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一. [仲景]梔子厚朴湯
治傷寒下後 餘邪未淸 心煩腹滿 起臥不安者.
梔子 十四枚(擘) 厚朴 四兩(薑炙) 枳實 四兩(炒)
已上三味 用水三升半 煮取一升半 去滓 分二服. 溫進一服 得吐 止後服.
21. [중경]치자후박탕([仲景]梔子厚朴湯)
상한(傷寒) 하후(下後)에 여사(餘邪)가 미청(未淸)하여 심번(心煩) 복만(腹滿)하고 기와(起臥)가 불안(不安)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치자(梔子) 14매(枚)(벽(擘)) 후박(厚朴) 4량(兩)(강(薑)으로 자(炙)) 지실(枳實) 4량(兩)(초(炒))
이상의 3미(味)를 물 3승반(升半)으로 달여서 1승반(升半)을 취하고 찌꺼기(:滓)를 버리며 2번에 나누어 복용하느니라. 온(溫)하게 일복(一服)을 진(進)하니, 토(吐)를 얻으면 후의 복용을 중지하느니라.
二二. [仲景]梔子乾薑湯
治傷寒以圓藥大下之 身熱不去 微煩者. 若病人舊有微溏者不可用.
梔子 十四枚(擘) 乾薑 三兩
上二味 以水三升半 煮取一升半 去滓 分二服. 溫進一服 得吐者 止後服.
22. [중경]치자건강탕([仲景]梔子乾薑湯)
상한(傷寒)을 원약(圓藥)으로 대하(大下)하고 신열(身熱)이 불거(不去)하고 미번(微煩)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만약 병인(病人)이 예전에 미당(微溏)이 있었으면 사용이 안 되느니라.
치자(梔子) 14매(枚)(벽(擘)) 건강(乾薑) 3량(兩)
2미(味)를 물 3승반(升半)에 달여서 1승반(升半)을 취하고 찌꺼기(:滓)를 버리며 2번에 나누어 복용하느니라. 온(溫)하게 일복(一服)을 진(進)하니 토(吐)를 얻으면 뒤의 복용을 중지하느니라.
二三. [仲景]梔子檗皮湯
治傷寒身黃發熱者.
梔子 十五枚 甘草 一兩 黃栢 二兩
上三味 以水四升 煮取一升半 去滓 分溫再服.
23. [중경]치자벽피탕([仲景]梔子檗皮湯)
상한(傷寒)의 신황(身黃) 발열(發熱)을 치료(治)하느니라.
치자(梔子) 15매(枚) 감초(甘草) 1량(兩) 황백(黃栢) 2량(兩)
3미(味)를 물 4승(升)으로 달여서 1승반(升半)을 취하고 찌꺼기는 버리며 2번에 나누어 온복(溫服)하느니라.
二四. 解瘟疫熱毒
瘟疫八九日後 已經汗下不退 口渴咽乾 欲飮水者 以蚯蚓糞名六一泥不拘多少 擂新汲水飮之 或用晩蠶沙亦可. 其熱甚者 用新靑布以冷水浸過 略擠乾 置患人胸上 以手按之良久 布熱卽易之 須臾 當汗出如水 或作戰汗而解. 夏月極熱用此法 他時不可用.
24. 해온역열독(解瘟疫熱毒)
온역(瘟疫) 8~9일 후에 이미 한하(汗下)를 거쳐도 불퇴(不退)하고 구갈(口渴) 인건(咽乾)하고 음수(飮水)하려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구인분(蚯蚓糞)를 육일니(六一泥)로 명(名)하니 다소(多少)를 불구(不拘)하고 신급수(新汲水)에 갈아서 음(飮)하느니라. 혹 만잠사(晩蠶砂)를 사용하여도 되느니라. 열(熱)이 심(甚)하면 신(新)한 청포(靑布)를 냉수(冷水)에 침(浸)하였다가 대충 짜서 건(乾)하게 하고 환인(患人)의 흉상(胸上)에 두고 손으로 양구(良久)하게 안(按)하니 포(布)가 열(熱)하면 바로 바꾸느니라. 수유(須臾)에 당연히 물과 같이 한출(汗出)하거나 혹 전한(戰汗)을 작(作)하면서 해(解)하느니라. 하월(夏月)에 극(極)히 열(熱)하면 이 법(法)을 사용하니 다른 시(時)에는 사용하면 안 되느니라.
二五. 漏蘆丹麻湯
方在外科九七.
治時毒頭面紅腫.
25. 누로단마탕(漏蘆丹麻湯)
방(方)은 외과(外科) 97번에 있느니라.
시독(時毒)의 두면(頭面)의 홍종(紅腫)을 치료(治)하느니라.
二六. 黃連香薷飮
方在和陣 一七二.
治傷暑中熱.
26. 황련향유음(黃連香薷飮)
방(方)은 화진(和陣) 172번에 있느니라.
상서(傷暑) 중열(中熱)을 치료(治)하느니라.
二七. [局方]瀉心湯
治心火.
