres…
고전 컴퓨팅이 반란을 일으키고 링에 올라 양자 슈퍼히어로를 거칠게 몰아붙이는 순간입니다. 2018년, 텍사스 대학교의 18세 미국 학생 에윈 탕은 영화, 책 추천 속도를 높이기 위해 2016년에 제안된 QML의 스타 중 한 명을 무장 해제했습니다.
malmener [malməne] 1. 타동사 난폭하게 다루다, 학대하다,혹평하다 2. 타동사 [운동] 호되게 몰아붙이다, 압도하다
désarçonner [dezaʀsɔne] 1. 타동사 낙마(落馬)시키다 (=démonter) 2. 타동사 [비유] 당황하게[아연하게]하다 (=déconcerter, dérouter)
vedette [vədεt] 1. 여성형 명사 주역[인기] 배우,인기 연예인, 스타 2. 여성형 명사 (배우가) 광고에서 큰 글씨로 이름이 씌어지기,주역의 자리 3. 여성형 명사 (각 분야의) 주역, 스타, 인기있는 사람[것]
Son alternative est parfaitement classique, fonctionnant sur un ordinateur normal. Le coup est rude. Un autre suit en 2019, quand Google prétend avoir réussi à calculer, grâce à sa machine quantique, quelque chose qui demanderait dix mille ans à un superordinateur. Quelques mois plus tard, plusieurs groupes font le même calcul en quelques heures sur des machines ordinaires.
그 대안은 일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완벽한 클래식입니다. 큰 타격이었습니다. 2019년에는 구글이 양자 머신을 사용해 슈퍼컴퓨터로 1만 년이 걸리는 계산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몇 달 후, 여러 그룹이 일반 컴퓨터로 몇 시간 만에 동일한 계산을 수행했습니다.
rude [ʀyd] 1. 형용사 (사람이) 세련되지 못한, 투박한,거친,무뚝뚝한,가차없는 (=fruste, dur) 2. 형용사 (상대하기에) 무서운, 만만치 않은 (=redoutable) 3. 형용사 (일 따위가) 힘든, 고된,(추위 따위가) 혹독한 (=pénible)
prétendre [pʀetɑ̃ːdʀ] 1. 타동사 ⸨경멸적⸩ 과욕을 품다, (자신을) 과신하다(se flatter, se vanter) ; (의심스러운) 주장을 하다 ;a. [prétendre + inf. /que + ind.] 2. 타동사 [prétendre qn/qc+속사] 3. 간접타동사 [문어] [prétendre à qc/] 을[하기를] 희망하다, 열망하다,(자신의 권리로서) 요구하다
En 2022, le boxeur quantique perd quasiment un bras. L’organisme de standardisation américain NIST sélectionne quatre algorithmes classiques pour permettre le chiffrement des transactions bancaires ou des certificats de connexion aux sites Web, robustes aux assauts quantiques. Or c’est justement ces applications que l’algorithme de Peter Shor devait « casser ».
2022년, 양자 복서는 거의 팔을 잃었습니다. 미국 표준 기관인 NIST는 양자 공격에 강한 은행 거래 또는 웹사이트 연결 인증서를 암호화하기 위한 네 가지 고전적인 알고리즘을 선정했습니다. 하지만 피터 쇼어의 알고리즘이 '깨뜨리기' 위해 설계된 것은 바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었습니다.
chiffrement [ʃifʀəmɑ̃] 남성형 명사 (통신문의) 암호화 (=chiffrage)
Peu à peu, les « avantages quantiques » disparaissent. « Il n’est pas simple de débrouiller les exagérations qui ont marqué cette période. L’excitation pour le QML est un peu retombée mais il n’est pas mort », constate Elham Kashefi. « Le moral de cette communauté est un peu à la baisse », complète Filippo Vicentini, professeur assistant en intelligence artificielle et physique quantique à l’Ecole polytechnique, qui a participé à la sélection des exposés de la dernière conférence sur le sujet en Australie.
조금씩 '양자 우위'가 사라졌습니다. “이 시기를 특징짓는 과장을 정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QML에 대한 흥분은 조금 사그라들었지만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라고 Elham Kashefi는 말합니다. “이 커뮤니티의 사기는 약간 떨어진 상태입니다."라고 호주에서 열린 마지막 컨퍼런스의 논문 선정을 도운 에콜 폴리테크닉의 인공지능 및 양자 물리학 조교수 필리포 비센티니는 덧붙입니다.
