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st stroke pin (평영 연습시 사용하는 핀)이나
평영 연습용으로 다리에 끼워서 다리 간격을 조절해주는 연습법 추천
평영시 속력이 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을 확인해 본다
1. 발차기를 하면서 앞으로 나갈때 몸을 수평으로 최대한 일자가 되게 만드는가
- 숨쉬고 들어갈때 가슴을 꾸욱 눌러줘야 하체부분이 뜨면서 수평을 이룰수 있다
2. 숨쉬러 나올 때 머리를 위로 들지 말고 앞쪽을 향해서 몸을 내던지듯 던져 보자
- 스트록시에 어깨부터 팔꿈치까지 힘을 살짝주면서 움직여서 상체를 부상시켜 본다
팔꿈치부터 손까지 부위에는 되도록 힘을 빼야 한다.
(수영에서는 팔에 힘을 줘서 돌리는 것보다 어깨를 이용해야 효과적이다)
평영은 팔로 물을 당겨서 가는 영법이라기보다는 발차기의 비중이 큰 영법이다.
팔로 가볍게 물을 스다듬어 가슴까지만 가져온다는 느낌으로 한다.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것은 타이밍이다.
팔과 다리의 타이밍이 맞아야 한다.
팔로 물을 가슴까지 가져와서 쭉 뻗고 상체 동작이 마무리되면 팔이 앞으로 나란히 된 상태에서
평영 킥 동작을 해야 한다. 발차기는 순식간에 천천히 오므렸다 빠르게 차야한다.
접은 다리를 뻗을때보다 뻗은 다리를 모을때 힘을 강하게 주어 다리 사이의 물을 짜주어야 한다.
발차기를 연습할때 손을 앞으로 뻗고(킥판없이) 고개는 들어 수면위로 놔두고 킥만으로 25미터를 가는 연습을 한다.
발을 차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을 돌리고 나서 쭉 편 상태에서 앞으로 가도록 물을 타주면 앞으로 쭉 간다.
===========
머리가 수면위로 올라갈때 발을 허리쪽으로 끌어 당기는 것이 아니라
머리를 물에 넣을 때 발을 뒤로 끌어 당겨야 한다.
===========
발차기를 할때 위에서 약간 아래로 차야 한다.
무릎이 발바닥보다 벌어지면 안된다.
물을 찬다는 느낌보다는 물을 민다는 느낌으로 연습을 한다.
모든 수영 동작은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있다.
물을 차거나 모으는 동작에는 힘을 최대한 빼야 확실한 자세가 나온다.
물을 차거나 모으는 타이밍엔 강하면서도 신속하게 최대한 많은 면적으로 뿌려줘야 한다.
가속도를 붙일땐 몸의 저항을 최대한 줄이도록 가만히 밀어주어야 한다.
발차기를 할때 처음부터 너무 힘을 주기 때문에 모아지는 동작에서 힘이빠져서 추진력이 약해지는것 같습니다.
일단 킥동작이 안되시는 분들은 90%가 킥동작하기전에 취하는 예비동작 자세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 입니다.
[연습방법]
일단 의자에 앉은상태에서 평영 준비자세를 취하세요.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주먹하나 들어갈정도로 모으고 발목을 접습니다.
그상태에서 천천히다리를 펴는 동시에 마지막동작에 발등을 펴면서 발끝을 모아줍니다.
물속에서 이동작을 하실때는 킥동작할때 밑으로 45도 각도로 내리차면서 모은다는 생각으로 하세요.
접영하실때 킥을 밑으로 차시잖아요.
평영할때도 무릎을 모은상태에서 발안쪽으로 물을밑으로 찬다고 생각하세요.
마지막에 의식해서 발끝을 모아주시구요.
중요한건 차고 모으는 동작이 2동작이 아닌 1동작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힘을 주는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모으다가 점점점 힘을 주면서 마지막에 쫘줘야 합니다.
자세가 잘 안나올때는 숨만 쉰다는 생각으로 최대한 몸에 힘을빼고 천천히 동작을 취한 상태에서 짜주는 동작에서만 힘을 가하세요. 수영에 가장 기본적인 자세는 몸에 힘을빼는 겁니다.
급하게 하지마시고 옆레인에 할아버지 할머니들 수영하듯이 천천히 한번 해보세요.
=====================================
새끼발끝을 바깥쪽으로 최대한 땡기고 안쪽다리로 물을 밀어내는 느낌으로 차라고 하던데..
따라 하다가 발바닥에 쥐날뻔 했어요
평영은 일단 발차기가 되야 쭉쭉 나가죠..... 연습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영법만 연속으로 하지 마시고 발차기 후에 물을 가로지르는 느낌을 느끼면서(2~3초정도)
연습하시면 도움이 될 거에요.
계속 연습하시다보면 자신만의 발차기가 어느새 완성되어 있을겁니다.
스트레칭- 발목 틈틈히 W자 앉기
근력운동 - 킥판끼고 상체로만 수영
발차기 - 킥판잡고 꾸준히 연습한다
출처-네이버,TISC,수영인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