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소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의 하나로 일반인들이 퉁소라고도 부르나 원래의 퉁소보다 짧고 가늘게 만들어져 있다. 원래 소(簫)라는 악기는 세로로 잡고 부는 종적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가로로 잡고 부는 횡적을 가리키는 적(笛)과 비교되어 쓰이는 이름 이다. 따라서 세로로 잡고 부는 관악기로는 퉁소가 있는데 단소는 이보다 작은 것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다만 언제부터 단소가 우리 음악에 쓰이가 시작했는지는 전혀 알려진 바 없으며 성종때의 '악학궤범'이나 영조 때의 '증보문헌비고'에도 언급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조선 후기부터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악기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여 오죽이나 오래된 황죽을 사용하며 40센티미터 정도로 자른다음 한쪽 끝에 U자 모양의 취구를 판다. 그리 고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다섯 개의 지공을 파는데 제1공은 뒷면에 나머지는 앞면에 판다. 그러나 마지막의 제5공은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네 개만 사용하여 연주하지만 단소의 음역은 두 옥타브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음 색이 곱고 맑으며 고음은 청아한 느낌을 주어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연주법이 까다롭지않고 악기도 쉽게 구할 수 있어 각급 학교의 교육용 악기로도 널리 쓰이는 단소는 그 보급을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만 든 악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단소가 주로 쓰이는 음악은 영산회상등의 줄풍류이며 독주 악기로도 많이 연주된다. 시조의 반주를 위하여 음높이를 4도 정도 낮게 만 든 평조단소가 사용되기도 한다. 단소의 명인으로는 조선 시대 헌종때 함재홍을 손꼽을 수 있는데 함소라고 불릴 만큼 단소를 잘 불었다고 한다. 단소는 소리 내기가 조금은 까다롭고 지루하게 느껴지지만 한번 맑은 소리를 내면 그 소리에 반해 쉽게 놓고 싶지 않은 것이 단소의 소 리가 할 수 있다. 비교적 고음 악기에 속하는 단소는 음량이 작아 주로 실내악에 쓰일 뿐 대규모 편성의 합주에서는 중요하게 쓰이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 그러나 영롱한 음색과 고음의 화려한 장식음 그리고 섬세한 강약의 변화로 인하여 우리 음악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악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