débrouiller [debʀuje] 1. 타동사 (의) 얽힌 것을 풀다,(서류 따위를) 정리하다 (=démêler) 2. 타동사 [비유](어려운 문제·일을) 풀다, 해결하다,해명하다 (=élucider) 3. 대명동사 (얽힌 것이) 풀리다,정리되다,해결[해명]되다 4. 대명동사 곤경에서 벗어나다
exagération [εgzaʒeʀɑsjɔ̃] 1. 여성형 명사 과장,부풀린 말[표현] 2. 여성형 명사 지나침, 극단
excitation [εksitɑsjɔ̃] 1. 여성형 명사 자극[선동, 격려]하기 (=encouragement) 2. 여성형 명사 흥분,정신적 혼란 (=exaltation, agitation) 3. 여성형 명사 [생리]
exposé [εkspoze] 1. 형용사 진열된, 전시된 2. 형용사 (로) 향한, 면한,(햇빛·바람 따위에) 노출된 3. 남성형 명사 보고, 설명, 분석 4. 남성형 명사 (연구) 발표, 논술
Un cœur fragile 연약한 심장
Les experts se penchent alors sur le talon d’Achille du champion quantique. Sa force est aussi sa faiblesse. Au lieu de traiter des bits d’information, 0 ou 1, comme dans une puce électronique, la machine manipule des bits qui sont à la fois des 0 et des 1, des qubits. Mais ce cœur quantique est fragile. La moindre perturbation, comme un changement de température, le met à l’arrêt ou lui fait faire des erreurs. Très dur à protéger, et à contrôler.
전문가들은 양자 챔피언의 아킬레스건(약점)에 주목했습니다. 양자컴퓨터의 강점은 약점이기도 합니다. 양자 컴퓨터는 전자 칩처럼 0 또는 1 비트의 정보를 처리하는 대신 0과 1이 모두 있는 비트, 즉 큐비트를 조작합니다. 하지만 이 양자 코어는 취약합니다. 온도 변화와 같은 사소한 교란이 발생하면 작동이 멈추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호하고 제어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puce [pys] 1. 여성형 명사 [곤충] 벼룩 2. 여성형 명사 le marché aux puces,(생략) les puces (특히 파리의) 벼룩 시장, 중고품 시장 3. 형용사 (불변) 적갈색의
qubit (informatique) (physique) État quantique qui représente la plus petite unité de stockage d’information quantique.
Les belles promesses semblent inatteignables. « Il faut trop de ressources, en fait, pour voir un avantage au QML », souligne Filippo Vicentini. Plusieurs pointent aussi la lenteur intrinsèque et paradoxale de la machine, vendue comme « rapide ». C’est sa « mémoire » qui pèche. Faire « entrer » les données d’une tâche classique sur les multiples qubits est complexe et prend du temps, même si, ensuite, le calcul est rapide. Finalement, cela fait perdre bien des avantages.
훌륭한 약속은 달성할 수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필리포 비센티니는 “사실 QML에서 이점을 보려면 너무 많은 리소스가 필요합니다.”라고 강조합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빠른” 것으로 판매되는 기계의 본질적이고 역설적인 느림을 지적합니다. 부족한 것은 바로 '메모리'입니다. 기존 작업의 데이터를 여러 큐비트에 입력하는 작업은 계산이 빠르더라도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결국 많은 이점을 잃게 됩니다.
promesse [pʀɔmεs] 1. 여성형 명사 약속 (=engagement, parole) 2. 여성형 명사 [문어] 전조(前兆), 조짐,(흔히 복수) 장래성, 가능성 3. 여성형 명사 선서
atteignable [atεɲabl] 형용사 [드물게] 도달할 수 있는 (=accessible,), (↔inatteignable)
intrinsèque [ɛ̃tʀɛ̃sεk] 1. 형용사 내재하는, 내부의,본질적인, 고유한 2. 형용사 [해부] 기관(器官) 고유의, 자체의,[생화학] 내인성(內因性)의 3. 형용사 [정보] 진성(眞性)의
pécher [peʃe] 1. 자동사 (종교·윤리적인) 죄를 짓다, 과오를 범하다 (=faillir) 2. 자동사 (을) 어기다, 위반하다 (=manquer à) 3. 자동사 (에)결함[결점]이 있다
Qu’à cela ne tienne, même mal en point, le boxeur quantique trouve une parade. Il change de style. Avant d’atteindre la perfection, avec des qubits sans erreur, il se targue de montrer qu’il peut calculer avec les machines imparfaites disponibles. Au lieu d’essayer de copier « bêtement » l’IA, il s’inspire de ce qui donne la force à son adversaire. Les informaticiens inventent alors des techniques de calcul dites « variationnelles » ou hybrides.
하지만 양자 복싱 선수는 아무리 불리한 상황에서도 방법을 찾아냅니다. 그는 자신의 스타일을 바꿉니다. 오류 없는 큐비트로 완벽을 이루기 전에, 그는 불완전한 기계로도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그는 인공지능을 '어리석게' 모방하는 대신 상대방의 강점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컴퓨터 과학자들은 이른바 '변형' 또는 하이브리드 계산 기술을 발명하고 있습니다.
se targuer [s(ə)taʀge] 대명동사 [문어] (을) 자랑하다, 뽐내다 (=se vanter)
Comme en IA, le but est de chercher la meilleure combinaison de paramètres permettant de résoudre une tâche. Sauf que, dans ce cas, les paramètres seront les valeurs à entrer pour régler la configuration de la machine quantique, ses qubits (quelles connexions entre eux ? quelles tensions électriques à appliquer ?). La machine n’a plus besoin d’être parfaite, un algorithme – de machine learning classique ! – trouve le moyen de la rendre « parfaite » par étapes successives. Un peu tordu, mais ça marche. Des dizaines de nouvelles stratégies sont proposées pour tirer profit de l’imperfection des machines. Le boxeur quantique se réveille.