用川黃連去鬚 爲極細末. 每服一字 或五分 或一錢 或湯或散 臨臥服.
27. [국방]사심탕([局方]瀉心湯)
심화(心火)를 치료(治)하느니라.
천황련(川黃連)의 수(鬚)을 거(去)하고 극세(極細)하게 가루 내고 매 1자(字)나 5분(分)이나 1전(錢)을 복용하니 혹 탕(湯)이나 산(散)으로 만들어 임와(臨臥)에 복용하느니라.
二八. [仲景]甘草瀉心湯
亦名半夏瀉心湯. 嘔而腸鳴 心下痞者 此方主之. 此方辛入脾而散氣 半夏 乾薑之辛以散結氣 苦入心而泄熱 黃連 黃芩之苦以泄痞熱 脾欲緩 急食甘以緩之 人蔘 甘草 大棗之甘以緩之也.
半夏 半升(洗) 黃連 一兩 乾薑 黃芩 甘草(炙) 人蔘 各三兩 大棗 十二枚(擘)
上七味 以水一斗 煮取六升 去滓 再煮取三升. 溫服一升 日三服.
28. [중경]감초사심탕([仲景]甘草瀉心湯)
또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이라고도 명(名)하느니라. 구(嘔)하면서 장명(腸鳴)하고 심하(心下)가 비(痞)하면 이 방(方)으로 주(主)하여야 하느니라.
이 방(方)의 신(辛)은 비(脾)에 들어가 산기(散氣)하니 반하(半夏) 건강(乾薑)의 신(辛)으로 결기(結氣)를 산(散)하고, 고(苦)는 심(心)으로 들어가 설열(泄熱)하니 황련(黃連) 황금(黃芩)의 고(苦)로 비열(痞熱)을 설(泄)하며, 비(脾)는 완(緩)하려 하므로 급히 감(甘)을 식(食)하여 완(緩)하게 하니, 인삼(人蔘) 감초(甘草) 대조(大棗)의 감(甘)으로 완(緩)하게 하느니라.
반하(半夏) 반승(半升)(세(洗)) 황련(黃連) 1량(兩) 건강(乾薑) 황금(黃芩) 감초(甘草)(자(炙)) 인삼(人蔘) 각 3량(兩) 대조(大棗) 12매(枚)(벽(擘))
7미(味)를 물 1두(斗)로 달여서 6승(升)을 취하니 찌꺼기는 버리고 다시 달여서 3승(升)을 취하며 1승(升)을 온복(溫服)하니, 하루에 3번 복용하느니라.
二九. [仲景]生薑瀉心湯
治傷寒汗解之後 胃中不和 心下痞硬 乾噫食臭 脇下有水氣 腹中雷鳴下利者.
生薑 四兩(切) 甘草(炙) 人蔘 黃芩 各三兩 乾薑 一兩 黃連 一兩 半夏 半升(洗) 大棗 十二枚(擘)
上八味 以水一斗 煮取六升 去滓 再煎取三升. 溫服一升 日三服. 此方無生薑 卽名半夏瀉心湯
29. [중경]생강사심탕([仲景]生薑瀉心湯)
상한(傷寒)을 한(汗)으로 해(解)한 후에 위중(胃中)이 불화(不和)하고 심하(心下)가 비경(痞硬)하며 건희(乾噫) 식취(食臭)하고 협하(脇下)에 수기(水氣)가 있으며 복중(腹中)이 뇌명(雷鳴)하고 하리(下利)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생강(生薑) 4량(兩)(절(切)) 감초(甘草)(자(炙)) 인삼(人蔘) 황금(黃芩) 각 3량(兩) 건강(乾薑) 1량(兩) 황련(黃連) 1량(兩) 반하(半夏) 반승(半升)(세(洗)) 대조(大棗) 12매(枚)(벽(擘))
8미(味)를 물 1두(斗)로 달여서 六升을 취하고 찌꺼기(:滓)를 버리며 다시 달여 3승(升)을 취하니 1승(升)을 온복(溫服)하며 하루에 세 번 복용하느니라.
이 방(方)에 생강(生薑)이 없으면 곧 명(名)하여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이라 하느니라.
三十. [仲景]大黃黃連瀉心湯
治太陽傷寒汗下後 色微黃 心下痞 按之濡 其脈關上浮者.
大黃 二兩 黃連 一兩
上二味 以微沸湯二升漬之 須臾 絞去滓 分溫再服.
30. [중경]대황황련사심탕([仲景]大黃黃連瀉心湯)
태양(太陽) 상한(傷寒)을 한하(汗下)한 후에 색(色)이 미황(微黃)하고 심하(心下)가 비(痞)하며 안(按)하면 유(濡)하고 맥(脈)의 관상(關上)이 부(浮)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대황(大黃) 2량(兩) 황련(黃連) 1량(兩)
미(微)하게 비탕(沸湯)한 2승(升)에 두 미(味)를 지(漬)하고 수유(須臾)에 교(絞)하여 찌꺼기(:滓)를 버리고 분(分)하여 온(溫)하게 두 번 복용하느니라.