AI에서와 마찬가지로, 목표는 작업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매개변수 조합을 찾는 것입니다. 단, 이 경우 매개변수는 양자 머신의 구성, 큐비트(큐비트 사이의 연결, 전압 적용 등)를 조정하기 위해 입력할 값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다릅니다. 기계는 더 이상 완벽할 필요가 없습니다. 알고리즘, 즉 고전적인 머신 러닝! - 알고리즘은 연속적인 단계를 통해 '완벽'하게 만드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약간 복잡하지만 작동합니다. 기계의 불완전성을 활용하기 위해 수십 가지의 새로운 전략이 제안되었습니다. 양자 복서가 깨어납니다.
paramètre [paʀamεtʀ] 1. 남성형 명사 [수학] 파라미터, 조변수, 매개변수 2. 남성형 명사 [통계] 모수(母數), 모집단 특성값 3. 남성형 명사 (현상·문제의 이해에 중요한) 요인, 특질
configuration [kɔ̃figyʀɑsjɔ̃] 1. 여성형 명사 외형, 형상,지형(地形) 2. 여성형 명사 입장, 지위 3. 여성형 명사 [정보] 구성 (컴퓨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요소의 한 세트)
régler [ʀegle] 1. 타동사 (기계 따위를) 조절{조정}하다 ; (행동 따위를) 맞추다, 부합시키다(conformer). 2. 타동사 결정하다, 정하다(établir) 3. 대명동사 조정{조절}되다 , 결정{해결}되다 4. 대명동사 (을) 따르다, 본받다
tordu [tɔʀdy] 1. 형용사 비틀어진, 꼬인,(얼굴이) 찌푸린 2. 형용사 [비유] 생각이 이상한,머리가 돈 (=bizarre) 3. 명사 머리가 돈 사람 (=fou) 4. 명사 [속어] 바보, 얼간이
Sans boussole ni jumelle 나침반이나 쌍안경 없이
Sauf que, à nouveau, tout le monde lui tombe dessus.
다시금 모든 사람이 그에게 덮치는 점을 제외하면 말입니다..
boussole [busɔl] 1. 여성형 명사 나침반 (=compas) 2. 여성형 명사 지침(指針),안내자 3. 여성형 명사 [전기] 전류계
jumelle 쌍둥이, 쌍안경, 복식
'Sauf que’는 프랑스어에서 ‘하지만’, ‘그런데’ 또는 '다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앞서 언급된 내용을 반박하거나 대조하는 상황에서 쓰임
Un coup, un peu traître, est même donné par une équipe de Google, grand supporteur du quantique. L’argument est technique mais peut se résumer comme suit. Trouver la meilleure combinaison revient à explorer un vaste espace de paramètres possibles, équivalent d’un paysage pour un voyageur, dans lequel il espère tomber sur un sommet, dans le brouillard, sans boussole ni jumelles. L’idée, simple, est d’avancer, à chaque pas, dans la direction ascendante. A la fin, quand monter ne sera plus possible, le sommet sera atteint.
양자 기술을 적극 지지하는 구글의 한 팀에서 다소 위험한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이 주장은 기술적인 내용이지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최적의 조합을 찾는다는 것은 나침반이나 쌍안경 없이 안개 속에서 정상을 만나기를 희망하는 여행자의 풍경과 같은 광활한 가능성의 공간을 탐험하는 것과 같습니다. 간단한 아이디어는 한 걸음 한 걸음 위로 올라가는 것입니다. 마지막에는 더 이상 등반이 불가능할 때 정상에 도달하게 됩니다.
traître [tʀεtʀ] 1. 명사 배반[배신]자, 반역자, 매국노 2. 명사 [옛·과장] 음흉한 사람,(연극의) 악역 3. 형용사 (다음의 의미로는 여성도 남성형을 사용함) 배신[배반]하는, 반역할 가능성이 있는 4. 형용사 (보기와 달리) 위험한, 음흉[음험]한
'comme suit’는 문장에서 "다음과 같이". 'comme’는 표현이나 설명이 이어질 것임을 암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다음에 명사가 오지 않아도 문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음
Sauf que cette équipe a démontré, en 2018, que le paysage est souvent « plat », rendant l’exploration très très lente. A moins d’un coup de chance au départ, on n’arrivera pas à trouver le sommet… « Les solutions à ce problème doivent être trouvées », souligne le résumé de l’article.
하지만 이 팀은 2018년에 이 지형이 종종 “평평”하여 탐험이 매우 느리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처음에 운이 따르지 않는 한 정상을 찾지 못할 것입니다... ”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찾아야 합니다."라고 기사 요약에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D’autres attaquent sous un autre angle. Ils s’amusent à « déquantifier » les algorithmes variationnels. C’est-à-dire à contourner ce qui est vraiment quantique dans l’affaire et à s’en passer pour faire tourner, sur le même problème, des algorithmes tout à fait classiques.
다른 사람들은 다른 각도에서 공격합니다. 이들은 변형 알고리즘을 '비양자화'하는 데 재미를 붙이고 있습니다. 즉, 해당 문제에서 진정으로 양자적인 요소를 회피하고, 이를 거치지 않고도 완전히 전통적인 알고리즘으로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En 2023, c’est une puce d’IBM à 127 qubits qui fait les frais de cette méthode. Douze jours après la publication de ses performances dans la revue Nature, une équipe américaine dépose un preprint simulant la même chose que le géant de l’informatique mais sur un ordinateur classique. Et deux mois plus tard, un autre groupe récidive, avec une autre méthode. La même année, Xavier Waintal (CEA) et Thomas Ayral (entreprise ATOS, devenue Eviden) expliquent que la star de ces algorithmes variationnels, permettant des opérations sur des matrices, ne présente pas vraiment d’avantage quand il est utilisé avec ces machines quantiques actuelles imparfaites.
2023년에는 127개의 큐비트가 탑재된 IBM 칩이 이 방식의 정점을 찍게 될 것입니다. 네이처 저널에 성능이 발표된 지 12일 후, 미국 연구팀은 이 거대 컴퓨터와 동일한 것을 시뮬레이션한 프리프린트를 기존 컴퓨터로 제출했습니다. 그리고 두 달 후, 다른 그룹이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다시 시뮬레이션을 수행했습니다. 같은 해, 자비에 와인탈(CEA)과 토마스 아이랄(ATOS, 현 에비덴)은 행렬 연산을 허용하는 이러한 변형 알고리즘의 핵심이 오늘날의 불완전한 양자 컴퓨터와 함께 사용할 때 실제로 어떤 이점도 제공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frais 2 [fʀε] 1. 남성 복수형 명사 경비, 지출 (=coût, dépense) 2. 남성 복수형 명사 [경제] 비용, 경비 3. 남성 복수형 명사 [법] (법률행위에 의해 발생한) 비용, 요금,세금 (=droit, taxe)
faire les frais de qc ···의 쓰라린 결과를 감수하다
faire les frais de la conversation 대화의 주도권을 잡다
récidiver [ʀesidive] 1. 자동사 [의학] (병이) 재발하다 2. 자동사 죄를 다시 저지르다 3. 자동사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다
Même des anciens de la vague précédente, le QML, s’y mettent. Jonas Landman et Elham Kashefi publient par exemple, en 2022, une version classique d’un algorithme variationnel quantique.
전임자들조차도 이전의 흐름, 즉 QML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에 조나스 랜드만과 엘함 카쉬피는 양자 변형 알고리즘의 고전적인 버전을 발표했습니다.
"vague précédente" '이전의 흐름’
Problème à N corps N-바디 문제
Mais l’attaque la plus sérieuse vient frontalement du camp d’en face, celui de l’IA. Et concerne qui plus est l’un des plus grands défis de la science, dont on pensait que seule une machine quantique pourrait le relever : modéliser les propriétés des molécules et donc de la matière. Faire qu’un ordinateur puisse prédire que tel composé sera isolant, conducteur, voire supraconducteur, c’est-à-dire sans résistance électrique. Ce Graal porte le nom de problème à N corps, N désignant le nombre d’électrons en interaction dans le système, et qui régissent ses propriétés. C’est la résolution de ce problème qui permettrait aussi de « sauver la planète » en accélérant la découverte de nouveaux matériaux, de catalyseurs…
그러나 가장 심각한 공격은 반대 진영, 즉 AI로부터 정면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욱이 이는 과학이 직면한 가장 큰 난제 중 하나이자 양자 컴퓨터만이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분자, 즉 물질의 특성을 모델링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컴퓨터가 주어진 화합물이 절연체, 도체 또는 초전도체가 될지, 즉 전기 저항이 없는 화합물이 될지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성배를 N-본체 문제라고 하는데, 여기서 N은 시스템의 특성을 지배하는 상호 작용하는 전자의 수를 나타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면 새로운 물질, 촉매 등의 발견 속도를 높여 “지구를 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Et concerne qui plus est"는 '그리고 더욱이 이는’ - "plus"는 강조를 위한 부사
Graal [신화·전설] 거룩한 잔
FANNY MICHAELIS
En 2016, Giuseppe Carleo et Matthias Troyer, de l’Ecole polytechnique de Zurich, publient un preprint, qui paraîtra dans Science l’année suivante et marquera les esprits. Ils proposent d’utiliser des principes de l’IA pour attaquer le grand problème quantique, de plein fouet.
2016년 취리히 공과대학의 주세페 칼레오와 마티아스 트로이어는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 논문든 이듬해 사이언스지에 실려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들은 AI 원리를 이용해 양자 문제를 정면으로 해결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fouet [fwε] 1. 남성형 명사 채찍, 회초리 2. 남성형 명사 채찍[매]에 의한 벌,태형 3. 남성형 명사 [비유·문어] 신랄한 비난[비판, 질책]
« A l’époque, ces techniques n’avaient pas bonne presse chez les physiciens, car elles étaient considérées comme trop empiriques et manquant d’explicabilité pour comprendre les résultats », explique Filippo Vicentini. « J’avais été impressionné par le succès du machine learning au jeu de go. Ça a piqué ma curiosité pour les réseaux de neurones et m’a donné envie de m’en servir pour la physique quantique, se souvient Giuseppe Carleo. Mon directeur était sceptique mais ça a marché. Même avant la publication dans Science, des collègues se sont lancés à partir du preprint. »
“당시 이러한 기술은 너무 경험적이고 결과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명력이 부족하다고 여겨져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라고 필리포 비센티니는 설명합니다. “저는 바둑 게임에서 머신러닝의 성공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신경망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했고 양자 물리학에 사용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라고 Giuseppe Carleo는 회상합니다. 감독관은 회의적이었지만 결국 성공했습니다. 사이언스에 게재되기 전부터 많은 동료들이 이 프리프린트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empirique [ɑ̃piʀik] 1. 형용사 경험에 의거한, 경험적인,[경멸] 어림잡은 2. 형용사 [경멸] (치료·투약 따위가) 과학적 의학을 무시하는, 경험에만 의존하는 3. 명사 경험주의자 4. 명사 [철학] 경험론자
explicabilité [ εksplikabilite ] 여성명사 설명할 수 있음,가해함
Son système de machine learning cherche à construire le meilleur réseau de neurones possible pour reproduire le système quantique à étudier – une assemblée d’électrons, par exemple. Reproduire le système quantique signifie alors trouver la fonction d’onde (l’un des concepts fondamentaux de la mécanique quantique) qui contient les propriétés de ce système et qui obéit à l’équation de base de la mécanique quantique, l’équation de Schrödinger.
머신러닝 시스템은 연구하고자 하는 양자 시스템(예: 전자의 집합)을 재현하기 위해 가능한 최상의 신경망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그런 다음 양자 시스템을 재현한다는 것은 이 시스템의 특성을 포함하고 양자역학의 기본 방정식인 슈뢰딩거 방정식을 따르는 파동 함수(양자역학의 기본 개념 중 하나)를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onde [ɔ̃ːd] 1. 여성형 명사 [옛·문어] 파도, 물결,(바다·강·호수의) 물 (=flot, vague) 2. 여성형 명사 파형(波形)(의 것),굽이침, 일렁임 3. 여성형 명사 파문(波紋),파동(波動)
contenir [kɔ̃tniːʀ] 1. 타동사 포함하다, 내포하다, 함유하다 (=renfermer) 2. 타동사 용적[용량, 면적]이 이다 (=tenir) 3. 대명동사 자제하다 (=se maîtriser) 4. 대명동사 서로 견제하다
équation [ekwɑsjɔ̃] 1. 여성형 명사 [수학] 방정식 2. 여성형 명사 [화학] 화학(방정)식 3. 여성형 명사 [천문] 차(差)
Or trouver une fonction obéissant à une équation, c’est l’une des tâches reine du machine learning. On bouge les paramètres du réseau de neurones jusqu’à trouver la solution. « C’est un peu comme au jeu de go. On cherche l’optimal pour gagner », note Giuseppe Carleo. En 2016, le comportement de 100 électrons figés sur un réseau est décrit par cette méthode, soit l’ordre de grandeur du nombre d’électrons pertinents pour décrire une molécule.
방정식을 따르는 함수를 찾는 것은 머신러닝의 핵심 작업 중 하나입니다. 해를 찾을 때까지 신경망의 매개변수를 움직입니다. “마치 바둑을 두는 것과 비슷합니다. 우리는 이길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라고 주세페 칼레오는 말합니다. 2016년에 네트워크에 고정된 100개의 전자의 거동을 이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했는데, 이는 분자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전자 수의 크기의 순서입니다.
or 2 [ɔʀ] 1. 접속사 그런 중에, 그때,그런데 2. 접속사 그런데도, 그렇기는 하지만 (=cependant) 3. 부사 [옛] 지금, 현재 (=maintenant, présentement)
bouger [buʒe] 1. 자동사 움직이다,(사물이) 움직여지다 (=remuer) 2. 자동사 이동하다, 자리를 옮기다 (=se déplacer) 3. 타동사 [구어] 움직이다, 옮기다 (=déplacer)
figer [fiʒe] 1. 타동사 (피·기름 따위를) 엉기게 하다, 굳게 하다 (=condenser) 2. 타동사 꼼짝 못하게 하다 3. 대명동사 (피가) 엉기다,(기름·소스 따위가) 굳어지다 4. 대명동사 (표정·자세 따위가) 굳어지다, 뻣뻣해지다
pertinent [pεʀtinɑ̃] 1. 형용사 적절한, 적합한,타당한,정당한,올바른 (=approprié, justifié, judicieux) 2. 형용사 [법] (법 조항과) 직접 관련성이 있는,(증거가) 관련성이 있는 3. 형용사 [언어] 관여적인 (=distinctif)
comportement [kɔ̃pɔʀtəmɑ̃] 1. 남성형 명사 행동, 태도, 처신,반응 2. 남성형 명사 [심리] 행동 3. 남성형 명사 (기계 따위의) 작동
L’approche sans machine 기계가 필요 없는 접근 방식
Puis les succès de cette technique s’enchaînent, en physique nucléaire, pour étudier les noyaux des atomes ou les étoiles à neutrons, ou en chimie quantique pour prédire l’état stable de molécules… « J’ai découvert cette méthode pendant ma thèse et je me suis vite formé et lancé », témoigne Filippo Vicentini, qui en 2019 propose un algorithme résolvant un problème théorique de magnétisme.
이 기술의 성공은 핵 물리학에서 원자나 중성자 별의 핵을 연구하거나 양자 화학에서 분자의 안정 상태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저는 논문 중에 이 방법을 발견했고 빠르게 훈련하여 시작하게 되었습니다.”라고 Filippo Vicentini는 말합니다. 필리포 비센티니는 2019년에 자성의 이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했습니다.
enchaîner [ɑ̃ʃε[e]ne] 1. 타동사 사슬로 묶다 2. 타동사 [비유] 속박하다, 예속시키다, 억제하다 3. 자동사 대화를 잇다, 이어받다
Il y a quelques mois, dans Science, une vingtaine de chercheurs, dont Giuseppe Carleo, font le bilan des échanges de coups, en comparant cette idée à d’autres, dont les méthodes quantiques variationnelles. « Nous pensons que ces algorithmes quantiques ne seront intéressants que sur des ordinateurs quantiques avec correction d’erreurs qui n’existent pas encore », résume Giuseppe Carleo, qui ajoute que les méthodes d’IA qu’il a développées sont pour l’instant les meilleures. « Aujourd’hui rien de quantique n’a démontré un clair avantage », tranche Antoine Tilloy, professeur à l’Ecole des Mines de Paris.
몇 달 전 사이언스에서 주세페 칼레오를 포함한 약 20명의 연구자들은 이 아이디어를 변형 양자 방법을 포함한 다른 방법과 비교하면서 움직임의 교환을 검토했습니다. “이러한 양자 알고리즘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오류 수정 기능이 있는 양자 컴퓨터에서만 흥미로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주세페 칼레오는 요약하며 자신이 개발한 AI 방법이 아직까지 최고라고 덧붙였습니다. 파리 에콜 드 마인의 앙투안 틸로이 교수는 “현재로서는 어떤 양자 알고리즘도 명확한 이점을 입증하지 못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Fin de match ?
Non, bien sûr. Cette nouvelle approche sans machine quantique n’est pas encore parfaitement au point. « C’est encore un peu trop de cuisine et d’empirisme. On ne sait pas quelle architecture de neurones sera la meilleure. Il faut mieux comprendre ces algorithmes et développer des méthodes pour les mettre au point », indique Filippo Vicentini, engagé sur ces aspects.
물론 아닙니다. 양자 머신이 없는 이 새로운 접근 방식은 아직 완전히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아직은 너무 많은 요리와 경험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떤 신경 구조가 가장 좋을지 알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알고리즘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완성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해야 합니다."라고 이러한 측면에 관여하고 있는 필리포 비센티니는 말합니다.
empirisme [ɑ̃piʀism] 1. 남성형 명사 경험적 방법, 경험주의 2. 남성형 명사 [철학] 경험론 (↔rationalisme, idéalisme) 3. 남성형 명사 [옛] 경험 의술, 민간 요법
mettre au point 1. 조정하다 2. 수정하다 3. 초점을 맞추다
D’autres notent que la technique ne serait pas adaptée aux très grands systèmes, remplis de particules. « Cela n’a pas encore atteint la maturité de systèmes comme AlphaFold en biologie », rappelle Antoine Georges, professeur au Collège de France, à propos de l’outil de Google ayant reçu le prix Nobel.
다른 사람들은 이 기술이 입자로 가득 찬 매우 큰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앙투안 조르주 교수는 노벨상을 수상한 구글의 도구를 언급하며 “아직 생물학에서 알파폴드와 같은 시스템의 성숙도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Faire la paix
Et l’autre camp se rebiffe, avec plusieurs parades. D’abord il accepte de faire la paix avec l’IA. C’est même elle qui va l’aider. « L’IA pour le quantique » devient le slogan. Comme la mise au point des circuits quantiques est compliquée et que l’IA aime les problèmes compliqués, pourquoi ne pas lui demander un coup de main ?
그리고 다른 쪽에서는 몇 가지 반응을 보이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첫째, AI와 화해하는 데 동의합니다. 사실, AI가 이를 도울 것입니다. “퀀텀을 위한 AI"가 슬로건이 되었습니다. 양자 회로의 개발은 복잡하고 AI는 복잡한 문제를 좋아하니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어떨까요?
rebiffer [ʀəbife] 1. 자동사 [속어] 다시 시작하다 (=repiquer) 2. 대명동사 [구어] 딱 잘라 거절하다,반항[반발]하다
Le summum de cette solidarité nouvelle est sans doute atteint en décembre 2024. Google publie un exploit d’ingénieur : la première preuve qu’un cœur quantique, à un seul qubit, peut être protégé par d’autres qubits, pour faire moins d’erreurs.
이 새로운 연대의 정점은 의심할 여지 없이 2024년 12월에 도달했습니다. Google은 단일 큐비트로 구성된 양자 코어를 다른 큐비트로 보호하여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최초의 증명이라는 공학적 업적을 발표했습니다.
summum [sɔ(m)mɔm] 남성형 명사 정점,절정 , 극치 (=apogée, sommet)
exploit [εksplwa] 1. 남성형 명사 수훈, 위업, 공적 2. 남성형 명사 [구어] 성공,염복(艶福), (=succès, exploits galants[amoureux]) 3. 남성형 명사 [비꼼] 경솔한 짓, 실책
exploiter 1. 타동사 경작{개척}하다 , 채굴하다 , 개발하다 , 경영하다. 2. 타동사 이용하다 , 활용하다. 3. 타동사 (노동자를) 착취하다 , 저임금으로 일을 시키다.
Or l’un des ingrédients pour y arriver est un système d’analyse ultrarapide utilisant le machine learning (et développé par Deepmind, filiale de Google). D’autres idées d’IA pour le quantique sont proposées, pour trouver les meilleurs paramètres dans la mise au point des machines, ou pour analyser l’état de forme des qubits, sans les déranger.
이를 달성하기 위한 요소 중 하나는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초고속 분석 시스템(구글의 자회사 딥마인드에서 개발)입니다. 기계 개발에 가장 적합한 매개변수를 찾거나 큐비트의 형태를 방해하지 않고 분석하기 위한 다른 양자 AI 아이디어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filiale [경영] 자회사
filial [filjal] ( 여성: filiale ) 1. 형용사 (부모에 대해) 자식의, 자식으로서의 2. 여성형 명사 자(子)회사, 계열회사
Une autre botte secrète consiste à « hybrider » le quantique et le classique. En décembre, la start-up Quandela, qui fabrique des qubits à base de photons, a été primée à un concours de BMW pour son algorithme de génération d’images de nuit à partir de clichés pris de jour.
또 다른 비밀 무기는 퀀텀과 클래식을 '하이브리드화'하는 것입니다. 지난 12월, 광자 기반 큐비트를 제조하는 스타트업인 Quandela는 낮에 촬영한 사진에서 야간 이미지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으로 BMW 경진대회에서 상을 받았습니다.
botte 2 [bɔt] 1. 여성형 명사 장화 2. 여성형 명사 [학생은어] (집합적) (École polytechnique의) 우등 졸업생 3. 여성형 명사 la botte de l'Italie (장화처럼 생긴) 이탈리아
botte 1 [bɔt] 여성형 명사 (식물의) 다발, 단
botte 3 [bɔt] 여성형 명사 [운동] (펜싱에서) 찌르기, 일격
photon [fɔtɔ̃] 남성형 명사 [물리] 광자(光子)
primer 1 [pʀime] 1. 자동사 [옛] 수위를 차지하다 2. 자동사 으뜸가다, 뛰어나다 3. 타동사 (을) 능가하다, (보다) 월등하다
cliché 1 [kliʃe] 1. 남성형 명사 [비유·경멸] 상투적인 표현, 진부한 생각 (=banalité, stéréotype) 2. 남성형 명사 [인쇄] 연판, 스테로판 3. 남성형 명사 [사진] 음화, 네거티브,사진 (=négatif, photo)
Une méthode d’IA traditionnelle a besoin en entrée d’une série d’images de jour. L’idée de la start-up est d’encoder ces images dans un état quantique plutôt que dans des pixels classiques. « On a fait le pari qu’il pourrait y avoir plus d’informations dans cet encodage que dans le cas classique et que cela pourrait apporter de nouvelles capacités à l’algorithme », estime Jean Senellart, responsable produit chez Quandela.
기존의 AI 방식은 일련의 일광 이미지가 입력으로 필요합니다. 이 스타트업의 아이디어는 이러한 이미지를 기존의 픽셀이 아닌 양자 상태로 인코딩하는 것입니다. “이 인코딩에는 기존의 경우보다 더 많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알고리즘에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라고 Quandela의 제품 매니저인 Jean Senellart는 말합니다.
pari [paʀi] 1. 남성형 명사 내기 (=enjeu) 2. 남성형 명사 도박, 노름 3. 남성형 명사 (내기·도박의) 판돈, 배당금,상금
Un double caché 숨겨진 이중성
D’autres enfin, reviennent aux fondamentaux. Ils en appellent aux mânes d’une figure marquante de la physique, Richard Feynman, qui en 1982 avait inventé l’idée de calculateurs quantiques, nos futurs boxeurs. Qui ne pensait pas alors aux calculateurs dont nous venons de parler – et qui effectuent des séries d’opérations, certes plus rapidement qu’un ordinateur classique, mais finalement toujours avec des 0 et des 1. Il pensait à des « simulateurs », des systèmes artificiels imitant plus ou moins la nature et qu’on pourrait faire évoluer afin de reproduire la dynamique « réelle ». Le boxeur quantique avait en fait un double caché !
마지막으로 기본으로 돌아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1982년 미래의 복서인 양자 컴퓨터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명한 물리학의 위대한 인물인 리처드 파인만의 기억을 떠올립니다. 방금 이야기한 계산기, 즉 기존 컴퓨터보다 더 빠르게 일련의 연산을 수행하지만 결국에는 항상 0과 1을 사용하는 계산기를 생각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그는 자연을 어느 정도 모방하고 “실제” 역학을 재현하기 위해 진화하도록 만들 수 있는 인공 시스템인 “시뮬레이터”를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양자 복서에게는 사실 숨겨진 이중성이 있었습니다!
mânes [mɑːn] 남성 복수형 명사 (로마 종교의) 죽은 사람의 혼[넋]
L’idée, développée par plusieurs start-up comme Pasqal en France ou QuEra et IonQ aux Etats-Unis, est de déposer, tels des œufs dans une boîte, des centaines d’atomes, censés représenter les électrons dans un solide ou une molécule. Puis de les laisser évoluer pour voir comment les œufs se répartissent. Mais ces stratégies aussi sont délicates à mettre au point, avec des « œufs » qui s’échappent trop rapidement et des agitations trop grandes encore pour ressembler à celles observées dans les matériaux.
프랑스의 파스칼, 미국의 퀘라, 이온큐 등 여러 스타트업이 개발한 이 아이디어는 수백 개의 원자를 마치 상자에 담긴 달걀처럼 배치했을 때, 이 원자들이 고체나 분자 내의 전자를 나타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알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진화하도록 허용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알'이 너무 빨리 빠져나가고 교반이 너무 커서 물질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하지 않기 때문에 완벽하게 구현하기가 까다롭습니다.
censé [sɑ̃se] 형용사 추정[간주]되는, 여겨지는
répartir 2 [ʀepaʀtiːʀ] 1. 타동사 나누어주다, 분배하다 2. 타동사 나누어 배치하다,분산시키다 3. 대명동사 나뉘다 4. 대명동사 분배[배분]되다
Après au moins sept rounds, le match n’est donc pas terminé. « Difficile de généraliser sur les avantages de l’un par rapport à l’autre. Ça dépend des données, des tâches qu’on regarde, du paramètre d’efficacité qu’on cherche – vitesse, précision, efficacité énergétique… Et tout va très vite, ça change tout le temps », résume Elham Kashefi.
따라서 최소 7라운드가 지나도 경기는 끝나지 않습니다. “어느 한 쪽이 다른 쪽보다 우위에 있다고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속도, 정밀도, 에너지 효율성 등 데이터, 우리가 살펴보는 작업, 우리가 찾는 효율성 매개변수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모든 것이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있고 항상 변화하고 있습니다."라고 Elham Kashefi는 설명합니다.
L’arrogance initiale du camp quantique a « surmotivé » les adversaires, que ce soit les « historiques » des méthodes classiques ou les nouveaux de l’IA. Amoché, le boxeur quantique s’agite encore. Son allonge s’est réduite et touche moins de cibles que prévu. Il compte sur l’IA pour lui apporter un second souffle. Elle pourrait pourtant bien le mettre à terre.
양자 진영의 초기 오만함은 고전적 방법의 '올드 타이머'든 AI의 신참이든 상대방을 '과도하게 동기 부여'했습니다. 양자 복서는 여전히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그의 도달 범위는 줄어들었고 예상보다 적은 수의 목표물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는 AI가 제2의 바람을 일으켜주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그를 무너뜨릴 수도 있습니다.
arrogance [aʀɔgɑ̃ːs] 여성형 명사 거만, 교만, 건방짐
amocher [amɔʃe] 1. 타동사 (주먹 따위로) 상처를 입히다 2. 타동사 망가뜨리다,훼손하다 (=détériorer) 3. 대명동사 (얼굴 따위에) 상처를 입다,추해지다,쓸모없어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